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심에 녹지공간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저관리 경량형옥상정원이 많이 조성되고 있으나 토심이 낮아 활용할 수 있는 식물종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중부지방의 저관리 경량형옥상정원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식물자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곤달비와 금낭화 등 초본성 자생식물 82종에 대한 생육 및 월동특성, 지피특성, 적용 후 온도 및 토양수분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생육특성, 생존율, 월동전의 생육상태, 지피특성 등을 고려하여 잔대, 산부추, 두메부추, 벼룩이울타리, 참당귀, 개미취, 참취, 범부채, 섬초롱꽃, 패 랭이, 금낭화, 윤판나물, 용머리, 원추리, 붉은단풍취, 비비추, 흰줄무 늬비비추, 옥잠화, 꽃창포, 붓꽃, 노랑꽃창포, 곤달비, 맥문동, 하늘나 리, 참나리, 꽃무릇, 돌단풍, 강활, 수호초, 작약, 수크령, 도라지, 둥굴레, 무늬둥굴레, 양지꽃 물싸리, 할미꽃, 오이풀, 황금, 기린초, 애기기린초, 섬기린초, 세잎꿩의비름, 산비장이, 섬백리향을 선발하 였다. 또한 식물이 식재된 후의 콘크리트 표면과 토양의 온도편차는 여름철 최고 20 ~ 35οC이였으며, 토양습도는 6월과 9월 비가 많이 내리지 않는 건조기에는 5%미만으로 떨어지는 기간이 1주 이상 지 속되어 자생 초본식물의 도입시 관수를 필요로 하였다.
        4,000원
        3.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rban agriculture, which can be defined as agriculture performed in a city,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restore deserted community and expand green land in city area through cultivation activities. In Korea, ‘Urban Agriculture Promotion and Support Act’ was enforced from May 2012. In addition, in the same yea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eclared ‘the beginning of urban agriculture era,’ established municipal ordinance, and increased budget to actively support urban agriculture. As a result, urban agriculture practices have been increasing every year. Yet, the way of developing urban agriculture in a uniform way of expanding green land has led to difficulties of securing proper spaces. Accordingly, ‘roof top’ spaces have gained attention. This study analyzes rooftop garden, one of the spaces of carrying out urban agriculture, from the publicness perspective. The study selected a case study of a public rooftop garden in Mullae-dong, Yeongdeungpo-gu, investigated present conditions and usage features of the garden, and explored the conditions to be a ‘public’ roof top garden.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both physical and non-physical indicators were derived for analysis framework; physical aspects- accessibility, locality, openness, comfortness, and non-physical aspects- subjectivity, cooperativeness, and a sense of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penness and locality scores were the highest, and comfortness scored the lowest, in ensuring the publicness of Mullae roof top garden. Second, non-physical indicators had stronger effect than physical indicators on rooftop garden users’ awareness on publicness and building a garden community. In conclusion, in order to vitalize roof top garden, users should be engaged from the very first planning stage of building a garden, opening hours should not be limited, and more importance should be put on users to subjectively manage the operation of rooftop garden than merely creating a physical environment.
        5.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호텔 옥상정원의 이용현황 및 활성화를 위한 관점에서 수행하였다. 호텔 옥상정원이 조성된 3곳을 선정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 및 선호도를 조사․분석하였으며 향후, 리노베이션 계획에 있어 필요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용자 만족도 분석결과, 녹지공간의 수목량과 수종종류에 있어 도심지에 위치한 C, P호텔은 인천 H호텔보다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물에 있어 파고라, 벤치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휴게시설물에 대한 보완 및 설치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리에 있어 시설물 청결성에서 도심부에 위치한 C, P호텔의 만족도가 낮아 유지관리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자 선호도 분석결과, 휴식공간을 중심으로 문화체험, 운동 등의 복합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녹색공간 조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테마공간의 유형에 있어 유채, 튤립, 장미, 코스모스, 매화를 테마종으로 사계절 색이 화려하고 장식적인 공간 연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물에 있어 벤치, 파고라에 대한 휴게시설의 추가적 요구도가 높아서 옥상정원이 갖는 휴식기능의 주요목적과 연계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호텔 옥상정원 이용자들의 관점에서 만족도, 선호도에 기초하여 향후, 옥상정원의 조성이나 리노베이션시 적용가능한 방안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호텔 옥상정원 내 적용가능한 테마, 문화체험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장식적이면서도 녹색 휴게의 장으로서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6.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상정원 구성요소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에서 지원한 18곳의 옥상정원 방문이용자를 대상으로 방문동기, 시설물, 식물관리, 기능 및 환경, 동선 및 접근성, 이용 후 평가만족도에 대하여 총 304명을 방문 설문하였다. 그 결과 옥상정원 방문동기는 이용자의 이용 후 전체만족도에서 그리 큰 영향으로 작용하지 않았으며 단순회귀분석결과 영향이 적은 구성요소로(β=0.236)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물(β=0.609), 식물관리(β=0.623), 기능 및 환경(β=0.595), 동선 및 접근성(β=0.679)은 이용 후 전체만족도에서 높은 구성요소로 연구되었다. 또한 동선 및 접근성(β=0.679)이 다른 구성요소와 다르게 만족도에서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접근성이 옥상정원의 이용과 만족도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주는 가장 큰 구성요소로 분석되었다. 옥상정원의 만족구성요소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다중회귀분석 결과 중요도 순위는 동선 및 접근성(β=0.348), 시설물(β=0.178), 기능 및 환경(β=0.173), 식물관리(β=0.153)순으로 연구되었다.
        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철기 옥상정원의 식물관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에서 지원한 18개소의 옥상정원을 대상으로 식물관리 실태를 현지 조사 및 정원관리 담당자와의 면접설문을 통해 조사 분석한 결과 동철기 옥상정원관리에서 식물관리(33.3%), 냉해(22.2%), 물 관리(11.1%, 시설관리(11.1 %) 외에도 홍절기 병충해(5.6%) 방생으로 식물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옥상정원에서 동절기에 관상이 가능한 식물은 상록수의 Pinus densiflora(반송), Taxus cuspidata(주목), 낙엽수에서는 Coruns alba(말채), 초화류는 Pachysandra tennímllís(수호초)가 가장 많았으나 관상 가능한 식물이 1~3종으로서 종류가 매우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동절기 상록수에 대한 정기적인 물 관리의 중요성 인식이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8.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옥상조경에 식재시 라벤더의 생육 적응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일반적으로 라벤더는 지 중해가 원산지이며,평균 30-60㎝,최고 90㎝까지 생육을 하는 식물이다.사질계 양토의 건조조건에서 생육이 된다. 옥상에서의 라벤더 생육은 비용절감과 최소한의 관수와 시비,강한 풍속과 바닥열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과 낮은 지반하중 등이 요구되어진다. 옥상의 바닥온도는 오후 2시경에 직접 조사하였으며, 진주지역의 일일 평균,최소,최고 기온은 기상대 자료를 아용하여 상호간에 비교하였다. 라벤더 실험 개시일 강수량 131㎜로 조사기간 동안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이때 기온은 24~25℃로 재식 직후 건조 및 바닥열에 대한 피해를 다소 감소시킬 수 있었다.또한 강우량이 많은 날에는 기온도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나,옥상 바닥면의 온도는 항상 진주지역 최고기온보다 6~7℃차가 있었다. 배수구조에 따른 라벤더의 신초생장은 인공상토에 식재하여 심지를 이용한 저면관수의 상태의 반음지에서 20.1cm 로 펄라이트와 코이어를 1:1로 혼합하여 식재하여 반음지 상태의 통풍을 한 처리구의 14.0㎝보다 6.1㎝ 차이를 보였으며,광의 조건과 상토의 종류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다. 심지를 이용한 저면관수는 양지와 반음지 조건에서 고사되지 않았으며,배수구가 없는 곳에서 실험한 처리구는 모두 고사가 되었다. 이는 관수의 방법이 옥상녹화시스템의 식물의 생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광의 조건,배지의 종류 및 배수방법에 따라 라벤더의 고사율은 양지에서 처리를 한 실험구는 고사율이 7%로 가장 낮았으며,반음지에서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냈다. 배지의 pH는 대체적으로 6.0~6.5로 양호하였다. 또한 배지의 EC는 반음지가 52.4~73.2㎲로 배지 깊이별 전기전도도의 편차가 큰 경향으로 나타났다.
        9.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 가호동 일대의 옥상조경시설이 조성된 지역을 통하여 수목의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고 온도의 저감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식물의 존치와 토양의 분포가 옥상바닥면의 온도와 차이를 비교하였다. 옥상내 식재된 수목은 관목이 대부분이었으며, 생육은 폴리비안(Polybian) 건물의 반송이 고사되는 것이 육안으로 관찰되었으며, 모든 건물에서 사용되는 토양은 인공경량토가 아닌 마사토 및 모래로 지상보다 열악한 환경조건인 옥상에 건물의 지반하중의 부담을 감소시키며, 배수성 및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경량토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옥상 조경시설물의 온도 또한 대기온도가 13℃일때 옥상의 방수층 바닥온도는 30℃이상으로 맑은날 대기온도가 증가할수록 일사량 또한 증가하여 바닥면의 온도를 더욱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간의 옥상건물의 온도비교 분석은 해당일의 날씨 등의 요인으로 데이터의 신뢰가 다소 떨어질 수 있는 요인이 되며, 일일 데이터만으로는 여름철 전체의 대표성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차후 여름철 온도저감의 전반적 효과를 파악하는데 있어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자동 데이터 장비를 이용한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