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곡가 이건용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한국어의 음악적 표현 을 ≪동승≫(2004)과 ≪왕자와 크리스마스≫(2010)의 몇몇 아리아 및 합창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행함에 있어 한국어 고유의 특징인 장단, 고저, 억양, 음절언어적 특성, 말토막 개념 및 음악 에서의 박자 악센트와 리듬 악센트 등을 활용했다. 그 결과 이건용의 오페라에서는 문장 및 말토막이 본래의 언어적인 호흡을 유지한 채 음악화 되었으며, 한국어의 장단구조, 수식구조, 단어의 높낮이, 문장의 억양 등이 다양한 박자 악센트 및 리듬 악센트와 결합하여 해당 텍스트의 음운론적인 측면을 강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건용의 오페라는 단어 및 문장에 새로운 장단이나 악센트 등을 부여하기도 하였다. 이 경우 해당 선율들은 ‘방언’을 구사하거나 특정 인물의 성격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다가왔다. 이외에 도 한국어의 음절언어적 특성을 드러내듯 음악의 흐름 안에 또렷하게 인지되는 고른 텍스트의 분 포가 존재했다. 그리고 이런 성부를 토대로 하는 대위법적인 짜임새의 표현성이 두드러졌다. 화성적으로 반음계 섹션을 등장시킴으로써 해당 구간에서 발화되는 텍스트를 독특한 방식으로 청취되도록 하거나, 실제 언어 수행 시 나타나는 상호작용적인 담화방식, 감정이 섞인 말의 반복, 특정 연령 집단이 보여주는 언어적 행동 등을 오페라 안에 음악적으로 구현한 경우도 있었다. 예컨대 이건용의 오페라는 한국어를 민감하게 다루고 있으며, 한국어의 다양한 음운론적인 특 징과 담화 상의 속성 등을 음악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표현력을 강화한다. 따라서 이건용의 오페라 는 개인의 오페라 작법을 구축한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한국오페라’로서의 기본적인 속성을 스 스로 구체화한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웹툰을 한국어 교육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위 해 웹툰의 의성·의태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 에 두 편의 인기 웹툰에서 무료제공되는 회차에서 300개의 의성어와 의 태어를 추출하여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웹툰에 사용되는 의성·의태 표현 이 사전에 등재된 어휘인 경우도 있지만, 사전에 미등재된 어휘인 경우 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형태적으로 변형이 가해지기도 하고, 다양한 품사들이 의성·의태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작가의 판단과 필요에 따라 새로운 어휘들이 웹툰 안에서 의성·의태 표현으로 만들어지기도 하며, 하나의 의성·의태 표현이 2개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기존의 만화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지 만 세부적으로는 더 다양한 유형으로 분화되었다. 이렇게 웹툰의 의성·의 태 표현의 변형, 생성이 자유로운 이유를 웹툰의 특징인 실제성, 상호작 용성, 추측 가능성에서 찾을 수 있었다. 기존의 연구들은 웹툰을 언어교 육에 적용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보니 웹툰 언어의 특징을 분석하 지 못한데 반해 본 연구는 웹툰 언어의 특징을 언어학적 관점에서 다루 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웹툰 언 어의 특징들을 형태, 의미, 통사적으로 연구될 수 있다면 한국어교육, 한 국어 통·번역 교육에 적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하여 인지언어학적 인 관점으로 접근하여 신체 관련 한국어 감정 관용 표현에 나타나는 은 유와 개념화의 방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관용 표현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그 의미가 형성된다. 따라서 관용 표현을 생성 한 한국인의 개념화 방식을 알아야 한다. 이에 따라 분노와 불안의 근원 영역을 ‘온도/색깔/명암/전복/분출/경직’으로 분류하였다. 근원 영역이 ‘온도’일 때 개념적 은유는 ‘분노는 뜨거움’과 ‘불안은 차가움’이며 ‘색깔’ 일 때의 개념적 은유는 ‘불안은 죽음’, ‘명암’의 근원 영역에서는 ‘불안은 어두움’이라는 개념화가 일어나고 ‘전복’의 영역에서는 ‘분노는 뒤집함’이 라는 개념적 은유가 일어난다. 또한 ‘분출’은 ‘불안은 땀’이라는 개념적 은유를, ‘경직’은 ‘불안은 정지’라는 개념적 은유를 통해 감정 관용 표현 을 생성하였다. 본고는 신체 관련 한국어의 감정 관용 표현 통해 한국인 의 개념화 방식을 정리하였으며 이 연구가 한국어교육 현장에 기초 자료 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는 한·중 감각어 중 하나인 시각어에 대한 원형 의미와 의미 확장 그리고 특 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중 한국어의 시각어 중 토박이말을 대상으로 주요 시 각 동사와 시각 형용사를 살펴보고, 이에 상응하는 중국어의 시각 동사와 시각 형용 사를 살펴보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주요 시각 동사로는 ‘보다’를, 시각 형용사로는 ‘밝다·어둡다, 희다·검다·붉다·푸르다·누르다’를, 이에 대한 중국어의 시각 동사는 ‘看’을, 시각 형용사는 ‘亮, 暗, 白, 黑, 红, 蓝, 黄’을 살펴보고 비교 분석 하고 자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Advertisements,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Virtual Advertisements. Among the expressions of language, the discussion was particularly centered on linguistic solidarity. Text cohesion can be explored in terms of cohesion, which means content and semantic association of text, and condensation that refers to grammatical association of text layers. There were two ways to maintain the verbal bonds of virtual advertising: morphological and syntactic method. Morphological method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ways: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text by repeating the same word, or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text by using vocabulary in the same category. The syntactic method was studied, focused on the syntactic condensation that appears in the language expressions of the front and rear scenes of virtual advertising. Specific methods of syntactic condensation devices can be divided into five types: distich, sentence connection, sentence response, omission and rhetorical connec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characteristics of complaints of Korean native speakers (KNs), Korean learners (primary, intermediate, and high class) of Japanese language of (KL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JNs). When fourteen displeased situations happening occasionally in daily life were given to them, for their complaints about the situations, the degree of complaints and the expression behavior of complaints were investigated. Particularly the complaints by speech act were analyzed with a point of view on the use of strategy and the degree of face-threat (FT). The degree of complaints was higher in order of JNs>KLs>KNs. For the expression behavior of complaints, all of three group (KNs, KLs and JNs) tended to use speech act. For the strategy of complaints and the degree of FT, JNs tended to use strategy of lower degree of FT than that of KN. And KLs showed a tendency of interlanguage which was getting close to targeting language, using strategy of lower FT degree than that of mother language group (KNs) even at a primary class. These results gi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of Japanese language for KLs. 1) As the most useful method to resolve the situations of complaints, JNs also use speech act, but JNs recognize the situations more seriously than KNs and their degree of complaints is higher. 2) Nevertheless, JNs are contrasted with KNs by that they would minimize the probable trouble with a person due to their complaints by selecting strategy of low FT degree.
본 연구는 음악요소와 표현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지각운동능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만 3세반에 재원중인 유아 32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4.88개월(SD=4.35)이었다. 무선으로 선정된 두 집단 중 실험집단에는 음악요소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을, 비교집단에는 표현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을 처치하였다. 연구 자료는 ‘음악적성검사’, ‘지각운동능력 평가’, ‘수용・표현 언어 검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음악능력과 지각운동능력의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교집단의 유아들이 실험집단의 유아들보다 언어능력 중 표현 언어의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음악요소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이 표현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보다 유아의 음악능력과 지각운동능력 함양에 효과적이며, 표현 중심의 노래부르기 활동은 음악요소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보다 유아의 언어능력 중 표현 언어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경기도 D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20명, K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20명이다. 연구도구는 장영애(1981)가 만 4~6세 수준에 맞게 제작한 언어능력 검사도구 가운데 언어표현능력 부분만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명화감상활동은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창의적 표현 부분에서는 연관성이 없음이 나타났다.
【벼리】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능력 신 장을 위한 말하기, 쓰기와 같은 언어 표현 영역 학습에 따르는 환경적 제약과 심리적 압박 등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 인 자기주도적 학습법을 강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소리 내어 읽기가 비교적 학습자가 접근하기 쉬운 활 동인 읽기를 하는 동시에 나머지 언어 기능 능력까지 총체적으로 향 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보고 연구 대상을 음독으로 설정하였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소리 내어 읽기가 다른 언어 기능의 연관성을 고려한 통합적 기능 학습임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주로 음독 이 언어 이해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험 을 통해 음독이 언어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대조 유형별 관용표현에 대한 이해도 및 이해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어와 중국어 관용표현의 연관성에 따라 유형별로 L2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그 이해 과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이해 전략을 살펴보고, 또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고급 학습자 집단과 중급 학습자 집단 사이의 이해 전략 사용 양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L2 관용표현 이해 과정에서 언어 전이의 역할과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