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3D 콘크리트 프린팅 기술은 거푸집 없이 콘크리트를 출력하고 제작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대부분이 외기에 노출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고 수축이 크게 발생한다. 또한, 결합 재 대비 낮은 골재 함량과 낮은 물/결합재 비(W/B)를 가지는 사용 배합의 특성상 수축으로 인한 균 열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3D 콘크리트 프린팅의 수축에 대한 문제는 섬유 혼입을 통해 해결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적층성 향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섬유 보강 3D 프린팅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섬유 혼입률을 변수로 실험하였다. 보강 섬유로는 PP섬유를 사 용하였고, 섬유 혼입률 0, 0.2, 0.5, 0.8%를 변수로 실험하였다. 갠트리 방식의 3D 프린터에 30 × 30 mm 사각형 개구부를 가진 노즐을 설치해 1300× 800m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로 모르타르를 출력 하였다. 호퍼 회전속도 6 rpm, 노즐 이동 속도 1500 mm/min을 적용하여 출력하였고, 1층 높이를 30mm로 출력하여 5층 적층하였다. 적층 완료 후 압축강도, 휨인장강도, 층간 부착강도를 측정하기 위 한 시험체를 각각 추출하였고, 28일 수중 양생 후 각 강도실험을 통해 역학적특성을 평가하였다.
        4.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use of hanging scaffolding for exterior wall painting and cleaning in build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arries the inherent risk of fall accidents. While periodic rope replacement is crucial for preventing accidents resulting from rope breakage, current regulations lack specificity in determining appropriate disposal period for fiber ropes. This study analyze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most commonly used PP fiber ropes with different diameters (16 mm, 20 mm)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dditionally, the effect of outdoor exposure was examined by measuring the tensile strength of new ropes and ropes exposing to outdoor conditions for 30 days and 90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w ropes and those exposed to outdoor for 30 days met the KS (Korean Standards) criteria for tensile strength. However, a significant decrease in tensile strength was observed in ropes exposed to outdoor for 90 days compared to both the new ropes and those exposed for 30 days. Furthermore, the ropes exposed for 90 days did not meet the KS criteria. These findings indicate the degradation of PP fiber ropes due to UV (Ultra Violet) radiat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is factor when determining the replacement period for fiber ropes used in scaffolding work.
        4,000원
        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mechan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rCF weight percent(10, 20, 30, 40, 50wt%) of the rCFRP specimen were evaluated and analyzed. First, to prepare rCFRP specimens, pellet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type of weight percent, and rCFRP tensile specimens according to ASTM D638 were prepared using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Tensile tests were performed on each of 10 specimens according to weight percent conditions, and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of elasticity were calculated. For a detailed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pecimen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weight percent to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rCFRP specimen was calculated using mCT and used for the analysis of mechanical properties. For a more detailed analysis, a detailed analysis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rCFRP was performed through the fracture surface analysis of the specimen using FE-SEM.
        4,000원
        8.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commercialize large diameter PP pipes, the cutting work was attempted with the cutting machine (∅18″and AL120 cutter, 2100 r.p.m) used for the conventional PE or PVC pipe(∅1200 mm, t 70), but the cutting work was failed because the material of “PP pipe” melted and sticked to the surface of the wheel-cutter. In order to find the optimal structure and number of blades for wheel-cutter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of specimen and wheel-cutter and the visualization of cutted specimen surface and chip shape were carried out during and after experiment. In addition, modelings for cutting and heat transfer mechanisms have been developed for theoretical analysis.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appropriate structure and the rotational speed of wheel-cutter are W60 and 650 rpm for the large diameter PP pipe cutting machine.
        4,000원
        1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P2A-B55α, a regulatory subunit of PP2A plays an important roles in regulating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However, the functions for PP2A-B55α in mouse early embryo development is not clear. The objective of present were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patterns and to explore its biological function during mouse early development. Thetranscripts of PP2A-B55α were detected at all developmental stages in mouse embryo and decreased during embryo development. Immunostaining revealed that PP2A-B55α was present in both the nucleus and cytoplasm in early cleavage stage embryos. In the late embryonic development, PP2A-B55α was predominantly located in the cytoplasm. Knockdown (KD) of PP2A-B55α using double strand RNA not affect the proportion of cleaved embryos, but resulted in significantly decreased development to blastocyst stage and reduced total cell number in blastocyst. KD PP2A-B55α is able to induce sustained DNA damage and reduced the transcripts of non-homologous end joining (NHEJ) or homologous recombination (HR) pathways relative genes in mouse early embryo. KD PP2A-B55αcaused apoptosis and increase the transcripts of pro-apoptotic genes in blastocyst. Furthermore, The KDPP2A-B55α showed significantly lower cell proliferating rates (from 5-Bromo-deoxyuridineassayresults) in blastocysts and to talareas of out growth potential was decreased. These observation provide novel in sight into PP2A-B55α expression patterns in mouse early embryos and down-regulation of PP2A-B55α negatively impacted blastocyst development, total cell number, DNA damage, apoptosis, and proliferation and post-hatchingevents.
        13.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나 정밀여과 및 광촉매 코팅 폴리프로필렌의 혼성 수처리 공정에서 물역세척 시간 (back-flushing time, BT) 및 PP 구 변화의 영향을 알아보고, 알루미나 한외여과막와 동일한 PP 비드를 사용한 선행 결과와 비 교하였다. 물역세척 주기(FT)는 10분으로 고정한 채, BT를 6~30초로 변화시키면서, 그 영향을 180분 운전 후 막 오염에 의한 저항(Rf), 투과선속(J)과 총여과부피(VT)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BT가 길어질수록 Rf는 급격히 감소하고 J는 증가하였으나, VT는 BT 10초일 때 최대였다. 탁도의 처리효율은 99.0% 이상으로 BT의 영향이 보이지 않았다. 한편, 유기물 처리효율은 역세척 없 는 조건(NBF)에서 89.0%로 가장 높았으며, BT가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막오염 측면에서 최적 PP 비드의 투입 농도는 20 g/L이었으나, 알루미나 한외여과막와 동일한 PP 비드를 사용한 선행 결과 최적 PP 비드의 농도는 40 g/L이었다. 탁도와 유기 물 처리효율은 PP 농도 30 g/L에서 최대였으나, 선행 결과 탁도와 유기물 처리효율은 모두 PP 농도 40 g/L에서 가장 높았다.
        4,000원
        1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ow mark is a sort of surface defect on the composite that can arise during the filling stage of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 mechanism of the flow mark which appears on the surface of injection molded Polypropylene (PP) through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urface structure. The materials used in this report are PP/rubber and PP/talc compounding, which are widely used in automobile part. The flow mark shows two different constitutions, such as a luster part and a cloud part on the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ed PP. We have investigated the surface structure of PP/rubber and PP/talc composites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AX) and optical microscopy (OM). As a result, the cloud part contains higher contents of the rubber and talc compare to the luster part.
        4,000원
        1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의 Co 및 Mo 촉매에 의한 반응시간과 농도변화에 따른 저온열분해 액화특성을 파악하고자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특정 온도(425, 450, 475℃)에서의 전환율을 측정하였다. 열분해 시간은 20~80분으로 설정하였고 생성물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고시한 증류성상 온도에 따라 가스,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450℃ 반응온도에서 촉매 사용에 따른 전환율은 모든 반응시간에 있어 Mo 촉매 > Co 촉매 > 무촉매 순이었다. Co 및 Mo 촉매 농도별 PP 전환율 및 열분해 생성물 수율은 Co:Mo=50:50 혼합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6.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도정수처리를 위한 관형 탄소 한외여과 및 PP구의 혼성 수처리 공정에서 질소 역세척 시 막오염에 의한 저항(Rf) 및 투과선속(J), 총여과부피(VT) 등을 활용하여 휴믹산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사용한 막은 프랑스 Tech-Sep사에서 제조하였으며 탄소 지지층에 산화지르코늄으로 코팅한 것이다. 실험에 사용한 모사용액은 유기물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휴믹산과 점토 무기물과 같은 미세 무기입자인 카올린을 순수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휴믹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한 막오염으로 인해 Rf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투과선속 J는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유기물질 처리효율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탁도 처리효율은 98%로 일정한 경향을 나타냈다.
        18.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analysis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PP + NP’ structure (prepositional phrase) in Chinese syntax, we have approached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adverbial phrase and complement. Until recently, analysis of grammatical function of adverbial phrase and complement has been conducted. In addition, analysis of ‘PP + NP’ structure of ‘adverbial case’ which has the same grammatical function and position is divided into ‘prepositional phrase’ and ‘special structure’. It is probably result from the conflict between ‘function’ and ‘meanings’. Therefore, we are going to approach this topic ‘why ‘PP + NP’ structure is differently divided into ‘prepositional phrase’ and ‘special structur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Zeitlichkeit’ and ‘congnitive case’.
        5,000원
        1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s of 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EPDM)/polypropylene (PP), zinc oxide, stearic acid, and clay on the combustive properties based on EDPM/PP were investigated. The EDPM/PP/clay nanocomposites was compounded to prepare specimen for combustive analysis by cone calorimeter (ISO 5660-1). It was found that the specific mass loss rate (SMLR) in the nanocomposites decreased due to the fire resistance compared with unfilled EDPM/PP, while the nanocomposites showed the higher total heat release (THR), higher CO production release, and higher specific extinction area (SEA) than those of virgin EPDM/PP. The stearic acid for softening ruber increased the THR and amount of smoke by itself, combustible.
        4,000원
        20.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감성의류용 형상기억 메모리직물의 제조 방법과 물성을 조사하기 위해 저온열처리와 정장열처리 가연법을 폴리프로필렌 POY와 SDY에 각각 적용하고 이들 사를 사용하여 PP형상기억메모리 직물을 air-jet직기에서 제조하였다. 물성비교를 위해서 PET와 PTT형상기억메모리 직물도 같이 제직하여 4가지 형상기억 메모리 직물시료를 만들고 이들의 여러 가지 물성을 측정 비료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PP형상기억 메모리 직물에 사용하기 위해 저온가연법과 정장열처리법에 의해 만든 PP가연사의 물성은 절단강 신도가제직성에 문제가 없는 값을 가졌으며 특히 열수축율이 습열은 1.5% 이하 건열은 3~5% 범위를 가짐으로써 PTT의 5~8%의 높은 열수축율에 비해 열적 안정성을 가졌다. PP형상기억 메모리 소재의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는 소성적 성능 특성 평가법인 Toray 방추성 평가는 PP소재가 PTT와 같은 5급을 나타냄으로써 우수한 변형 유지특성을 보였다. 또한 PP형상기억 메모리소재의 보온성은 PTT소재보다 약 56%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스프레이법에 의한 발수성은 PTT소재에 발수처리한 소재와 동일하게 5급의 우수한 발수성을 보였다. 그리고 PP형상기억 메모리소재의 형상기억 특성을 평가 할 목적으로 3D 이미지 방법과 카메라 측정결과 PTT소재와 비슷한 형상기억 특성을 보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