With the advancement and diversification of the bread industry, eco-friendly products with less sugar and salt, and con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are being developed. To develop healthy bread, Korean pine leaf powder was added in different proportions (0%, 1%, 3%, 5%, and 7%),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namely height, moisture, color value, texture, antioxidant proper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s the amount of leaf powder was increased in the bread, L-value in the range of 53.45~85.05 (p<0.001) and adhesiveness in the range of 0.13~0.32 mJ (p<0.001) de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b-value in the range of 16.75~30.74 (p<0.001),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range of 466.83~669.13 ug/mL, ABTS- in the range of 0.46~43.23%, DPPH-radical in the range of 1.39~45.76%, scavenging capacities (p<0.001), color in the range of 3.27~5.40 (p=0.017) and texture in the range of 4.33~4.80 (p=0.006) preferences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study coul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Korean pine leaf and the production of healthy food with antioxidant properties.
소나무허리노린재는(Leptoglossus occidentalis)는 북미원산으로 2010년 경남 창원에서 국내 침입이 처음 확인 되었다. 최근 까지는 소나무 구과에서 피해에서 나타났으나 이로 인한 피해는 수목생육에 직접적인 영향이 적은 편이다. 그러나 2020년 경기도 가평군의 잣나무 구과에서 피해가 확인되었는데, 잣나무 구과는 산림에서 경제적 으로 매우 중요한 소득작물로, 이로 인한 피해가 문제가 되기 시작하였다. 잣나무 구과에서 소나무허리노린재 발생소장 조사를 위해 경기도 가평군 6개 지역의 잣나무 상부에 타임랩스 카메라(TLC2020,Brinno)설치하고 영 상분석을 통해 잣 구과에서 소나무허리노린재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잣 구과에서 2021년 6월 7일에 최초 관찰 되기 시작하여 11월 7일까지 관찰되었으며, 2022년에는 5월 17일부터 10월 29일까지 관찰되었다. 시기별 구과 피해율 조사를 위해 잣나무 구과에 4월 초순에 망대를 사전에 설치하고 5월 중순부터 각 시기별로 소나무허리노 린재를 15일 간격으로 접종시켜 가해토록 한 후 제거하여 가해 시기에 따른 종자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잣 구과가 주로 성숙하는 6~7월 경이 잣 종자피해율이 높았으며 7월 하순부터는 종자 피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라산국립공원 내 소나무림의 공간분포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06년과 2015년의 분포면적과 수관밀도를 조사하고 해발고도, 경사, 방위 및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2015년 소나무림의 전체 면적은 1,259.9ha로 조사되었는데, 2006년 1,208.5ha에 비해 10년 동안 4.1%에 해당되는 51.4ha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의 수관 밀도가 11~40%에 해당되는 소밀도의 면적은 10년 동안 59.8ha가 증가하였고 41~70%에 해당되는 중밀도의 면적도 59.0ha가 증가하였으며, 71% 이상의 조밀한 소나무림은 67.3ha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에 따라서는 2015년에 1,010∼1,400m 구간에서 전체 면적의 79.6%인 1,003.0ha로 가장 넓었으며, 1,100~1,300m 구간의 면적은 증가하였지만 수관밀도 등급변화는 고밀도 등급면적이 대폭 감소하고 중밀도와 소밀도급 면적은 증가하였다. 지표경사에 따라서는 특징적으로 증감이 나타나지 않고 2006년보다 경사와 관계없이 증가하였다. 방위별로는 남사면을 중심으로 남서, 남동방향에 56.4%가 분포하여 10년 동안 27.8ha가 증가한 반면 북사면을 중심으로 북동, 북서 면적은 7.6ha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소나무림의 분포 변화는 영실지역 일대가 2006년에 비해 전체 증가면적 중 49.6%인 25.5ha 증가하였으며, 산벌음 계곡 우측을 포함하는 입석오름지역은 20.4ha, 족은드레를 포함하는 개미등지역은 7.4ha가 증가한 반면 성판악등산로 속밭지역은 1.9ha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한라산국립공원 내 소나무림의 면적 및 밀도변화는 해발고도, 경사, 방위 및 지역별 변화 상황을 고려할 때 소나무림 분포의 확대는 초지나 관목이 우점 하는 식생구조를 갖고 있거나 교란으로 인한 숲 틈이 발생한 지역으로 한정된 반면 소나무림이 낙엽활엽수림대에 둘러싸이거나 혼효된 식생구조를 지닌 분포지역은 낙엽활엽수 등과 경쟁으로 인해 면적보다는 수관밀도 변화가 주로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To develop a empir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spring flight period of overwintering Ips acuminatus adult, their density were monitored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forests at Chuncheon in 2015. The monitoring data of the beetles and temperature in the forests were used to develop the empirical predictive model based on degree-day model, and it was validated using the data from Korean pine forest at Wonju in 2018. The lower threshold temperature for flight (LTF) and a thermal requirement for the onset of flight activity of the beetles in spring were estimated. As the result, the LTF was estimated as 1.3 ℃ and 269.96 DD was required for the spring flight. The median flight date estimated by the empirical model was one day earlier than the observed flight date. Therefore, the model is suitable for predicting the spring flight of overwintering I. acuminatus.
In 2016 and 2017, population density of Monochamus saltuarius, a vector beetle species of pine wood nematode, was estimated from Korean white pine forests using mark-release-recapture. The beetle was captured by multi-funnel traps with pheromone lure. We collected 1,590, 185, and 268 individuals from Hongcheon (2016), Hongcheon (2017), and Yangpyeong (2017), respectively. Recapture rates in 2016 and 2017 were ranged from 2.38 % to 5.06 %, and estimated population densities during two years were ranged from 4,824 to 13,340 individuals per 1 ha. Because of low recapture rates in both years, population density of M. saltuarius in Korean white pine forests may be over-estimated.
사찰인근 소나무림은 문화경관림으로서 가치가 높으나 식생천이와 기후변화로 쇠퇴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사찰인근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소나무 활력도, 입지환경 특성을 조사해 소나무 생육과 입지환경간의 상관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소나무림이 양호하게 남아 있는 전남지역의 천은사, 원효사, 증심사, 태안사 4개소를 연구대상지 로 선정했다. 이 대상지의 교목층에는 모두 소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는 낙엽활엽수종이 주로 출현했다. 소나무의 수령이 많은 천은사 지역보다 증심사·원효사의 소나무 생육상태가 전반적으로 좋지 않았다. 토양의 총질소량은 증심사 가 다른 지역보다 높은 편이었는데 하층식생 발달로 총질소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낙엽활엽수종과의 질소양분 경합에서 밀려 소나무의 생육이 악화된 것으로 추정된다.해발고와 가지길이는 부(-)의 상관관계를, 경사도와 소나무 평균상대우점치도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해발고· 경사도가 상승할수록 토양환경을 포함한 생육환경이 열악해지면서 소나무의 생장량·우점도가 저조해지는 것으로 보인 다. 경사도는 소나무 가지길이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소나무림이 주로 분포하는 입지환경 범위 내라면, 급경사 지일수록 낙엽활엽수종과의 경쟁을 회피해 소나무 생육이 양호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토양의 전기전도도가 증가할수록 소나무 생육이 더 악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토양양분 증가는 낙엽활엽수종의 식생 발달을 촉진해 소나무 의 생육환경을 악화시켜 소나무림의 건전성 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07년에 잣나무림에서 하늘소과, 바구미과, 나무좀아과에 속하는 천공성 딱정벌레 군집을 말레이즈 트랩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하늘소류 15종 184 개체, 바구미류 17종 185개체, 6종 1,246개체의 총 1,615개체 천공성 딱정벌레가 채집되었고 우점종은 왕녹나무좀이었다. 개체수에 따 라 순위를 매겼을 때, 잣나무림에서 천공성 해충과 나무좀류 군집은 나무좀아과의 한 종에 의해 우점되어 생물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 무림에서 간벌은 나무좀과 암브로시아좀류의 풍부도에 영향을 미쳐 특정 임분에서의 개체군들은 간벌 1년 후 밀도가 증가했으나 그 후 감소하였다.
대면적 개벌의 대안으로서, 대상 개벌은 생산림지의 생태 조건 보전과 임분 재생을 모두 고려하는 작업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대상 벌채 기법의 적용 및 효율성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에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소나무림 대상 벌채 (10m, 20m 및 40m) 처리 전・후의 하층식생 반응 및 소나무 재생과 임분 환경 변화와의 상관성을 방형구법을 적용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하층식생 피도 및 종다양성은 대상 벌채 넓이에 상관없이 교목 종 및 광선호 종의 확장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신갈나무, 맑은대쑥 및 산딸기 등의 벌채 후 잔존 교목 및 광선호 종들의 활발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대상 벌채 구역의 소나무 정착은 수관층 환경 (광량 및 수관열림 도) 및 토양나출도와는 정의 상관, 그리고 하층식생 및 임상 목질잔해물의 피도와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Ips acuminatus (Coleoptera: Curculionidae) is one of the potential pests of various species of pin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nning on I. acuminatus and Stigmatium pilosellum (Coleoptera: Cleridae), known as a natural enemy of bark beetles, were examined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forest in Chuncheon, South Korea in 2014. Three study site were selected - two sites (western slope and southern slope) that thinning was conducted in early spring 2014 and a site without thinning within 5 years. I. acuminatus and S. pilosellum were collected every week or fortnightly using the 12-unit Lindgren multi-funnel traps with pheromone lure (Ipsdienol +50/-50 40mg, Ipsenol +50/-50 40mg) from May to early October. The densities of I. acuminatus, the dominant species of bark beetles, were maximum 8.4 ± 0.9 and 1.4 ± 0.4 individuals/trap/day at thinning site and non-thinning site, respectively. In case of S. pilosellum, the dominant species of Cleridae, its densities were 17.7 ± 2.4 and 2.6 ± 0.8 individuals/trap/day at thinning site and non-thinning site, respectively. I. acuminatus showed first emergence peak on June and second emergence peak on September, but S. pilosellum showed only one time emergence peak on June – the density of S. pilosellum increased along with the density of I. acuminatus (r = 0.66, p = 0.0365). Our results shows that thinning in Korean pine forest increases the densities of I. acuminatus and S. pilosellum, reflecting increase in their food resources available.
After pine wilt disease (PWD) at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has been first reported in the middle area of South Korea in 2006, it spread rapidly to the nearest ar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spread of damage and set up the proper control strategy specific to P. koreaiensis because the pathology and the biology of PWD in P. koraiensis are not the same with PWD in P. densiflora and P. thunbergii distributed in middle southern area. So, we selected 25 of dead P. koraiensis in PWD damaged area and analyzed the inner-tree distribution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and the entrance holes of Monochamus saltuariu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height or direction of wood extracted and the distribution of B. xylophilus among 25 dead pines. The entrance holes of M. saltuarius were concentrated on 7 dead pines without leaves and the maximum number of entrance holes in individual tree was 543. It indicates that the event of spawning of M. saltuarius adult and entrance of hatched M. saltuarius larvae to wood may be dependent on the time of death of host. The entrance holes were frequently found in a southward direction. These result shows that M. salutuarius larvae prefer relatively weak woody parts to enter easily.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the thickness of bark of P. koraiensis and the frequencies of entrance holes of M. saltuarius was not observed.
분말을 우리밀 밀가루 중량 100%를 기준하여 각각 0.5, 1.0 및 2.0%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자동산화 억제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탄올 분획물에서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자동산화 억제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솔잎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중량, 부피, 함수율 및 국물의 탁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색도는 솔잎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과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증가하였다. 솔잎분말을 첨가하여 조리한 국수의 조직감은 우리밀 밀가루만 사용하여 제조한 대조구에 비하여 경도, 응집성, 탄력성, 검성 및 씹힘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솔잎 분말 1.0% 첨가구에서 색,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향과 조직감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he wood-boring and bark beetle (Cerambycidae, Curculionidae, Scolytinae) community in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Sieb. & Zucc., forests was surveyed using Malaise traps in 2007. A total of 1,669 wood-boring and bark beetles were collected, including 193 cerambycids from 16 species, 221 curculionids from 21 species, and 1,255 scolydid beetles from 6 species, of which the dominant species was the ambrosia beetle Xyleborus mutilatus Blandford. Ranked by order of population size, the wood-boring and bark beetle community in Korean white pine showed high dominance by one species of Scolytinae, suggesting the community was unstable and had low biological diversity. Thinning in Korean white pine forests influenced the abundance of bark and ambrosia beetles, whose populations in particular stands increased 1 year after thinning, and then decreased the following ye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ematicidal activities of 102 Korean domestic plant extracts which have not been tested before against B. xylophilus. Nema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were varied according to plant species and extraction part. Among 102 plant extracts, 42 plant extracts in 22 families showed >50%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pine wood nematode at 10 mg/mL concentration. Among 31 wood extracts, very strong nematicidal activity (100%) was produced from extract of Neolitsea aciculate, Prunus sargentii and Rhus chinensis at 10 mg/mL concentration. Extracts from Camellia japonica, Carpinus cordata, Daphniphyllum macropodum, Eucommia ulmoides, Ilex cornuta, Myrica rubra, Vaccinium bracteatum, and Zelkova serrata showed strong nematicidal activities (80-99%). The other samples exhibited activities <80%. In a test with leaf extracts, strong neamticidal activity was observed in extract of Machius japonica (100%) followed by Picea koraiensis (99.4%), Meliosma oldhamii (82.7%), and Zelkova serrata (81%). The other 37 plant species revealed <80% mortality. Strong nematicidal activity (>80%) was observed from bark extract of Carpinus cordata, Comus kousa, Cryptomeria japonica, Machius japonica, Quercus glauca and Zelkova serrata. Nematicidal activity of other 19 bark extracts was less than 80%. Twig extract of Smilax china and fruit extract of Forsythia koreana showed 86.6 and 81.4% nematicidal activity at 10 m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Korean red pine bark extract as an antibiotic replacements on cholesterol, fatty acids and the shelf-life of chicken meat. To accomplish this, chickens were fed the optimal level of red pine bark extract that was found to replace antibiotics in the diet of broilers. A total of 180 male broilers(Ross strain 308) were divided into three treated groups, T1(control group), T2(8 ppm of avilamycin) and T3(65 ppm of red pine bark extract per kg diet). The lipid content was reduced by 24.67% and 20.49% in T3 group, while the cholesterol level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3 group by 20.49% and 20.55% when compared to the T1 and T2 group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aturated fatty acid level was lower in the T3 group than in the T1 and T2 groups, while the unsaturated fatty acid level of the T3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TBARS value of chicken thigh muscle containing its skin on the 7th day of low temperature storage was significantly lower by 23.86% and 21.17% in the T3 group than in the T1 and T2 groups, respectively. Evaluation of the color of the meat revealed that the L*value (lightness) and b*value(yellowness) were higher in the T3 group than in the T1 and the T2 groups, but that the p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3.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ddition of 65 ppm red pine bark extract to the diet of broilers should improve their meat quality with respect to the lipid contents and shelf-life when compared to the addition of antibiotics.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강릉시 강릉국유림 관리소 관할의 국유림 내에 위치한 27년생 잣나무 조림지를 대상으로 하여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매스 구성비, 바이오매스 추정식, 순생산량, 줄기밀도 및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등을 조사 분석하는데 있다. 선정된 표준지에 대하여 20m×20m 조사구를 설치한 후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직경급 분포를 고려하여 총 5주의 표본목을 벌채하였으며, 이 중 3주는 뿌리까지 전량 굴취하였다. 27년생 잣나무에 대한 임목 전체 건중량은 117.6 kg/tree로 나타났으며, 잣나무 임분의 지상부 건중량은 59.9 ton/ha, 지하부를 포함한 임목 전체 건중량은 82.4 ton/ha로 나타났다. 뿌리 대 지상부 비율은 0.38이였으며, 순생산량은 지상부 건중량 9.4 ton/ha, 지하부를 포함한 임목 전체 건중량 11.3 ton/ha로 나타났다. 줄기밀도는 0.49 g/㎤, 지상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1.78, 지상부와 지하부를 포함한 임목 전체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2.19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자료는 잣나무조림지에 대하여 바이오매스 및 탄소축적량을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가 있다.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saltuarius preferred the feed on fresh twig of Korean white pine trees (Pinus koraiensis) than one-year old and two-year twig. It means that the current twig is appropriate to increase the lifespan and reproduction of this insect. In a bioassay after fractionated the hexane layer from the water layer, the hexane layer did not show feeding response; however, the water layer was preferred in the order of fresh twig>one-year twig>two-year old twig. By HPLC analysis, we identified three kinds of sugar, namely, fructose, sucrose, glucose. The quantity of fructose was the highest in fresh twig followed by one-year and two-year old twig. In the preference test using each standard sample, the order was fructose>sucrose>glucose at 10, 30 μg/filterpaper, and fructose>sucrose >glucose at 50μg/filterpaper. From the above result, fructose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feeding stimulant for pine sawyer ad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