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 of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ddy-upland rotation cropping system on soil properties and crop productivity in newly reclaimed tidal land. Five types of paddyupland rotation cropping system were evaluated : Rice-Rice (RR) Rice-Maize (RM), Mize-Maize (MM), Rice-Soybean (RS), Soybean-Soybean (SS). The soil bulk density was the lowest RM treatment, and soil pH was a tendency to be lower in all treatments of the paddy-upland rotation cropping system. RM treatment showed a higher moisture content and low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RR treatment. Results of maize productivity in paddy-upland rotation cropping system, Except for the stem diameter growth, RM treatment showed good growth and productivity than MM treatment. Soybean growth and yield increased in the rotated upland cultivation from rice-paddy field compared to the SS treatment. But, overall treatments indicated poor growth and yield. In this study, we offer the effects of paddyupland rotation cropping system on the soil properties and upland crop growth and yield, and also out results can be provide supporting basic data that introduced paddy-upland rotation in reclaimed tidal land.
        4,000원
        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il salinity at newly reclaimed land in west coast of Korea is highly variable and depending on soil characteristics and weather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changes on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in Saemangeum newly reclaimed land. Experimental sites was selected at Gyehwa (35o75'N, 126o60'E)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and their dominant soil series was Munpo (coarseloamy, mixed, non-acid, mesic, typic Fluvaquents). Soil samples were periodically collected at 0 ~ 20 cm and 20 ~ 40 cm layer from each site.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had a wide range from 0.15 to 41.76 dS/m, which was variable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The average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from March 2014 to 2015 was 6.4 and 3.4 dS/m at Gyehwa in Seamangeum reclaimed land. Calcium concentration in soil solu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oluble sodium. Soluble sodium concentration had great variations and it was the most influencing single factor for temporal variations of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regardless of soil textural properties. The characteristics of Saemangeum reclaimed land had different shares of saline and sodic propertie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Our results indicate that persistent monitoring and modeling on soil salinity at coastal tide land is fundamental and the results can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for deciding management plans for diverse utilization or to reduce salt damage for stable crop production at reclaimed tidal land.
        4,000원
        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개간 산지토양을 공시배지로 한 pot 시험으로 초지조성비 3요소 중 인산비료인 중과석과 용성인비의 시비가 초지조성 초기단계에서 목초의 초기생육, 식생비율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검토하였다. 처리수준은 1) T, 대조구, 3요소 표준 시비량의 10% 시비, T; 중과석 시비, T; 용성인비 시비이였다. 1. 신개간 산지토양의 화학성은 매우 불량하였다. 목초의 초기생육(달관조사;1∼9등급: 1= 매우 양호, 9=매우 불량)은 T=2.0>T=3.0>T
        4,000원
        4.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개간 산지토양 배지에서 초지조성비 소석회(125 kg/10a)와 3요소 표준시비를 한 조건에서 초지조성시 수음성 고토비료인 Kieserite의 시비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처리수준은 1) ; 대조구, 2); 3요소 표준시비구 3) T; 3요소 표준시비구+kieserite 시비구 이였다. 1 신개간 산지토양의 낮은 비옥도 때문에 3요소 시비가 불충분한 대조구()의 초기생육상 및 수량은 매우 불량하였다. 대조구()에 비해서 3요소 표준시비가 된 처리구에
        4,000원
        5.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개간 산지토양을 공시배지로 한 간이 pot 시험으로 초지조성을 위한 소석회와 규산질 비료 두 토양 개량제가 orchardgass/ladino clover 혼파목초의 초기생육상, 식생/수량구성비율 및 수양에 미치는 영향을 초지조성 초기단계에서 비교.검토하였다. 처리수준은 1) 대조구( ; 석회 및 규산 무비구), 2) 소석회 소비구(; 3.75), 3) 소석회 보비구(; 7.50), 4) 소석회 다비구(; 11.25 g/pot), 5) 규산질 비료 소비
        4,000원
        6.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일한 토양종류(토양명: 송정통)에서 서로 인접한 신개간 및 기변작 초지토괴간 비파저 특성의 차이와 시비처리별 orchardgrass 목초의 초기생육상, 수양과 부기양분 함량의 차이를 비교 . 검토하고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금지토양의 비담도 개량과 크게 연관된 자비(I보), 석회(II보) 및 인산(III보)의 시용 효과를 단계별로 검토하였다. 본 III보에서는 질소, 가리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인산 무비구(
        4,000원
        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일한 토양종류(토양명: 송정통)인 인접한 토양에서 신개간지와 다소 숙전화 된 기경작 초지토양 간의 비옥도 특성과 시비처리별 목초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차이를 비교.검토하고 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초지 토양의 비옥도 개량에 연관된 퇴비(I보), 석회 (II보) 및 인산(III보)의 시용효과를 단계별로 검토하였다. 본보(II)에서는 3요소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무석회구, 2) 석회 보비구(27g), 3) 석회
        4,000원
        8.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일한 토양명(송정통)을 갖는 인접한 토양에서 신개간 토양과 다소 숙전화 된 기경작 초지토양간의 비옥도 특성과 시비처리별 목초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차이를 비교.검토하고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초지토양의 비옥도 개량에 필수적인 퇴비(I보), 석회(II보) 및 인신(III보)의 시용효과를 단계별로 비교.검토하였다. 본보에서는 3요소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무퇴비구, 2) 퇴비시용구(1,200kg/10a기준)를 처
        4,000원
        9.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in a grasslclover sward 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three different fertilizers; double superphosphate(DS), fused Mg-phosphate (FP), and complex fertilizer(CF) on newl
        4,000원
        10.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개간 산지초지의 정착, 목초의 수량제고 및 품질향상 등에 미치는 초지조성비 비종별 시비효과를 구명하고, 초지조성 및 유지관리에 비효가 높은 적합한 비료를 선택하고자 미개간 산지토양을 공시한 pot 시험으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공시된 초지 조성비 3요소 비료처리구는 1) 무비구, 2) 요소-중과석-염가, 3) 요소-용성인비-염가 및 4) 3종 복비로 하였다. 본보에서는 무기양분 및 일반성분의 함량 및 양분수량(탈취량)을 검토하였다. 1. 무기양분의
        4,000원
        11.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개간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정착(定着), 목초(牧草)의 수량제고(收量提高)및 품질향상(品質向上)등에 미치는 초지조성비(草地造成肥) 비종(肥種)별 시비효과를 비교검토하여 초지(草地)의 합리적인 시비개선(施肥改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미개간 산지토양(山地土壤)의 표토(表土)를 공시(배지)하여 orchardgrass와 ladino clover를 혼파(混播)한 pot 시험으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공시(供試)된 초지조성비(草地造成肥) 비료(肥料)의 처리내용은 1 ) 무비구, 2) 요소-중과석-염가, 3) 요소-용성인비-염가 및 4) 3종복비 ( N − P 2 O 5 K 2 O − M g O − B 2 O 3 − O M : 6-18-5-3-0.2-10)이였다. 본보(本報)에서는 건물수량(乾物收量), 수량(收量) 구성요소(構成要素) 및 식생(植生) 구성비율(構成比率)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1. 혼파목초(混播牧草) 및 ladino clover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3종복비>용인>중과석 시비구 순으로 높았고, 이들간 큰 차이를 보였다. 중과석 시비구의 각 구성목초(構成牧草)의 수량(收量)을 100%로 한 상대수량(相對收量)을 다른 시비구와 비교하여 보면, 용인 시비구에서는 혼파목초(混播牧草) 25.4%, ladino clover 21.7% 및 orchardgrass 34.2%의 수량증수(收量增收)를 보였다. 그리고 3종복비 시비구에서는 혼파목초(混播牧草) 50.4%, ladino clover 69.7% 및 orchardgrass 28.4%의 수량증수(收量增收)를 보였다. 미본과목초(未本科牧草)인 orchardgrass의 수량(收量)은 중과석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수량성(收量性)이 높은 용인 및 복비구간은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2. 식생(植生) 구성비율(構成比率)을 보면, 중과석과 용인 시비구에서는 orchardgrass : ladino clover의 비율은 약 1:1 (48:52%) 수준을 보였으나, 3종복비 시비구에서는 2:3(40:60%) 수준을 보였다. 신개간 산지토양(山地土壤)에서 초지조성비(草地造成肥)로 공시된 3종복비의 수량(收量) 중수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두과목초(荳科牧草)인 ladino clover의 정착(定着), 수량성(收量性)및 식생(植生) 구성비율(構成比率)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높았다.
        4,000원
        12.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experimen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changeable aspect and improvement of soil fertility in newly-reclaimed sloped land. Silage corn was cultivated under the six different treatments for 4 years. The relation between the amou
        4,000원
        1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organic inputs on soil properties in a newly reclaimed organic soils. The soil of the experiment site was very low in soil fertility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poor. Several organic input treatments with different source of nutrient were placed, including compost in combination with green manures for organic agricultural practices, chemical fertilizers for conventional agricultural practices, and control without fertiliz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continuous cropping system during 3 years. The chemical properties concentration in compost+green manure treatment was increased continually compare to control and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 and closed to the recommended rate of fertilizer. The organic matter value for compost+ green manure treatment was increased from 0.86~0.96% to 2.00~2.29% by continuous nutrient supply of compost and green manure.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 on increasing of organic matter value for 3 years is necessary to monitor carefully during the long-term because it will help to clarify the all mechanisms of organic matter on organic input application way. The available phosphate value for compost+ green manure treatment was generally increased from 21.9~27.1 mg/kg to 182.0~ 394.1 mg/kg. In case of exchange cation, the concentration for compost+ green manure treatment was increased during 2 years within the range to the recommended rate of fertilizer, however, it is expected to cause a rather over supply for 3 years.
        14.
        199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개간지에서 삼요소비료시용시 몇가지 물리화학적인 개량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율무재배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신개간지에서 율무를 1985년부터 4년간 재배하면서 율무에 대한 삼요소의 수량반응과 토양특성 변화를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율무의 초장은 종합개량처리구에서 가장 컸는데 2년차까지는 컸으나 3년차부터는 작아졌다. 2. 율무수량은 종합개량처리가 평균 2.16 t/ha로 가장 많고 삼요소 시용 대조구에 비하여 49% 증수되었으며 다른 처리구의 수량은 심경구>인산구>석회구>퇴비구>대조구 순으로 많았다. 3. 토양의 용적밀도나 경도는 표토에서 3년차까지 계속 낮아지다가 개량제 시용이 없었던 4년차에는 높아졌다. 토양산도는 토심이나 년차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