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체육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기의 사용이 안구운동과 양안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신체 건강한 체육계열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굴절교정 수술 이력, 안질환 기왕력, 양안시 이상이 없는(사 위도: 외사위 7 Δ 이하, 내사위 1.5 Δ 이하) 25명(남 14명, 여 11명, 평균 연령 21.4±2.3세) 학생을 연구대상 자로 선정하였다. 검사자는 피검자에게 시청각 콘텐츠(VR outdoor tour contents)를 30분간 시청하도록 지시한 후 굴절검사 및 정지시력 측정, 안구 운동검사, 양안시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VR 시청 전과 후의 교정시력은 0.96±0.28(V.A.), 0.95±0.31(V.A.)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사 위도가 –5.74±2.47 Δ(exo.)에서 -10.69±3.90 Δ(exo.)로 외사위량이 증가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 었다(p<0.050). 그 외 양안시기능에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검사항목은 조절근점, 조절용이성이었다. VR 시청 전의 조절근점은 12.54±1.40 cm에서 15.19±2.22 cm로, 조절용이성은 1분 동안 반전에 성공한 횟수가 11.15±1.78 회에서 6.02±2.16회로 줄어들어 선명하게 초점을 맺는데 시간이 지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VR을 시청한 후 두드러진 시력저하와 시기능의 변화는 없었으나 사위도와 조절근점, 조절용이성 항목 에서 유의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로잔운동이 천명하는 신학교육의 목적은 세상 속에서 수행되는 하나님의 선교를 분별하고 동참하는 교회의 지도자들을 훈련시키고 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을 오늘의 신학교육에 반영한다면, 그것 은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전되고 다수 세계의 교회들이 급부상하는 상황 속에서 서구의 전통적인 신학교육 프로그램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새로운 상황에서 성경의 진리를 새롭게 이해하고 적용하는 자신학화의 노력과 새로운 상황에 적절한 상황화된 복음을 전파하는 일이 될 것이다. 그것은 또한 신학 커리큘럼을 작성함에 있어서 선교적 틀에 입각하여 선교적 차원이 모든 교과과정에 반영되도 록 하는 동시에 선교적 의도를 보다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교과목들 (e.g., 전도학, 교회개척, 선교신학, 그리고 선교학의 최근 동향 등)을 추가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할 때 신학교육은 하나님의 백성들로 하여 금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도록 인도하고 훈련시키는 미셔널 지도자들 을 배출하는 본래의 역할을 제대로 감당하게 될 것이다.
        6,700원
        4.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4년 시작된 로잔운동은 북반부 중심의 선교에서 남반부 및 전 세계를 향한 신학자 및 목회자들의 모임이었다. 이후 1989년 마닐라 선언, 2010년 케이프타운서약에서 그 이념과 방법 등이 재확인 및 적용되었다. 로잔신학의 핵심은 창조주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 성, 성령의 역사 등이다. 또한 성경의 신적 권위를 재천명(闡明)하였다.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온 세계 교회를 일깨우고 ‘전도의 긴박성’, ‘사회적 책임’ 등을 강조하였다. 오늘날 ‘선교지에 진정한 선교사가 없다’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가는 중에 로잔언약에서 강조하는 ‘전도의 긴박성’, ‘교회의 선교협력’ 등은 큰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로잔 운동이 시작된 지 40여 년이 지난 현재에도 복음운동, 로잔신학, 선교운동 등의 활동이 제한되 어 있다. 이 같은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근자에 ‘한국 로잔위원회’가 결성되어 로잔운동이 신학적으로 정립되고 그 사상과 방법적 추이가 보다 구체화되도록 연구 및 상론(相論)되고 있다. 특히 로잔언약 11항의주제를 그 모음의 구심점으로 삼아 신학교육 개선의 필요성 등을 강조하 기에 이르렀다. 이는 ‘로잔의 당위성’, ‘로잔정신의 현대 교회의 적용’, ‘로잔운동과 하나님의 통치와 정의 이해하기’ 등으로 세분하여 고찰될 수 있다. 이 같은 방법을 통하여 신학 교육이 고정된 틀 속에서 벗어나 성경적 표준에 의한 지역적 상황에 착념해야 한다. 이어진 마닐라 선언과 케이프타운 서약에서도 개혁주의를 바탕으로 한 로잔의 신학 교육의 중요성이 표출되고 있다. 비교적 근자에 시행된 케이프타운 선언에서 두드러진 사항은 선교인력의 전략적 재배치와 선교 장애적 요인을 분쇄하는 현장적응에 관한 다양성이다. 로잔운동과 이어서 발표된 선언문 등에 하나의 맥으로 흐르는 신학교육적 정책 명제는 ‘로잔신학을 이해하는 자들이 그리스도의 모범을 좇아 가난한 자를 변화시키는 곳이 예수 그리스도가 계신 곳’이 라는 확신이다.
        8,100원
        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적 움직임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시도된 연구로서 예술통합 형 무용교육의 접근방법을 고민하고, 창의적인 움직임 표현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육 안을 구 성하여 현장에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학습자는 만 60세 이상 노인 약 20명이다. 수업은 서울시 G구에 소재한 N노인종합복지관에서 2013년 2 월 22일 1차시를 시작으로 4월 12일까지 공휴일을 제외한 매주 금요일 오전 10시~12시, 2시간동안 총 7차 시 진행하였다. 개개인의 특성과 경험, 그리고 잠재력 등을 바탕으로 예술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노인대 상의 예술통합형 창의적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창의적인 교수-학습방법이 적용된 본 수업은 대부분 무리 없이 진행되었고, 이는 노년층 학습자들에 게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만들어 냈다’는 성취감 등을 심어주는 데 큰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양한 생각을 이끌어내도록 제공된 단계별 과정은 생각 → 정리 → 표현의 과정으로 진행되면서 창의 적인 동작을 만들어내는 데 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요성을 더욱 실감할 수 있었다. 셋째, 예술교육에 있어서 그들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과 교육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연령층의 구분에 따라 교사가 과제 수행 가능성을 판단하여 ‘하고자 하는 기회’를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예술교육의 교수-학습방법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소통을 중요시하는 예술교육에 있어서 학습 대상자가 다른 세대(연령층)의 특정 기호나 문화를 경험 해보도록 기회를 마련하는 것도 학습자의 사고나 생각을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 현 시대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노인무용교육의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고, 궁극적 으로는 노인대상의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며, 보다 넓은 시장의 개척으로 무용학문의 가치를 증대시 키고자 한다. 이는 노인을 위한 사회적인 문제 해결방안은 물론 사회 속에서의 예술 교육의 역할에 대한 한계 점을 뛰어 넘을 수 있는 중요한 지표를 제공하는 연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6,300원
        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모티프이론을 활용한 창작수업이 무용영재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탐색한다. 모티프이론은 무용기록 시스템중 하나로 자세한 움직임의 묘사 없이 움직이는 사람의 의도를 간 단한 마인드 맵 형태로 보여준다. 연구자는 움직임의 개념을 지닌 모티프이론과 이를 안무의 형 식(ABA, AA’ BB’ CC’)에 도입하여 수업참여자들에게 제공했다. 연구수업은 2011년 충청남도에 위 치한 A예술영재교육원 무용영재반에 등록된 초등 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6차시 수업(1-5차시 각 3시간, 6차시(집중수업) 6시간, 총 21시간)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연구자는 수업시간에 산출된 무 보, 저널, 설문지, 그리고 교사 관찰일지 등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모티프 창 작수업은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무용영재들의 창작에 대한 흥미를 자극할 수 있었고 이는 창의성 을 향상을 위한 중요한 시발점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무용영재들의 저널과 설문지를 분석해 본 결과 자기평가(self-assessment) 측면에서 창의성과 감수성, 그리고 사회성 등 다양한 영 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재교육 측면에서 모티프 수업은 교사 에게 무용영재의 다양한 측면들 표현력 및 창작능력, 자기동기, 끈기, 사회성, 리더쉽 등을 평가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티프이론은 무용영재들에게 창의적인 움직임개발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창작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무용영재교육과 공교육 현장 에서도 효과적인 교육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고 있다.
        5,100원
        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서 대학교육의 일환으로 부각되고 있는 볼룸 댄스(Ballroom Dance)와 댄스스포트(DanceSport)의 교육방법 및 교수자료 개발이라는 맥락에서 서울에 위치한 S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룸바의 기본 동작들을 본 연구자가 라반동작 분석과 바르테니에프 기본원 리를 토대로 개발한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ISES)과 발레 탄듀를 적용했을 때 발생되는 결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의 근본적 룸바 움직임이 특징적 탄듀의 미적 동작과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의 안전적 적용을 통하여 증진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따라서 발레 탄듀 와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은 기본적 룸바 움직임에 유익하며, 특히 앞, 뒤, 옆, 그리고 제자리에 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체중이동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섯 명이라는 특정 참여 자들에 관한 사례연구로써 일반화하기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스럽게 룸바의 움직임을 촉진하고, 효과적으로 기본 동작을 수행하는데 다 음과 같은 세 가지의 핵심 요소들로 함축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요소들은‘발레의 움직임 기반과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 및 룸바’,‘발레 탄듀의 특성 및 룸바’,‘미적 부문의 상 승’ 등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발레,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 그리고 룸바에는 각각 고유의 움직임 테크닉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유형들의 움직임 간에는 서로 밀접한 관계 를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각 유형의 움직임들은 서로 다른 유형의 움직임에 긍정 적인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아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방법과 교수자료는 교육과 학습을 위한 대학교육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600원
        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을 규명하는 데 있 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 교육과정 중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동작교육 수업을 진행하 기 위해 수업 연구에 대한 노력과 수업 자료를 갖고 있는지와 교사들이 생각하는 동작교육에 대 한 창의성 여부는 어떠한가를 심층면담하고 분석하였다. 수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일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 대학교육에서나 지속적인 연수를 통하 여 동작교육을 다양하게 실습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그 자료를 현장에서 필요할 때 참조 활용할 수 있도록 수준별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유아교육기관에 보급함으로써 보다 질 높은 동작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응답을 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동작 교육 지도에 있어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 창의적 동작표현 수업 시 어려운 점 등의 내용 을 살펴 본 결과에 대한 해법으로도 제시 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움직임과 관련된 동작교육만이 그 교과의 인식과 경험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것인 만큼 대학교육이나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그리고 여러 가지 교재 개발을 통해 교사들 은 수업에 필요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받기도 하고, 스스로 현장에서 개발하기도 하여 그 영역 에 대한 세계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800원
        9.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United States curriculum reform movement has recently started in each area of science education. The initiatives on curriculum reform stem from a notion that the low rate of science curricula offered in schools has been a serious problem. Th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re not only facing a lack of offerings within science curricula but also low enrollment in science courses, especially in physics, chemistry, and earth science. This trend resulted in low performances on international achievement tests including TIMSS and PISA. This paper introduces the efforts to solve existing problems through curriculum reform; including ChemCom, BioCom, EarthComm, and Active Physics. In this paper, a discussion is presented to show how the curricula can help address the status quo in science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s on curriculum reform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EarthComm), providing a closer look at the scope and sequence of the reform movement. EarthComm was chosen because it was released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RC, 1996). Consequently, EarthComm became a curriculum that espoused the visions of the Standards, which has been guiding the reform of the US curriculum. At the end of this paper, two research outcomes of the EarthComm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chools are discussed in terms of student learning and differences from conventional curricula.
        4,800원
        10.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rofessional's development of skill in qualitative analysis of humanMovement fromthe various subdisciplines of physical education.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 educators and coaches can impr
        5,200원
        11.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k, Jun-Eon. 2004. English-only Education Movement in the U.S.: Focusing on Proposition 227.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2(1). This paper analyzes the recent English-only movement prevalen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ocusing on Proposition 227, which was enacted as California Educational Code in 1998. Seemingly, the legislation of 227 is considered a victory of pro-English monolingual activists, who have propagated their anti-bilingual sentiment throughout the nation since the 1980s. Advocates of English-only education maintain that bilingualism and bilingual education do much harm to the limited English proficient students by obstructing the development of English proficiency, whereas advocates of bilingual education rebut this argument as groundless and misleading. Unless Proposition 227 is overturned by California voters, the educational law is expected to exert its legal power in oppressing bilingualism and bilingual education that have been appraised as beneficial to the education of ethnic minority students in the state.
        5,800원
        13.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p to recently at the modern education in Namyang the christian education’s influence before 1905 has not particularly received attention. But according to Shin Hak Wol Bo, the Namyang Church was founded in 1900 and in 1902 nine churches were established around Namyang. From the time in which the churches were founded, the schools of the boys and the schools of the girls for the modern education were built. The schools of boys were Boheung elementary school and Powell school and the school of girls was Jeha elementary school and the nine day schools of boys and girls were built in the nine churches. Teachers of these schools were Lee Chang Heoi and An Elizabeth. They taught the Hangul and arithmetic. Particularly after the girls and women were participated in the Bible Class, they grew into the women leader of church and the modern education patron. After 1905’s Protectorate Treaty nineteen schools were founded. Among these schools, three schools such as Boheung girl school, Bosung elementary school, and Bomyung elementary school were set up by christians and church. Many christians such as Lee Chang Hoi, Choi Sung Dae, Kim Hyeun Jun were participating in the establishment of Sangdong elementary school, Yangsung school, Songlim school, and Junkok Private House. Moreover Boheung school was the center of many schools and held the union sport and inspired the patriotism and the military spirit. And Boheung school and Boheung girl school with YangSung school established the ordinary course and the higher course and led the middle education. These two schools with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joined the National Debt Compensation Campaign. The Namyang branch of Daehan-Jaganghoi was set up by the leadership of christians such as Lee Chang Hoi. Christians such as Kim Hee Kyung and Kim Hyeui Kyung and An Maria founded the EuiSungHoi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Debt Compensation Campaign. They established Women Education Society and gave the positive support for the women education. On the contrary Buddism and the Cheondogyo did not establish even a modern school. When we observe from this side Christianity led the modern education an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n Namyang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Christians such as Hong Sung Ha and Lee Chang Hoi among Namyang church exhorters and SeoYeuDa Myeon Head Choi Sung Dae, Kim Kwan Hyeon as Kim Hong Su’s son and An Elizabeth got into the positive act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with country governors such as Jang Ho Jin, Bang Han Duck, and the enlightened confucian schol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