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브라켄(N. John Habraken) 교수는 2023년 10월 21 일에 별세했다. 그는 1928년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태어 난 네덜란드 건축가, 교육자, 이론가이다. 그의 이론적 공헌은 대량 주택에 대한 사용자 참여 및 사용자와 거 주자를 설계 프로세스에 통합한 것이다. 그의 이론이 추 구하는 시각적 결과물은 생동감 넘치는 다양성의 건축 이다. 하브라켄은 그의 􋺷주거대(Support)􋺸에서, 주거 설 계에서 주거대(住居帶: support = base building)를 ‘내 장품(內裝品: detachable unit = infill)’1)과 분리하여 주 민들이 설계 과정에서 의미 있는 참여 역할을 할 수 있 도록 제안했다. 하브라켄은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제국주의 강제 수용소에 3년간 억류된 경험을 했고, 그 후에 네덜란드 의 델프트 공대에서 건축을 공부했다. 그는 1965∼1975 년 SAR(Foundation for Architects Research)의 소장을 역임했으며, 1967년 아인트호벤 공대의 건축학과를 신 설하고, 초대 학과장의 중책을 맡았다. 1975∼1981년 하 브라켄은 MIT 건축대학의 학과장으로 재직했고, 1989 년 퇴임하고 명예교수로 은퇴할 때까지 MIT에서 학생 들을 가르쳤다. 2016년에 나는 그가 설계해 살고 있던 네덜란드 아펠도른(Apeldoorn)의 집을 방문했다. 당시 그는 노쇠했으나, 정신은 매우 명료했다. 이후 다시 가 보려고 했는데, 이젠 지난 소망이 되었다. ―하브라켄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하브라켄의 서거를 접하고, 내게 특별한 의미가 있는 하 브라켄의 논문 한 편을 번역해 공개한다. 그는 MIT에 서 나의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지도 교수였으며, 여기 번역한 글은 박사과정 중에 출간되었다. 1991년에 나는 써머슨(J. Summerson)의 논문 「The case for a theory of modern architecture」를 그에게 소개했고, 우리는 그 내용에 대해 토의했다. 하브라켄은 4쪽, 각주 3에 써머 슨의 논문을 인용했다는 노트를 적은, 내가 번역한 영문 논문을 내게 주면서, “네가 즐겁게 읽어주었으면 좋겠 다”는 메모를 남겼다. 벌써 30년이 지났지만, 나는 이 글의 주장이 현재에도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 번 역이 하브라켄의 학문 세계를 이해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소망한다. 하브라켄의 글에는 현학적이거나 어려운 단어가 거의 없다. 포괄적 추상 개념을 지시하는 정신(Geist), 공간 (space), 표상(representation), 미학(Aesthetics) 등과 같 은 난해한 어휘도 없다. 그는 평이한 문장으로 자신의 주장과 논리를 전개하는 탁월한 능력을 가진 지적 거인 이다. 그리고 그는 특정 개념에 대해 동일한 명사를 일 관되게 사용한다. 영어 원문에 대한 이해와 참조를 위 해, 내가 일관되게 번역해 사용한 단어와 구는 다음과 같다.
        4,300원
        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의 목적은, 1960년대 내부 간행물로 출판되어 1980년대 가장 많은 영향력을 발휘한 서구 모더니즘 문학의 수용과정과 그 영향력을 고찰하는 데 있다. 케루악과 샐린저가 1980년 대 중국작가들에게 끼친 막대한 영향을 왕쑤오와 쑤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구 모더니 즘 작가들이 중국 문학가들에게 끼친 영향은 그 이전 1960∼70년대 “내부 발행” 도서에서부터 시작되어 확장된 것이었다. 이 “내부 발행” 도서는 중국의 세계인식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징표이다. 중국에서 비트 세대라는 기호는 21세기 초의 중국문학과 문화의 새로운 길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해준다. 더욱 중요한 것은, 중국 사회주의시기 이후의 문학은 사회주의시기 문학과 단절된 것이 아니라 침잠하는 잠재성을 통해 연속되고 있음을 증명해주는 분명한 징표라는 점이다.
        5,800원
        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캐나다 시의 정원에 뿌려진 씨앗 중에서 예이츠가 1차세계대전 이후의 캐나다의 대표적 시인들과 문학운동에 미친 직간접적 영향은 무시할 수 없다. 이 논문 은 아직 예이츠 연구분야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은 예이츠의 북미 강연여행(1903-4년)의 흔적을 찾고자 한다. 그리고 캐나다 본연의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작가들에게 캐나 다의 몇몇 도시에서 행한 예이츠의 강연이 어떤 영감을 주는 지 연구할 것이다. G.D. 로버츠와 블리스 카먼의 작품에서처럼 예이츠와 그의 작품에 대한 수많은 비유와 비 교점은 캐나다의 시에 깊이 베어있다. 시의 요람으로서 캐나다 남부와 몬트리올의 맥 길대은 캐나다의 모더니스트 시인들을 생산하는데, 스미스를 대표로 하는 맥길그룹은 A.J.M 스미스와 F.R. 스콧이 편집하는 􋺷맥길 격주 리뷰􋺸와 같은 군소 문예지를 통해 서 캐나다의 시에 체계적인 모더니즘 운동을 소개한다. 특히 스미스는 이전의 캐나다 의 시 기법에 아일랜드의 모더니스트적 기법을 녹여서 시의 혁신을 가져온다. 스미스 자신의 작품은 시작법과 강한 어조는 쉽게 예이츠의 시를 연상시킨다. 이 논문은 예이 츠와 아일랜드 문예부흥운동이 캐나다의 모더니스트 시 운동에 미친 가닥을 찾아서 문학의 직물을 짜고자 한다.
        4,300원
        4.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런던은 예이츠, 엘리엇, 올딩톤, 플린트 같은 이들의 시에서 다양한 자 세를 취한다. 각 시에서 런던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서, 예이츠의 이니스프리 호반 의 섬 , 플린트의 라일락 , 올딩턴의 1915년 5월 런던 , 엘리엇의 황무지 등을 읽 는다. 이 시의 전체적인 톤은 엘리엇의 경우 연옥적 요소, 엘리엇과 상반되는 플린트 의 천상적 분위기, 예이츠와 올딩턴의 현실과 꿈의 경계적 분위기, 등으로 나타나지면 좀 더 심층을 들여다보면, 전혀 다른 자세를 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게 서로 다 른 시인들인 것이다. 즉, 적어도 런던에 관한 시에서는 예이츠는 상징주의 시인으로, 엘리엇은 이마지스트 시인으로 비친다.
        4,900원
        5.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예이츠의 시에 비추어 올브라이트가 최근에 발표한 새롭게 (포스트)모던하게 창작한 시의 시학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의 당대의 시인 대니얼 올브라이트의 시를 읽으려는 시도이다. 올브라이트는 자신이 예이츠의 영향에 있다고 생각하지는 못했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는, 예이츠가 젊은 시절 블레이크의 시를 편집했던 것처럼 예이츠의 모든 시를 편집한 바 있다. 예이츠 학자로서 저자는 올브라이트의 시에서 예이츠의 반향을 들을 수 있다. 이 논문은 예이츠의 시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포스트모던한 시들이 올브라이트 시가 보여주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을 것이다.
        4,800원
        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빅토리아적 가치가 새로운 현대적 경험의 현실 앞에서 무너져 내렸을 때 모더니스트 작가들은 개별적 방식―예술이나 스스로가 만든 종교 등―으로 자기의 새로운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게 된다. 대표적 모더니스트 중 하나인 예이츠도 추상적 과학과 소박한 신앙에 염증을 느끼고 문학적 소재를 이용하여 “새로운 종교, 거의 오류가 없는 시적 전통의 교회”를 세우게 된다. 그는 󰡔비전󰡕에서 고안하여 그의 예술적 창작의 원리로 삼은 자신의 상징 체계를 설립하는데, 그 기본 개념은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은 개인이든, 역사든, 우주적 힘이든, 하나의 대립된 갈등 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체계의 극적 양상에 의해 그는 현대 세계에서의 인간 실존의 모순적 성격을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을 통해 자기 스스로 해결점을 찾는다. 예이츠에게는 그의 삶이 또한 대조의 드라마였는데, 자신의 내면에서 대립에 의해 늘 분열된 채로 있으면서 모든 대립이 그의 예술 창작을 통해 조화로운 전체로 해결되는 상태를, 비록 성취할 수는 없어도, 추구해 온 때문이었다. 세상의 유전에 말린 한 사람으로서 예이츠는 “다 떨어진 외투”가 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실패자로 운명지어져 있었다. 하지만 시인으로서 그는 그의 예술적 삶에서 승리하였다. 대조의 드라마에 의해 그는 분열되고 갈등하는 현대 세계의 경험에 통일성을 부여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예이츠의 주요 단시 4편을 대상으로 하여 예술과 삶, 영과 육, 시간과 무시간, 실제와 이상 등 대립하는 갈등 상으로 드러나는 그의 모순적 비전에 대해 논의하였고, 빅토리아적 가치의 관점에서 보아 부조리하고, 무의미하고, 기껏해야 파편적으로 보이는 현대의 세계를 그 자신의 의미 있는 새로운 세계로 재구성한 것을 그의 모더니스트로서의 업적으로 보았다.
        5,400원
        7.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난 한 세기동안 모더니즘에 대한 다양한 탐구와 논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더니즘의 미학이란 문제는 전반적으로 그 논의에서 배제되었다. 많은 비평가들이 19세기의 낭만주의와 심미주의에 대한 반대로 시작한 모더니즘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새로움을 꼽았고, 그에 대한 논의는 너무도 많다. 이제 모더니즘의 미학의 의미와 의의를 검토하는 일은 무척 가치 있는 일이다. 모더니즘의 미학을 탐구하는 과업은 한 편의 논문에서 살펴보기엔 너무 방대하고 다양하기에, 본 논문은 에즈라 파운드와 T. S. 엘리엇의 작품에 국한하여 모더니스트 미학을 탐색하고자 한다. 매간이 『텍스트의 조건』에서 논의했던 “언어적 약호”와 “서지 학적 약호”에 근거한 두 가지 다른 독서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두 모더니스트 시인이 아름다움에 대하여 매우 다른 견해를 발전시켰으며, 그에 따라 매우 다른 작품을 썼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모더니즘의 최초시라고 평가받고 있는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1915)에 나타난 엘리엇의 다양한 모더니즘 기교를 천착하는 것이다.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개념에서 구축된 모더니즘의 대 표 시인 엘리엇의 시적 기교는 인간의 자아를 성적 본능인 이드, 자아, 초자아로 구분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제임스의 “의식의 흐름”의 영향으로 낭만주의나 빅토리아조 시인들의 기교와 확연히 다르다. 엘리엇은 신중하고 우유부단한 화자 프루프록의 내적 독백, 즉 백일몽을 통하여 무의식 속에서 관능적인 여인들과의 조우 단절을 묘사함으로써 모더니즘의 한 주제인 도시 생활 속의 “소외”(疏外)를 표출하고 있다. 아 울러 시인은 베르그송 시간관의 영향으로 기계적인 “시계 시간”보다 프루프록 의식의 “심리 시간”을 수월하게 표출하고 있다. 또한 엘리엇의 모더니즘 기교는 독특한 은유, 직유, 환유, 상징 그리고 형이상시인들의 기상(奇想)보다 더 복잡한 기상의 사용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화자의 망설이는 (무)의식 또는 잠재의식을 투사하고 있는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는 확실히 그의 전통적인 하버드 습작시와 모더니즘 대표시 황무지 사이의 간극을 연결하는 혁신적인 모더니즘 최초의 시이다.
        1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terature cannot be discussed in a social and cultural vacuum, because it is a culture-bound political constru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imits of the modernist can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 S. Eliot and women. Previous formalistic readings of Eliot is이ated the critics and readers from social and biographical concerns, which made it impossible to evaluate him in a balanced viewpoint. In recent decades, as Gibert indicates, "the criteria used to evaluate writers and to understand literary history have shifted from an emphasis on formal elements to an emphasis on ethical and moral ones. The poetics of Eliot, who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nfluential leading modernists, is closely related to his politics implied in his poetics.’'(191). Sandra M. Gilbert and Susan Gubar, in their essay entitled "Tradition and Female Talent" in No Man ’'s Land, attacks the mas띠Iinity of the modernists, especially Eliot, identifying modernism as masculinism. This paper reviews the re-evaluation of Eliot and of Iiterary modernism by such feminist critics. There can be found some problems and limits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modernist canon, which is delicately related with masculinism as indicated by Gilbert and Gubar. However, their presumption that modernism is a product of sexual battle also reveals its Iimits, because it is developed by the use of extreme binary logic. Consequently, this paper, trying to pin down the position of Eliot in the modernist canon, aims to extend the horizon of the understanding of Eliot and modernism as well, by indicating the problems and Iimits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ist canon and also those of the feminist criticism. Its clue lies in Eliot’s essay "Tradition and the lndividual Talent." ’Tradition’ by which Eliot means involves in it the possibility of the revision and innovation as well as the reservation. It is because "The existing monuments form an ideal order among themselves, which is modifi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new (the really new) work of art among them." as Eliot emphasized in his essay. When the dynamism implied in the concept of "tradition" is properly understood, the new (the really new) work of art by women writers will be included in tradition, and the feminist criticism will be properly evaluated beyond its misunderstandings and distortions revealed in the blind attack on modemist writers and the modemist canon as well.
        12.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 S. Eliot's early poetic works, from his juvenilia to The Waste Land, the style changes are remarkable. The coherent, homogeneous, hypotactic, linear, logical style turns into the fragmented, heterogeneous, illogical, incoherent, paratactic style. Many literary critics have reviewed the diverse literary influences as well as philosophical, artistic, political, and social influences on his poems, but they hav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one important factor: his writing tool. A writing tool is not merely a tool to record one's thought, but it can function as “a precondition of production that contributes to our thinking prior to any conscious reaction” (Friedrich Kittler, Gramophone, Film, Typewriter 214). In his early career, Eliot replaced the traditional writing tools of pen and ink with a modern mechanical writing tool, typewriter. These two writing tools are closely related with two distinct ratios of human senses and two different kinds of cultures. Handwriting requires the hand's collaboration with the eye that guides the hand through each movement and constantly attending to the creation of each letter. When the visual technology of handwriting is emphasized, it transforms fragmented and heterogeneous reality into “homogeneity, uniformity, and continuity” (Marshall McLuhan Understanding Media 87). However, typewriting that depends on blind and tactile technologies does not require the use of the eye in the act of composition. When the eye does not have to participate in the typewriting act, there is a radical change of the ratio of human senses in the moment of composition. On making tremendous impacts on modern human consciousness, and on the ways in which modern human beings perceive reality, think, and produce discourse, typewriting produces fragmented and disruptive writings, in which illogical thinking, heterogeneity, multi-formity, and discontinuity are prominent. Thus, I suggest that a new poetics of fragmentation and disruption in modernist works would be profitably reconsidered with respect to the typewriting technologies that dissociate the eye from the writing 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