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aim was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s of integrated simulation pertaining to patients with schizophrenia using a hypertensive crisis module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pilot study with seve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used a single group, pre-post test design. Integrated simulation pertaining to patients with schizophrenia using a hypertensive crisis module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xpert meetings with subject professors, a literature review, a preliminary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and measur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clinical judgment, self-efficacy, simulation design, and simulation effectiveness. Qualitative contents were analyz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lass desig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clinical judgment, and self-efficacy after applying the integrated simulation module.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s of study participants,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were established: “Integrating knowledge and applying it to practice,” “Nursing in unexpected situations,” “Challenged to be an expert,” and “Ensuring receptive and psychological safety in simulation practice.” Conclusion: An integrated simulation module was developed to integrate the nursing problems associated with individual subjects beyond the scope of one subject, and the effect was verified by applying it
목적 : 기존의 안구운동 검사에서 몇 가지 개선을 통해 임상에서 활용 가능한 안구운동 검사를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 NSCUO 검사를 기반으로 검사가 가진 단점을 간단한 하드 및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여 개선하였다. 하드 웨어로는 노트북, 모니터, 웹캠, 투명 격자 용지와 소프트웨어로는 MS office를 이용한 타깃, 검사 과정 녹화에 필요한 BandicamⓇ, 그리고 검사자가 관찰하는 모니터 화면을 분할하기 위한 WinSplit Revolution 9.02Ⓡ 이다. 개선된 안구운동 검사로서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위하여 정상 성인 12명을 대상으로 검사의 반복성 및 신뢰도를 위해 검사자 한 명이 저장된 안구운동 결과 영상을 2주 후 재검사한 검사-재검사 신뢰도, 두 검사자가 하나의 검사 결과 영상을 평가한 결과를 비교한 검사자 간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기존의 NSUCO 검사에서 추가된 하드 및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개선된 검사로서 검사-재검사와 검사자 간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두 검사 비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0), NSUCO 검사와의 신뢰도 비교에서도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개선된 안구운동 검사는 기존 NSUCO 검사 환경을 객관화하여 검사-재검사와 검사자간의 신뢰도를 높여 임상에서 활용 가능한 검사로 확인되었다.
The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technology from industrial flue-gas has been an important environmental issue in these days. However, membrane process has a number of breakthrough-point to commercialization in scale-up. In this work, process optimization for high purity and high CO2 recovery with lower the capture cost has been investigated. Lab-made membrane pilot process using real flue gas has been also set up to derive industrial factor.
Isopropyl alcohol (IPA)/물의 투과증발 분리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용화된 Polyetherimide (PEI) 중공사막에 Poly(dimethyl siloxane) (PDMS)로 코팅한 복합막 모듈을 이용하여 파일롯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공급액으로는 물과 IPA를 각각 85 : 15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로 25°C에서 투과도 0.52 kg/m2h, IPA 농도 68.5%로 높은 수치를, 55°C에서 투과도 1.368 kg/m2h, IPA 농도 61.2%로 높은 투과도를 얻을 수 있었다. 테스트를 진행한 복합막 모듈의 내구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약 100일간 반응온도를 50°C로 설정하여 장기테스트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약 1.03~1.15 kg/m2h의 투과도와 61.8~62.5%의 IPA 농도로 초기 측정량과 큰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P E I 중공사막 표면에 고무상 고분자인 PDMS를 코팅한 모듈을 이용해 물-Butanol 혼합액의 분리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A사에서 개발한 막 면적 890㎠ 모듈을 실험실 테스트 규모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농도 1wt.%의 1-Butanol - Water 혼합액에 대하여 투과증발 실험을 실시하였다. 반응온도 30℃에서 투과도는 58.6g/㎡hr을 나타내었고, 선택도는 9.2%를 나타내었다. 반응온도 40℃에서 투과도는 109.5g/㎡hr을 나타내었고, 선택도는 5.6%를 나타내었다. 반응온도 50℃에서 투과도는 206.9g/㎡hr을 나타내었고, 선택도는 3.0%를 나타내었다. 같은 방법으로 A사에서 개발한 막 면적 1㎡의 모듈을 파일롯 테스트에 적용하여 실험하여 본 결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In this paper, the on-site applicability review was carried out on the actual site so that the inspection equipment for inspection of tunnel vertical-type vent can be developed to promote the safety of the inspection engineer and improve the inspection cost.
In this study, the pilot test has been performed to verify effectiveness of constructive method of data dictionary provided by previous study and the results were discussed. To perform pilot test,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of PSC beam bridge at detail design stage was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