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창조계급과 관련한 플로리다의 이론이 국내 상황에서도 적 용될 수 있다는 것, 특히 국내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인구소멸지역 재 생에 있어 창조계급이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이러 한 창조계급이 모여들 수 있도록 이들이 선호하는 생활권을 형성하는 데 에, 서점의 역할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서점은 기존 마을 주민들의 사랑방 역할과 지역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지역 안내소 역할을 동시에 담 당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기적·비정기적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 주 민과 외지인들을 아우르는 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 역시 수행할 수 있다. 자온길 프로젝트와 책방해리의 사례는 서점이 지역 재생의 가장 적합한 시작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지역 재 생은 산업화 시대와는 판이한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직선적이며 규 격화된 지역 재생이 아니라, 오래된 매력을 보존하고 이 매력을 극대화 하는 형태의 지역 재생이어야 하며, 서점은 이러한 지역 재생에 있어 중 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We prepared porous poly(ε-caprolactone)/poly(lactic-co-glycolic acid) (PCL/PLGA) 3D scaffolds with surfaces that were modified through the co-precipitation of calcium phosphate (CAP) with binary drug components, including risedronate (RSD) and hyaluronic acid (HyA). The 3D porous biodegradable PCL/PLGA scaffolds were fabricated by sintering microspheres prepared with a 30/70 PCL/PLGA blend. The co-precipitation of the CAP coating with binary drug components significantly enhanced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rat mesenchymal stem cells (rMSCs) on the scaffolds. Although the presence of both HyA and RSD positively improved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HyA and RSD were more effective on osteoblastic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respectively. These results strongly demonstrate that the drug effects on osteoblastic responses were closely interconnected. The two drugs affect rMSCs behavior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requiring a balance betwee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for optimal bone regeneration. We expect this surface modification technique could potentially be utilized for the fabrication of functionalized biodegradable scaffolds and delivery of drug mixtures.
In this study, ultrasonic waves were combined with chemical cleaning to regenerate expensive membranes or solid filters. Nitric acid cleaning alone achieved a flux recovery rate of 68%, but when ultrasonic waves were applied simultaneously, the rate increased to 91%. Similarly, cleaning with HYDREX 4710, a membrane detergent, achieved a flux recovery rate of 76%, which improved to 95% when combined with ultrasonic waves. The operational lifespan of the membranes increased by 125 hours when ultrasonic waves were used in conjunction with cleaning agents compared to using an organic detergent alone. SEM and EDX analyses of unused membranes and membranes prior to chemical cleaning revealed significant adsorption of both organic and inorganic substances, such as aluminum (Al) and silicon (Si).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ombining chemical cleaning with ultrasonic waves is a highly efficient method for membrane regeneration.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emerged as a promising therapeutic resource for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PNS) and central nervous system (CNS) that is attributable to their capacity for neuronal differentiation.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hDPSCs), which exhibit MSC-like traits, can differentiate into neuron-like cells and secrete critical neurotrophic factors; however, their therapeutic potential in peripheral nerve injury remains unexplor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generative effects of hDPSC transplantation following sciatic nerve injury (SNI) in rats. Transplantation of hDPSCs, STRO-1+ hDPSCs, or CD146+ hDPSCs after sciatic nerve transection in rats upregulated the levels of β3 tubulin, a marker of immature newborn neurons. Furthermore, the levels of glial cellderived neurotrophic factor, insulin-like growth factor 2, and the neuroregenerative factor NeuroD1 were upregulated. Motor dysfunction in rats with SNI was restored, as demonstrated by significantly higher sciatic functional index scores compared with the sciatic nerve transection group without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of hDPSCs into injured peripheral nerves results in the upregulation of neurotrophic factors, differentiation into immature neurons, and promotion of motor function recovery. This approach holds promise as a valuable therapeutic strategy for repairing injured peripheral sciatic nerves, potentially providing a solution for nerve damage in both the PNS and CNS.
본 연구에서는 이온성 물질 제거와 재생을 동시 수행하는 바이폴라막에 대한 운전 조건에 따른 성능 영향과 고회 수율을 위한 재생 조건을 연구하였다. 유입수의 농도와 유량이 증가할수록 제거율이 빠르게 감소하였으며 제거율 80% 지점 까지 유입수 농도 300 mg/L에서 최대의 TDS 제거용량을 나타내었고, 유입수 유량은 낮을수록 더 많은 TDS 제거용량을 나 타내었다. 낮은 전압에서는 제거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전압이 높아질수록 제거율이 증가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전압 에서는 추가적인 제거율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재생을 위한 전압은 75 V로 선정하였는데, 이 이상의 재생 전압에서는 온도의 급격한 상승 및 이로 인한 바이폴라막의 손상이 관찰되었다. 재생 시 재생수의 공급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운전 모드가 평가되었고 70%의 고회수율을 구현할 수 있는 재생모드를 제안하였다.
One of the efficient method for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regeneration of diesel engines is using post fuel injection, which is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during the expansion stroke. This method generates a heat for DPF regeneration by oxidation of HC with Pt coated on DOC(Diesel Oxidation Catalyst). This study investigates heat generation of DOC using post fuel injection.
샤먼의 구랑위는 20세기 초 제국주의 열강들의 공공조계지로 설립된 후, 귀향 화 교들의 정착지로 자리 잡으며 크게 성장하였다. 중-서 문화의 교류와 화교 문화의 융합으로 형성된 다원적이고 개성적인 문화적 특색을 바탕으로, 구랑위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현재 중국 최고의 관광지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본 연구 는 구랑위의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곳의 역 사적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정체성의 변천 및 문화 속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개혁개방 이후 진행된 지역 개발과 재생사업에 있어서 역사 및 문화적 자산이 어떠 한 역할을 하였고 이로 말미암아 파생된 결과는 무엇인지를 정리해 보았으며 재생사업이 지역 공동체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지역정체성과 도 시재생의 관계, 도시재생 사업의 방향성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For the regeneration of diesel particulate filters (DPF) using non-thermal plasma (NTP), both cost-effectiveness and regeneration efficiency should be raised. This study compared and contras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rbon black and engine particulate matter (PM). After carbon black was put into the DPF, an experimental setup for the oxidation of PM using NTP was created. The findings showed that carbon black and PM samples had comparable oxidation traits, micronanostructures, and C/O elemental ratios. O3, the main active species in NTP, was susceptible to heat breakdown, and the rate of decomposition of O3 increase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removal effectiveness of carbon black first improved and subsequently declined with an increase in the NTP injection flow rate during offline DPF regeneration using NTP at room temperature. A relatively high carbon black removal efficiency of 85.1% was achieved at an NTP injection flow rate of 30 L/min.
Recently, separation membranes have been applied to fields such as water supply, sewage treatment, gray water reuse, and air pollution control. Chemical cleaning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mong the methods of reusing these expensive separation membranes. It was found that the separation membrane could be regenerated using chemical cleaning.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use time of the separation membranes regenerated by chemical cleaning was sustainable for more than 1,700 hour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flux recovery ratio after chemical cleaning was maintained at least 60%. In addition, the flux recovery ratio of HYDREX 4710, an organic membrane cleaner, and 4703, an inorganic membrane cleaner, was 76% and 62%, respectively, showing the highest flux recovery ratio among the chemicals used. Considering that the target raw water of this study is biological secondary treatment water, it was suggested that chemical cleaning could be actively used to regenerate separation membranes in future water treatment.
많은 생태학자는 식물군락 및 군집이 환경요인과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변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산림식생 보다 역동적인 하천 주변에 형성되는 식물군집은 하천의 교란동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비술나무는 한반도 중부이북에 분포하는 하천의 가장자리에 군집을 형성한다. 우리는 남한강의 상류 지역에서 비술나무 군집이 정착하고 발달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하천의 수면으로부터 군집의 중앙지점의 높이는 수령등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다. 반면에 비술나무의 높이는 수령등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풍부도 (Richness(S)), 균등도(Evenness(J')), 다양도(Diversity(H') 및 최대다양도(Maximum diversity(H'max))도 수령등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개체 당 줄기의 수 및 밀도(Density(D))는 수령등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비술나무의 유묘는 수령등급 중간 단계이상의 군집 내에는 재정착에 성공하지 못했다. 유묘의 재정착은 하천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범람에 의해 생성된 공간에 정착하였다. 재정착 이후 비술나무 군집은 하나의 유기체와 같이 성장하였다. 반면에 비술나무 군집을 구성하는 식물 종은 군집이 발달함에 따라 풍부도 (Richness(S)), 다양도(Diversity(H')는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즉 구성종의 변화는 각각의 종과 군집의 환경변화와 연관된다고 판단되었다. 비술나무 군집의 재생을 위해서는 종자에 의한 유묘의 재정착이 가능한 공간이 공급되어야 한다. 본 조사가 이루어진 남한강의 중상류 지역에서는 비술나무의 재정착에 필요한 공간이 소멸되어 새롭게 생성되는 군집은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남한강 상류 지역에서 비술나무 군집의 유지를 위해서는 유묘의 재정착 에 필요한 적절한 공간의 확보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종자의 높은 유지 함량으로 인해 식・약용 및 바이오에너지 원료 소재로 활용 가치가 높은 문관과(Xanthoceras sorbifolium)의 부정아 유도를 통한 기내 재분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성숙 종자 절편을 0.5 mg l-1 6-benzylaminopurine (BA)이 포함된 MS 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부정아 유도율은 68.6%로 나타났으나, 성숙 종자 절편을 이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비율(2.86%)로 유도되었다. 부정아 유도를 위해 싸이토키닌류의 종류를 달리하여 치상하였을 때 thidazuron (TDZ)과 BA가 포함된 배지에서 70% 이상이 유도되었다. 유도된 부정아의 증식을 위해서 절간을 BA와 TDZ이 혼용 처리된 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최대 94.29%까지 신초 유도율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후 유도된 신초는 정상적인 발근과정을 거쳐 식물체로 재분화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문관과의 부정아 유도 방법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종묘확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rotoplasts were isolated from the primary leaves of lettuce (Lactuca sativa L.) seedlings 10 days after in vitro germination. The leaves were stripped and incubated in an enzyme mixture consisting of 1.2% Cellulase R-10 and 0.3% Macerozyme R-10 in cell and protoplast washing solution (CPW) overnight. The average protoplast yield was 8.25 x 106 protoplasts per g of fresh leaf tissue. When protoplasts were cultured at a density of 3.0 × 105 protoplasts/mL in agarose solid KM8P/KM8 medium, first and second divisions were observed in the protoplasts within a week. Protoplast-derived microcolonies formed after 4 weeks of culture, and visible colonies were present after 3 months of culture. Protoplast-derived microcalli were transferred to Murashige and Skoog medium supplemented with 2.0 mg/L kinetin and 0.1 mg/L NAA and incubated in the light for 3 weeks. They grew into callus, which then regenerated into plants after 7 weeks of culture. The regenerated plants grew as apparently normal flowering fertile plants.
Bulbophyllum auricomum Lindl. is a rare orchid and has flowers with an attractive fragranc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issue culture method for micropropagation. Capsules derived from artificial self-pollination were obtained for the best seed germination in MS basal medium. Plant growth regulators (1.0 mg·L-1 of BAP and 2.0 mg·L-1 of NAA) were affected by callus induction from subcultured pseudobulb explants. For the callus subculture, different natural plant extracts were tested in 11 treatment media. Among them, MS medium with 150 mL·L-1 of coconut water was generally effective in fresh weight (1.75 ± 0.08) and (3.01 ± 0.20) of callus proliferation and PLBs induction at 1 and 2 months, respectively, followed by an MS combination of 30 g·L-1 of banana and 20 g·L-1 of potato extract.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MS mediums containing plant growth regulators with a natural extract combination and MS medium supplemented with natural extract only showed that MS medium supplemented with a combination of natural extracts (150 mL·L-1 of coconut water) and plant growth regulators (2.0 mg·L-1 of BAP and 1.0 mg·L-1 of NAA) obtained the highest shoot regeneration (3.37 ± 0.17) and (6.41 ± 0.68) after 1 month and 2 months of culturing,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