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성대장균은 설사 및 장염의 원인균 중 하나이며, 가 장 흔한 기회감염의 병원체로서 내성에 대한 지표로도 사 용되고 있는 병원체이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경상남 도 내 식중독 환자로부터 분리된 병원성대장균의 병원성 유형, 독성 유전자, 항생제 내성 및 내성 유전자 등 발생 경향과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병원성 대장균 은 월별로 6월부터 8월까지, 연령대별로 20-29세 환자에게서 가장 많이 분리된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총 283 건의 병원성대장균은 장병원성대장균(EPEC)(118건 [43.7%]), 장독소형대장균(ETEC)(80건 [28.3%]), 장출혈성대장균 (EAEC)(73건 [25.8%]), 장출혈성대장균(EHEC)(11건 [3.9%]) 으로 분류됐다. 암피실린(57.6%)과 세파졸린(39.3%)에 대 한 내성이 가장 높았으며, 내성균주의 다제내성률은 4제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주(42.6%)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내성 유전자의 분포는 blaCTX-M(48.9%), blaTEM (24.9%) 순으로 확인되었고, blaOXA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병원성 대장균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 을 예측하고, 내성균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공중 보건 관 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유통·판매되고 있는 소고기를 대상으로 식중독 발생 비율이 높은 병원성대장균의 검출 여부와 분리된 균주의 항생제 내성 및 유전적 특성을 조사 하였다. 전체 335건의 소고기 중 82건에서 병원성대장균이 검출(24.4%)되었고 102개의 다양한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의 병원성 유전자를 토대로 분류한 결과, EHEC가 66 균주로 가장 많았고 EHEC와 EPEC 등 2가지 유전자가 동시에 검출된 균주도 11균주가 있었다. 분리된 균주의 항생제 내성 시험결과, 30균주는 1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다. 그 중 tetracycline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가 27균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ampicillin, trimethoprim/ sulfamethoxazole, chloramphenicol 등의 순으로 많았다. 분리 된 균주의 혈청형 검사 결과, 혈청형은 O26, O91, O103, O104, ,O111, O113, O121, O128 및 O145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소고기의 조리 가공 시 교차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리기구 등에 대한 위생적 관리와 충분한 조리 등의 식중독 예방을 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via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APEC) is an agent associated with colibacillosis and an important primary pathogen with responsible for significant economic losses in chicke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including virule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erotype O78 APEC isolates, the predominant serotype, in Korea. Among 16 O78 APEC isolates, 13 isolates carried the genes conferring resistance to ß-lactam (blaTEM), aminoglycoside [aac(3)-II], plasmid-mediated quinolone (qnrA), tetracycline (tetA and tetB), sulfonamide (sul1 and sul2), or chloramphenicol (catA1). Three isolates showed resistance to gentamicin and carried aminoglycoside-modifying enzyme gene, aac(3)-II, simultaneously. Ten O78 APEC isolates showed resistance to nalidixic acid, but only qnrA gene among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genes was detected in one isolate. The tetA and tetB genes were also detected in nine and two isolates, respectively. In distribution of phylogenetic groups, four O78 APEC isolates only belonged to group D. But all isolates carried three to five essential virulence genes regardless of phylogenetic groups. Virulence factor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the most predominant serotype, O78, in chickens tested in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role in persistence of APEC in Korea.
Insect peptide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due to beneficial effects in the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Melittin, a fundamental component of honeybee venom produced by European honeybee Apis mellifera, has applied to prevent various inflammatory disease and bacterial infections in human. However, the therapeutic application of melittin is limited due to its low stability, hemolytic activity and expensive manufacturing costs. In this study, we aimed to discovery unknown peptides from the Apis mellifera and evaluate 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KACC 10005.
A total 15,853 peptide sequences were diciphered using Illumina HiSeq 2500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platform and analyzed based on the Apis mellifera official Gene Set Version 3.2 (amel_OGSv3.2) and the Collec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CAMPR3) database. All the peptide sequences and annotation data sets were combined and sorted by physicochemical features of antimicrobial peptides (AMPs), such as short peptide length <=50, positive charge, isoelectric point (8.0<=pl<=12), and aggregation propensity (in-vitro: <=500, in-vivo: –40<= Na4vSS <=60). Among the screened peptides, four unknown peptide candidates, named AMP1-4, were chemically synthesized and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in comparison with a reference peptide, melittin.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was observed in the AMP4 treated group from 6 hours to 48 hours post-treatment against E. coli.
These results suggest that honeybee-derived peptide sequences can be applied as natural resources to acquire novel AMPs and the peptide sequences derived parameters are enough to recognize antibacterial peptides. In addition, the selected novel peptide candidate, AMP4, has antibacterial activity.
본 연구는 수출 딸기 중 병원성 E. coli와 Salmonella spp.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산화염소 가스 농도, 상대습도, 시간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의 미생물 저감효과를 조사하였다. 병원성 E. coli, salmonella spp.를 접종한 딸기에 이산화염소 가스 농도(10, 20, 30, 40, 50 ppmv), 상대습도(50, 70, 90%), 처리시간(0, 5, 10, 20, 30분)에 대한 삼요인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각 처리 조건 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미생물 저감효과는 상대습도가 가장 높은 조건인 90%에서 이산화염소 가스 농도와 처리시간의 값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상대습도 90%, 이산화염소 가스 농도 50 ppmv에서 처리시간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 효과는 5분 동안 처리하였을 때 병원성 E. coli와 Salmonella spp.이 각각 0.5, 0.7 log CFU/g 정도 감소하였으나 20분간 처리하였을 때는 각각 2.07과 2.28 log CFU/g 정도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출 딸기 중병원성 E. coli와 Salmonella spp.를 제어하기 위한 최적의 이산화염소가스 처리 조건을 확립한 결과로서 수출 딸기의 미생물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배지와 건조필름을 이용하여 신선편이 엽채류 3종(양상추, 양배추, 어린잎채소)에서 병원성 E. coli를 분리하였고, 의심집락 동정을 위해 생화학적 분석법을 사용하여 동정한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양상추 20 g, 양배추 20 g, 어린잎채소 10 g에 병원성 E. coli 혼합 균액(Enterohemorrhagic E. coli NCCP11142, Enterotoxigenic E. coli NCCP14037, Enteropathogenic E. coli NCCP14038, Enteroaggregative E. coli NCCP14039, Enteropathogenic E. coli NCCP15661)을 최종농도가 1, 2, 3 log CFU/g이 되도록 접종하였고, BPW (80~90 ml)을 넣은 후60초 동안 균질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시료에서 건조필름 시험 양성, 양상추 시료 일부(최종농도 3 log CFU/g 접종시료)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증균배양법을 이용한 정성시험결과가 음성으로 나타났다. 증균배양과 건조필름 시험을 통해 분리한 병원성 E. coli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상추에서 분리한 병원성 E. coli의 경우, API 20E 100% (44/44), Microgen GNA 100% (44/44), Food System 66.7% (10/15)의 동정률이 나타났다. 양배추의 경우, API 20E 64.7% (22/34), Microgen GNA 50% (16/32), Food System 60% (9/15), 어린잎채소의 경우, API 20E 65.1% (28/43), Microgen GNA 62.3% (27/43), Food System 53.3% (8/15)가 병원성 E. coli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선편이 엽채류에 대한 병원성 E. coli 검출법 선택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