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gricultural ODA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recipient countries. Specifically, it categorized agricultural ODA by donor global and Korea and evaluated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recipient countries in terms of agricultural total factor productivity, agricultural land productivity, and agricultural labor productivity. Results indicated that agricultural ODA contributed to improvements in recipient countries’ agricultural productivity with a certain time lag. In particular, the effect of agricultural ODA on labor productivity appeared relatively immediate, while its impact on land productivity gradually became evident over time. Although global agricultural ODA showed a greater contribution to enhanc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recipient countries than K orea’s a gricultural ODA, K orea’s O DA w as a lso found to b e effective in improving produ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sistent funding is necessary as agricultural ODA affects productivity in recipient countries over time.
This study examined impact of agricultural cooperative membership on technical efficiency, income, and costs of coffee farmers in Southern Shan State, Myanmar. Using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SFA)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methods, this study estimated average treatment effect on the treated of agricultural cooperative participation. Results showed that technical efficiency, total income, and total variable co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cooperative members than for comparable non-members. However, net income of member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mparable non-members.
We conducted a local survey targeting 300 Filipino consumers and analyzed them through multi-regression to help with the sales strategy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Philippine market. First, the Korean Wave image and K-food im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was found, and when Korean Wave stars were used as variables, the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was strengthen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iev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최근 2년동안 한국에서 꿀벌의 소실현상으로 식량난이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2020년 기준 국내 12개 과채류에서 화분매개벌의 의존도는 67.2%로 농업에서 화분매개벌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번 꿀벌 소실로 인해 딸기, 수박, 참외에서 화분매개용 꿀벌의 수요공급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였다. 딸기에서는 12월 중 꿀벌 조기소실 문제, 수박과 참외에서는 벌의 임대가격이 30-50% 상승과 더불어 벌을 구하지 못해 인력수급의 어려움 등 작물재배 농가에 큰 부담이 되었다. 꿀벌의 소실은 전세계적인 문제이며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렵다. 따라서 꿀벌에 소실에 대비하여 안정적인 작물 생산을 위한 종합적인 화분매개 관리 가 반드시 필요하다. 첫째 화분매개용 꿀벌의 사양기술의 표준화를 통하여 기존 채밀위주의 사양기술보다 더 안정적으로 벌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작물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벌을 이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확립 보급되어야 한다. 셋째는 꿀벌을 대체할 수 있는 곤충자원(뒤영벌, 토종벌)을 이용한 화분매 개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아울러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장기적인 기상변동 데이터 확보와 더불어 야생 화분매개 자원의 보호 보존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FTA로 인하여 우리나라 대중 농산물 수입액이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 지를 품목별 미시자료와 다기간 이중차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FAO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의 품목별 대중 농산물 수입액과 연도별 양허 자료를 이용하여 2015년 이후 한중 FTA로 인한 품목별 양허가 우리나라 대중 농산물 수입액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도별 양허효과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양허로 인하여 양허대상 품목이 약 680~693만 불의 수입 증가 효과가 존재하고 있었다. 그리고 연도별 양허효과가 상이하다고 가정하면 2016년, 2017년 및 2019년은 양허대상 품목의 수입증가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2018년은 통계적 유의성이 낮았다.
공간 샘플링은 공간모델링 연구에 활용되어 샘플링 비용을 줄이면서 모델링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농업분야에서는 기후변화 영향을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한 고해상도 공간자료 기반 모델링에 대한 연구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 샘플링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농지 공간샘플링 연구를 통해 농업분야 기후변화연구의 공간자료 활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층화랜덤샘플링 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1 km 해상도의 농지 공간격자자료 모집단 (11,386개 격자)에 대해서 RCP 시나리오별 (RCP 4.5/8.5) 연대별 (2030/2050/2080년대) 공간샘플링을 설 계하였다. 국내 농지는 기상 및 토양 특성에 따라 계층화 되었으며, 샘플링 효율 극대화를 위해 최적 층화 및 샘플 배정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최적화는 작물수량, 온실가스 배출량, 해충 분포 확률을 포함하는 16개 목표 변수에 대해 주어진 정밀도 제한 내에서 샘플 수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샘플링의 정밀도와 정확도 평가는 각각 변동계수 (CV)와 상대적 편향을 기반으로 하였다. 국내 농지 공간격자 모집단 계층화 및 샘플 배정 및 샘플 수 최적화 결과, 전체 농지는 5~21개 계층, 46~69개 샘플 수 수준에서 최적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물들은 국내 농업시스템 대표 공간격자로써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후변화 영향예측 공간모델링 연구들에 활용되어 샘플링 비용 및 계산 시간을 줄이면서도 모델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In several industries, including the agriculture indust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expenditure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This study explores the ICT investment of Korean agricultural corporations, and examines the effect of ICT investment on their profitability using an IT portfolio framework. As th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environment in which ICT is used is critical in examining its impact, the IT-savvy level is used as a moderator. An increase in ICT investment size results in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rofitability in organizations with higher IT-savvy levels, whereas there is no effect in organizations with lower IT-savvy levels. This study shows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ICT investments in the agriculture industry,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environment in making best use of ICT.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 농ㆍ어촌 아동들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에 의한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해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두 지역간의 차이를 검증하고 이에 관련된 변인들을 규명하였다. 또한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좀 더 나아가 지역적 요소를 변인으로 넣어 도시와 농ㆍ어촌 지역의 아동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환경적인 측면이 아동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지역적으로 비교분석을 하기 전에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만족도, 즉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만족도,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어떠한 변인보다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의의와 그 시사점을 논하고 제언을 제시하였다.
Under the background of economic globalization, the trade between countries in the world is increasing rapidly. Under the rules of WTO, the tariff rate of trade barriers is decreasing, but on the other hand, nontariff barriers are increasing. especially Compared with tariff barriers, green trade barriers have a greater impact on agricultural trade. Therefore, the negative impact of green trade barriers on agricultural products trade is a problem worthy of attention and urgent response in the future agricultural products trad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Firstly,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green trade barriers, introduces the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trade between China and South China, analyzes the influence of Korean trade barriers on’s agricultural products export trade, and on this basis, forms countermeasures to promote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export to South Korea. The research of this paper has certain guiding significance for promoting Chinese agricultural export trade to South Korea.
본 연구는 가나의 비료 보조금 정책(Fertilizer subsidy program: FSP)의 농업 생산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나의 군(district) 지역 수준의 농업 생산량 및 투입요소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여, FSP 도입 이전과 FSP 도입 이후의 농업 생산성을 계측하였다. 지역적으로 상이한 수준의 농업 생산성을 반영하기 위한 지리적가중회귀(GWR)모형을 사용하여 계측 의 오류를 줄이고 공간이질성을 고려하였다.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ArcMap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지도로 시각화 한 자료를 살펴보면, FSP 도입 이후 농업 생산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 지역을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 변화는 FSP의 지역적 할당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의사결정 자료로 이용 가능하며, 국내 ODA 추진기관에 서 농업 지도 및 지원을 위해 유용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Greenhouse of wood pellet fuel conversing from Diesel. Analyzed through a life cycle assessme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of carbon dioxide for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In evaluation of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analyzed through the life cycle assessment of carbon dioxide emissions of the greenhouse gas and, In the case of economic evaluation, we analyzed the investment payback period to the total revenue generated by each of the calculated incentive based on the RHI and institutions reduction projects a reduction of cost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of fuel costs.
This research evaluated the environmental impact of waste film used in the farming industry which is subject to voluntary agreement by Waste Charge System using Life Cycle Assessment (LCA). When analyzing the environmental scores applying weighted values, production of raw materials, production of goods and disposal had nearly 73%, 15% and 11% of contribution to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also, amongst impact categories, resource depletion and global warming had 63% and 32% of contribution respectively. For resource depletion which had the highest contribution, production of raw materials, production of goods and disposal occupied around 86%, 9% and 4% of it, and the impact category of resource depletion that belongs to production of raw materials, accounted for about 54% of the whole environmental score. Here, over 95% of it was caused by crude oil. When investigating the contribution of each phase to global warming that is the key issue of low carbon green growth, production of raw materials, production of goods and disposal had respectively, 45%, 28% and 27% of contribution. As the result, production of goods and disposal had higher contributions than resource depletion. The entire contribution of production of goods and disposal to global warming was about 17%, and it is predicted that it would bring a huge impact,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improvement plans. In the production of goods, electricity consumed was the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and electricity used in the recycling process and incineration occupied approximately 52% and 42% of the disposal stage. In conclusi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energy used in the production of goods and recycling for improving an environmental competitiveness of goods, and reduction of energy would be able to satisfy economic feasibility and environmental efficiency of the whole process of agricultural PE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