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제강점기 제주도에서 전개한 법정사 항일운동은 봉려관(1865-1938)이 항 일을 염두에 두고 1911년 9월 창건한 법정사에서 봉기한 일제 침략에 대한 저 항운동이었다. 「정구용 대구복심법원 판결문」은 송치자 66명 중 현재 공개된 유일한 판결 문이며 법정사 항일운동의 일련의 정황이 담긴 공문서이다. 「정구용 대구복심법원 판결문」에 의거하면, 법정사 항일운동은 1918년 음력 6월부터 제주 법정사에서 주지 김연일의 총지휘 하에 본격적인 사전 논의와 기 획, 준비를 마친 후, 1918년 음력 9월 3일 흑야(黑夜)에 법정사에서 기도를 한 후, 김연일과 정구용의 주도 하에 간단한 출정식을 마치고, 법정사를 출발해 상 동-영남리-호근리・서호리-강정리-도순리-하원리-중문리 경찰관 주재소까지 20여㎞ 이어진 약 400명 제주도민의 항일무장투쟁이었으며, 법정사는 항일 핵 심 인물들이 총집결했던 거점지였고 항일 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1918년 법정사 항일운동은 일제에 강점된 우리의 조국을 “원래의 한국시대 로 복귀”시키기 위한 저항이었다. 결코 특정 종교의 창시자 또는 가담자의 신앙 이 요인은 아니었다. 이번에 새로 번역, 교감한 「정구용 대구복심법원 판결문」 그리고 본 논문에 서 처음 공개한 정구용의 9건 재판 문건이 향후 법정사 항일운동 연구에 도움 이 되길 기대한다.
        8,900원
        2.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ondol (Korean floor heating system) at Hoeamsa Temple Site is known as Joseon. The main reason is that a large number of remains in the Joseon era were excavated from the ondol floor with an all-around ondol method. This article partially accepts the theory of the creation of Ondol at Hoeamsa Temple Site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suggests a new argument that some Ondol remains were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grounds for them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building sites consistent with the arrangement of the Cheonbosan Hoeamsa Sujogi (天寶山檜 巖寺修造記, Record of Repair and Construction of Hoeamsa at Cheonbosan Mountai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ondol remains as a basic floor was maintained during the reconstruction period in Goryeo. Second, the all-around ondol method of the Monastery Site has already been widely used since the Goryeo Dynasty. Third, some ondol remains consist of "Mingaejari" and "Dunbeonggaejari," which were the methods of the gaejari (which dug deeper and stayed in the smoke) in the pre-Joseon Dynasty. Based on the above evidence, this study argues that the building sites such as Dongbangjangji, Seobangjangji, Ipsilyoji, Sijaeyoji, Susewaryoji, Seogiyoji, Seoseungdangji, Jijangryoji, and Hyanghwaryoji were constructed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4,000원
        3.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독교 영성이 예수 그리스도를 닮은 영성이라면 근본적으로 선교적이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가 선교적 삶을 사셨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키예프 페체르스크 라브라 수도원의 수도사들은 모든 생애 의 절반 이상을 지하 동굴에서 수도 생활을 했다. 수도사들은 동굴 속에서 영적 수련의 길을 걷다가 성령의 권능을 받고 밖으로 나왔고, 찾아온 무리에게 복음을 전했고 병을 고쳐주었다. PLM에서 복음을 받아들인 사람들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역에 흩어져 선교했다. 선교적 영성은 삼위일체 영성이며, 성 육신적 영성이며, 만인 제사장 영성이다. 이러한 특징은 서구교회 크리스텐덤의 영향으로 이원론적이 며 계층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교회의 문제점과 해답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한국 기독교의 회복의 길은 선교적 영성에 있다.
        8,100원
        6.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현필은 호남의 그리스도교 신비주의자요 성자로 알려진 이세종, 최흥종, 강순명의 영향을 입고 ‘예수를 잘 믿기 위한 순수 신앙 운동’을 위해 수도원 공동체를 한국에 최초로 설립한 그리스도교 수도원운동의 선구자이다. 그가 설립한 동광원은 ‘예수를 닮아 예수처럼 살아보자’는 순수 신앙운동을 하는 공동체로서 어느 교파에도 소속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제자들이 자신을 우상화 하면서 고기와 약을 먹지 않는 자신의 행위를 동광원의 계율로 만들어 율법이 되어버린 일이 발생하였다. 이에 예수보다 자신이 높아진 역적이라고 선언하면서 스스로 생선국물을 마시고 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음으로 예수의 보혈만이 구원을 가져온다는 것을 몸소 보여주면서 율법주의에서 벗어나는 길을 제시해 준 지도자였다. 이렇게 살았던 이현필을 당시 한국교회는 이단이라고 정죄하였는데, 그 근거는 그의 강론을 들은 교인들이 교회를 이탈하므로 교세가 약해지자 목회자들이 퍼트린 유언비어에 기인한다. 즉 성서적인 문제가 아닌 기득권 세력의 횡포, 당시 교회들이 받아들일 수 없는 신비주의 영성과 철저한 금욕주의적인 삶, 호남 신비주의 선구자인 이세종의 제자라는 이유 때문에 비주류 세력으로 보는 오해 때문이었다. 끝으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현필의 순수 신앙운동은 한국교회사 특히 호남교회사에서 소홀히 다룰 수 없는 중요한 운동이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한국교회가 개혁과 갱신의 방향을 이현필의 교회관, 순수 신앙운동의 정신, 더 나아가 그의 신비주의 영성에서 찾아야 초대교회와 같은 순수성을 회복 할 수 있다고 제언하고 싶다. 특히 이현필의 순수 신앙운동의 정신인 ‘예수를 닮아 예수처럼 살자’는 주장은 한국교회에 ‘제자도’를 소개한 옥한흠의 제자훈련 모토와 맥을 같이한다고 보면서 이 부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싶다.
        8,400원
        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ed on travel literatures written by the Joseon literati, the different picture of seventeenth- and eighteenth-century Buseok monastery from the one today emerges. Not only do the buildings removed from the monastery today reappear, but the quite different way of the monastic operation comes to light. This observation leads to a speculation that the monastery was functionally and spatially divided into two territories; that of the Immeasurable life hall and of the Dharma hall. The Immeasurable life hall's precinct was built at the site open to the west providing a grand vista of mountainous area. This siting, originally having a close relation with the visualization such as the Sixteen contemplation, not simply gave such a special attraction that the first built architectural composition has lasted through the centuries to the late Joseon, but also granted to the Chwiweon pavilion located at the western side of the precinct a special meditative quality. As the monastery has suffered from a number of heavy duties in the Joseon period, the architectural attraction of the precinct was mobilized to promote the monastic identity as the legitimate monastery first built by Uisang, the founder of Hwaeom Buddhsim. Especially, the Chwiweon pavilion offered a mental space so that the literati might form an affirmative attitude toward the monastery and the monks. The Dharma hall's precinct was built based on the direct replication of the architectural layout presented in liturgy books for the Water and Land rite as well as the Vulture Peak rite. This layout is generally called the Court-type enclosed by four buildings, which has been widely fashioned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characteristic gave to the Dharma hall precinct an arbitrary and anonymous quality, which helped not only avoid the tourism of the literati, but also secure the sacrality and ritual efficacy at occasions of Buddhist rites. This division of territories of the monastery can be understood as the strategic reaction from the monks in order to survive in the age of oppression against Buddhism. In result, the identity of Buseok monastery in the late Joseon was established as the Nine-rank sanctuary where Bodhisattvas permanently resided.
        6,100원
        8.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function and the setting characteristics of 日type plan building ruins in the Hoe-amsa monastery site, that’s renovated by Zen priest Na-ong(1320-76) in the later Goryeo Dynasty(918-1392),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China, Japan, and Goryeo in that time. The ruins of 日type plan building, located in the east side of Buddha hall ruins, is the ruins of Jungryo(衆寮). It was called as Jeondanrim(旃檀林), and the name can be seen from the record(天寶山檜巖寺修造記) of Yi-saek(李穡, 1328-96). It’s name and the composition of plan is very similar to the Jungryo of Chinese and Japanese Zen monastery in 13th-14thcentury. And from it, we can see that, the priest Na-ong tried to introduce institution of Chinese Zen monastery, which he experienced during the time of study in China. But, the location of Jungryo in Hoe-amsa monastery is deferent from the Zen monastery of China and Japan, and it can be said as the setting characteristics of Hoe-amsa monastery in Goryeo Dynasty.
        4,900원
        9.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remony is important to Buddhism as a part of the religious practice. Buddhist ceremony is a kind of discipline and it rules the Chan monastery life. This discipline, called $\ulcorner$Qinggui(淸規)$\lrcorner$ also forms a part of the practice for enlightenment in the Chan monastery(禪宗). Qinggui is derived from $\ulcorner$Baizhang's monastic code(百丈淸規)$\lrcorner$ which no longer exists. $\ulcorner$Chanyuan qinggui(禪院淸規)$\lrcorner$ is considered the oldest surviving Chinese monastic discipline. Its success is partly due to the emphasis in the Chan monastery on the succession of monks to abbot hood. Qinggui has been called the only discipline in Buddhist monastic life in religion. Whether it is also the discipline of the architectural space of the Chan temples is the focus of this thesis. The examination of this assumption may expand the meaning of Qinggui as embodying not only the religious form of discipline but also a fundamental part of the architectural archive. The majority of the buildings in the Chan monastery in Qinggui are related to $\ulcorner$Five Mountains Ten Checks figures$\lrcorner$. Most of all, it can be clarified that the elements of Qinggui are express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ivities in each building. This proves that Qinggui has become a stipulation not only for the regulation of the monastery life but also the architectural code of the Chan temple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how the meaning of ceremony and monastery life in $\ulcorner$Chanyuan qinggui$\lrcorner$ can be expanded to include the design program of temples. The research proves that there is a basic code in the Chan temples for designing the structure of the monastery space. Similarly, $\ulcorner$Five Mountains Ten Checks Figures$\lrcorner$ was a diagram for examination and analysis as well as a tool for creating drawings of the temples in the Song era.
        4,600원
        10.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Symbolic notions of Haein Buddhist Monastery based on the context of Feng-shui. Through the study, it is verified that the geographical features surrounding the Haein Buddhist Monastery are imbued with the basic layout of the monastery and the constitutional elements of the Haein Buddhist Monastery are structured and formed with the architecture and landscape of the monastery. Thus, the study maintains that the siting and the arrangement of the Haein Buddhist Monastery reflect the context of Feng-shui.
        4,900원
        11.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우리들의 다양한 삶과 환경에는 기능적인 제품들이 위치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물에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 됨으로써 사용자들의 사고와 상상력은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21세기 기능주의 디자인이 정교한 기술을 기반으로 생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동일성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게 되었으며, 더불어 대량생산과 획일화된 소비문화에 의한 심각 한 부작용들이 나타나고 있다. 기능주의에 내재되어 있는 이러한 문제들은 이미 1970년 후반부터 논의되어 왔음에도 불구 하고 기능주의의 병폐는 여전히 수정 또는 보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기능주의 디자인에 내재된 문제를 확인 하기 위해서는 그 출발점으로 회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주의 디자인의 문제점을 발견하기 위해 루이스 멈퍼드의 기술철학적 사유의 세계를 기반으로 하였다. 제 2.1 단원에서는 멈퍼드 관점에서의 기계 즉, 기능주의의 모체이자 기계의 근원으로 지목된 중세시대의 수도원과 시계 그리고 군대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제 2.2. 단원에서는 기계와 기능주의 그리고 디자인과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기계의 3가지 기원과 해당 요소들에 대한 속성을 규명하게 된다면, 21세기 산업디자인 환경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에 대 한 근원적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향후 21세기 산업디자인이 지향해야 할 목표 와 70년대 이후 지금까지 문제로 거론되었던 기능주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나아갈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