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농작물에 크게 피해를 주고 있는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과 담배나방에 대하여 2020년부터 4년 동안 7월과 9월에 전국 7개 지역의 발생 추이를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은 경기도 안성, 충청북도 청주, 강원도 횡성, 경상북도 김천과 안동, 경상남도 창녕, 전라북도 김제를 포함하고 있다. 각 해충의 포획 마릿수는 2021년과 2022 년도에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지역 간 해충 발생 수준도 비슷하였다. 2021년도와 2022년도와 비교해서 2023년도 에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은 각각 119% 및 70% 증가했지만, 담배나방은 23%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지역 별 발생 시기 및 발생량이 매년 차이를 보이는 것은 기후 등 환경변화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사료 된다. 전체 해충 포획수는 파밤나방이 가장 많고, 담배나방의 수가 가장 적었다. 전년 대비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의 경우 중부지역이 남부에 비해 더 많이 발생하였다. 9월에 더 많이 포획되어 전년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최근 3년 동안 9월 발생 밀도가 가장 높았다. 담배나방은 전년에 비해 발생량이 급감하였으며, 안성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감소하였다.
최근들어 평균 온도가 평년보다 높게 경과함에 따라 노지 작물에 발생이 많은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담배 나방의 발생소장을 2023년 전북 익산의 노지 고추포장에서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파밤나방은 4월 중순부터 채집되기 시작하였으나 채집량은 적었고 6월 중순, 7월 중순, 9월 상순, 9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은 5월 중순부터 채집되기 시작하여 6월 상순, 7월 상순, 8월 상순, 9월 상순, 11월 상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8월 하순이후 발생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담배나방은 5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순, 8월 상순, 9월 상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10월부터는 채집량이 적은 경향이었다.
Ippa conspersa (Matsumura, 1931)를 포함한 Ippa Walker, 1864 속의 한국 분포를 최초로 확인하였다. I. conspera의 유충은 Lasius (Lasius) spp. 와 같은 몇몇 개미류를 포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국산 I. conspera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 유충의 외부 형태를 기재하 고 도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sequenced two complete mitogenomes, belonging to the families Scythrididae (Scythris sinensis Felder & Rogenhofer, 1775) and Coleophoridae (Coleophora therinella Tengström, 1848) firstly in each family. Gelechioidea is one of the controversial lineages of Lepidoptera in its phylogenetic position and number of families. Phylogenetic analyses with concatenated sequences of the 13 PCGs and two RNA genes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placed Coleophoridae, represented only by C. therinella, as a sister group to the families Depressariidae and Autostichidae, with very low nodal support (7%). Scythrididae represented only by S. sinensis was placed as the sister to the family Stathmopodidae, with relatively high nodal support (86%). As more mitogenome sequences from the extended taxonomic groups are obtained further robust phylogenetic inference will be possible.
The Pyraustinae is one of the large subfamily in Crambidae. In Korea, more than 60 species in 20 genera of the Pyraustinae have been reported. Recently, Demobotys pervulgalis (Hampson, 1913) and Ecpyrrhorrhoe dissimilis (Yamanaka, 1958) were recorded by Choi et al. (2015). Among of the Pyraustinae, the genera Callibotys and Sinibotys were established by Munroe and Mutuura (1969). In this study, we report two species of genera Callibotys and Sinibotys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with a newly recorded genus Callibotys. Illustrations of adults, male and female genitalia, description are provided.
한국 농촌 경관은 논과 밭을 중심으로 넓은 경작지와 함께 숲이 어우러진 다소 복잡한 경관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숲은 농경지와 산림 서식지 간 생물 이동과 종자 전파를 원활하게 하는 생태통로와 징검다리 역할을 함으로써 피난처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곤충 개체군의 이동 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각 서식지 간 다양성 양상을 시공간적으로 살펴보았다. 조사는 충남 (금산)과 충북 (옥천), 전남 (해남, 영광) 등 4지역에서 2014년 3월부터 8월까지 실시하였으며 나방은 자외선등 트랩을 딱정벌레는 함정트랩을 설치하여 채집하였다. 딱정벌레는 35과 225종 2,457개체, 나방은 17과 141종 403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지역별로는 딱정 벌레 종 수와 개체수 모두 충청지역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 으나 나방은 두 지역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서식지 유형별 종 수와 개체수 양상은 산림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 로 과수원, 논 순이었다. 서식지 간 식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산림에서는 초식성곤충이 과수원과 논에서는 포식성 곤충 출현비율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나방은 전남과 충청의 출현이 동일한 반면 딱정벌레는 시간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식지별로 숲, 과수원, 논 등에서 모두 봄과 여름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논에서는 늦여름에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다. 딱정벌레 역시 나방과 유사하였지만 숲에서 과수원이나 논보다 늦게 개체수가 늘어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추후 농경생태계 내 다른 서식지 형태 사이에서 분류 군의 출현양상에 대한 장기간 조사를 통하여 이번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revious phylogenetic results often showed fluctuating positions of Geometroidea in Macroheterocera, particularly from mitochondrial genome (mitogenome)-based analyses. In this study, we sequenced mitogenomes of four geometrid moths to increase taxon diversity for the inference of phylogenetic positions of Geometroidea in Macroheterocera. The general genomic features found in Macroheterocera also were found in the four geometrid moths. Phylogenetic analyses using 71 representative mitogeneome sequences in Macroheterocera yielded the consensus superfamilial relationships (((((Bombycoidea + Lasiocampoidea) + Geometroidea) + Noctuoidea) + Drepanoidea) + Mimallonoidea), confirming the sister relationship of Geometroidea to (Bombycoidea + Lasiocampoidea) in both Bayesian Inference and Maximum-likelihood method.
Laos is located in mainland of Southeast Asia, covered with 236,800 square kilometers. This country is located at the heart of the Indo-Chinese Peninsula and is surrounded by Myanmar, Thailand, Cambodia, Vietnam and China, providing a potential for a resource base and land- link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Spilomelinae described over 3,800 species in the world, but Species diversity of Spiloemlinae moths were recorded only seven species in Laos by Shubhalaxmi (2011), Mally (2015) and Park et al. (2017). In this study, we provided seven species of illustrations and basic data on Laotian moth research.
Recently the distribution of two tortricid moths, Hendecaneura impar (Walsingham, 1900) and Rhopobota orbiculata (Zhang, Li, et Wang, 2005) was reported from Korea (Kim et al. 2014; Kim et al 2015). Here, we discuss the external morphology including the male and female genitalia, life history including host plants and mitochondrial DNA data (CO1) of these two species.
최근 대추에 복숭아유리나방, 사과유리나방 복숭아심식나방이 대추과원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발생 생태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좀더 효 율적 방제시기를 설정하고자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3년간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복숭아유리나방은 5월부터 10월까지 발생되었으 며, 6월 중순과 9월 중순에 2번의 발생 최성기가 나타내었다. 사과유리나방의 경우 5월부터 10월까지 발생되었으며, 6월 중순 ~ 6월 하순과 9월 중순 ~ 9월 하순에 2번의 발생 최성기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발생 개체수가 많이 않았다. 복숭아심식나방의 경우 5월부터 10월까지 발생이 이루 어졌으며, 7월 중순과 8월 하순 ~ 9월 중순에 2번에 걸쳐 발생 최성기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한국 중부지방 용인과 남부지방 무안에서 봄 출현 나방의 다양성 양상과 나방 종 및 개체수에 영향을 주 는 기후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나방은 2013년 부터 2015년까지 4월 한 달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자외선등 트랩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기후요인은 8℃를 기본으로 한 적산온도 (GDD8), 평균온도, 강우량, 일조시간, 풍속, 신적 설 등이다. 나방 종 수 및 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기후요인은 단기 (채집주부터 3주전까지)와 장기 (채집 4~12주전)로 나 누어 분석하였다. 봄 출현 나방은 과 구성에서 유사한 양상 을 띠었지만 지역별로 우점한 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나 방과는 중부지방에서 우점한 반면 밤나방과는 남부지방에서 우점하였다. 밤나방과의 우점종은 4월 초에 나타난 반면 자 나방과의 우점종은 4월 말에 나타나 시간적인 차이도 나타 내었다. GDD8, 일조시간, 채집 일주일 전 강우량 등 3개의 단기 기후요인은 나방 종 수 및 개체수에 영향을 준 요인으 로 나타난 반면 채집 4주전 평균기온만 장기 기후요인으로 나방 종 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한 국에서 봄 출현 나방으로 자나방과와 밤나방과 종이 우점하 며 이들은 4월 중 우점도와 비행시기에 차이가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봄 출현 나방은 따뜻함과 강우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후변화는 봄 출현 나방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 한다.
경남 창원(35°09'18.16"N 128°34'43.63"E)의 단감 과수원에서 2012년과 2013년에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잎말이나방류 3종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honmai)과 차잎말이나방(Homona magnanima)은 년 4회 발생하였고, 꼬마홀쭉잎말이나방(Neocalyptis angustilineata)은 년 3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 발생 최성기는 제1세대가 5월 중순, 제2세대가 7월 상중순, 제3세대가 7월 하순-8월 상순, 제4세대가 9월 중하순으로 나타났다. 차잎말이나방의 세대별 발생 최성기는 제1세대가 5월 중하순, 제2세대가 7월 중순, 제3세대가 8월 하순-9월 상순, 제4세대가 9월 하순-10월 중순으로 나타났다. 꼬마홀쭉잎말이나방은 제1세대가 5월 하순 6월 상순, 제2세대가 7월 하순, 제3세대가 9월 상중순으로 나타났다.
A long term monitoring was carried out to compare altitudinal effects on insect community structures on high mountains and evaluate responses the monitoring and changed of insect communities induced by the climate change. These mountains were choose for Mt. Jeombong for northern part, Mt. Ilwol for middle and Mt. Beakun for southern. Each mountain was divided into three altitudinal gradients. They were collected three times a season from spring to autumn, using pitfall traps for ground beetles and UV light trap for moths. The present study presents preliminary results of analysis for the first year monitoring. In total 41beetle species and 326 moths were collected from the monitoring sites in 2012. abundance of ground beetles and moths were the highest in Mt. Baekun followed by Mt. Ilwol and lowest in Mt. Jeombo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ing area, species evenness and Shannon’s diversity index with altitude in species abundance as a response variable. Also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ree species of ground beetle and six species of moths with altitude. Although we expected a distinct cluster with the difference of altitude at each study site. one of ordination analysi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S), showed distinct clusters with the ground beetles assemblage at some altitude and moths assemblage at sampling date.
Surveillance for subtropical moths through the inanimate pathway in the Korean Peninsula was investigated during the past seven years using the light trap in Baengnyeong and Daecheong islands, located near the Northern Limit Line (NLL) in the West Sea. Each record typically includes the taxonomic identify, its country of origin, and information related to inanimate pathway. A total of 2,201 individuals were detected, comprising 25 families, 441 species of Lepidoptera.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hionarctia nivea (Noctuidae) with 44 individuals, followed by a crambid moth, Ostrinia furnacalis with 37 individuals. Among them, two species of subtropical moths, including Ischyja manlia Cramer and Spirama sp. belonging to the family Noctuidae, and they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subtropical area from the southern part of China to Borneo or Java. Interestingly, the other three species, Acronicta pruinosa (Guenée), Marumba spectabilis (Butler), and Spodoptera pecten Guenée were distributed in the southern regions, however, due to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biotic province is now considered that may be certified moving northwards.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our weather conditions and further study on the surveillance of subtropical or/and southern species is needed, considering its possible status as a pest ins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