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한국 초등학생의 안축장 분포를 조사하고, 오전과 오후 측정시간에 따른 안축장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방법 : 단면연구로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12~13세(평균 연령: 12.4±0.3세, 여: 17명)의 34명 34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분결합간섭 측정계를 이용하여 안축장을 측정하였고, 굴절이상도는 개방형 자동굴절력계를 이용하였다. 일일 동안 4시간 간격으로 오전 9시와 오후 1시에 두 번 안축장을 측정하였다. 결과 : 성별에 따른 안축장의 차이는 없었다(AM: 남, 24.24±1.19 mm; 여, 24.04±0.94 mm, p=0.578, PM: 남, 24.29±1.13 mm, 여, 24.18±0.85 mm, p=0.750). 오전과 오후에 측정된 안축장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r2=0.949, p<0.001). 안축장은 오전 9시(24.18±1.08 mm)와 오후 1시(24.25±1.00 mm)에 관찰되었다(p=0.709). 그러나 안축장의 차이는 0.07±0.34 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안축장은 전반적으로 오전 보다 오후에 길게 측정 되었지만 측정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000원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굴절이상별 세 그룹으로 분류한 우리나라 아동들의 안축장과 빛간섭단층촬영(OCT)로 측정한 황반두께, 망막신경섬유층두께 사이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아동 67명(134안)을 대상으로 원시, 정시, 근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황반부와 망막신경섬유층두께는 Cirrus HD-OC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안축장은 IOL Mas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안축장은 근시, 정시, 원시그룹 순서로 길게 측정되었다(p<0.05). 중심부황반의 두께는 근시, 정시, 원시그룹 순서로 두껍게 측정되었다(p<0.05). 주변부황반부는위쪽, 코쪽, 아래쪽부분에서 근시그룹이 가장 얇았다(p<0.05).황반의 중심부 두께는 안축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283, p<0.05). 주변부 황반의 두께는 모두 안축장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귀쪽망막신경섬유층두께(Temporal RNFL Thickness)는 근시그룹이 가장 두꺼운 결과를 보였고,안축장과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상관성이 나타났다(r=0.39, p<0.05). 위쪽과 코쪽, 아래쪽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안축장과 모두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코쪽 부분의 두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r=-0.23, p<0.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소아들의 OCT로 측정한 망막의 황반부의 두께,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와 안축장은 근시의 정도가 높을수록 안축장의 길이가 더 길게 측정되었으며, 굴절이상별 세 그룹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4,000원
        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각막곡률반경과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측정값을 이용하여 비정시안의 안축길이를 산출하는 계산식 을 유도하고 계산값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방 법: 안과적 질환 및 수술 과거력이 없는 평균 나이 47.17±13.01세인 비정시안 524명(1048안)을 대상 으로 하였다. Gullstrand의 정식 모형안,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 Gullstrand-Emsley의 약식 모형안, Le Grand의 이론적 모형안, Bennett와 Rabbetts의 약식 모형안을 이용하여 안축길이를 계산하는 계산식을 유도하였다. 각각의 계산식에 자동굴절력계로 측정한 각막곡률반경과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를 적용하여 안축 길이를 계산하였고, IOL-Master로 측정한 안축길이와 비교하여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근시안과 원시안 모두에서 Gullstrand-Emsley의 약식 모형안을 사용하였을 때 계산된 안축길이 가 가장 정확하였다. 그 다음으로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 Bennett와 Rabbetts의 약식 모형안, Le Grand의 이론적 모형안, Gullstrand의 정식 모형안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각막곡률반경과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를 적용한 안축길이 계산식은 비정시안의 개인별 안경렌즈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여러 모형안을 이용하여 굴절이상도와 각막곡률반경으로부터 안축길이를 예측할 수 있는 계산식 을 유도하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안질환 및 안과적 수술 과거력이 없는 정시안 101명(174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54.62±9.11세였다. Gullstrand의 정식 모형안,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 Gullstrand-Emsley의 약식 모 형안, Le Grand의 이론적 모형안, Bennett와 Rabbetts의 약식 모형안을 이용하여 안축길이를 예측하는 계 산식을 유도하였다. 각각의 계산식에 자동굴절력계로 측정한 굴절이상도, 각막곡률반경을 적용하여 안축길 이를 예측하였고, IOL-Master로 실측한 안축길이와 비교하여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측정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 사이의 차이는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 Gullstrand- Emsley의 약식 모형안, Bennett와 Rabbetts의 약식 모형안, Le Grand의 이론적 모형안, Gullstrand의 정 식 모형안 순으로 적었으며,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으로 계산된 안축길이만이 측정된 안축길이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09). 그 중에서도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이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정시안에서 굴절이상도와 각막곡률반경을 기반으로 한 안축길이의 예측은 Gullstrand의 약식 모 형안이 더 정확하였다. 따라서 계산식을 이용한 정확한 안축길이의 예측은 개인별 안경렌즈 설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4,000원
        6.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o assess the effect of orthokeratoly lenses on axial elongation in children compared with those wearing spectacles as control. Methods: We enrolled 100 subjects (aged 7-16 years; ortho-k, 50; control, 50) with myopia of -0.50 to -5.00 diopters (D), and with-the-rule astigmatism of -0.25 to -3.00 D. History of eye disease or surgery, strabismus and amblyopia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The OK lenses used in this study were four-zone, reverse-geometry lenses with a nominal Dk of 140 Fatt unit. The corneal thickness, anterior chamber depth and axial length were measured by noncontact optic biometric device Lenstar LS900 and subjective and objective refraction, visual acuity and corneal curvature were measured before lens wear and the next day, 1 week, 1 month, 2 months, 3 months, 6months, 9months and 12months after lens wear.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between groups (p>0.37). In the OK group, the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3.78±1.17 D at baseline -0.03±0.1 D, 1.17±0.57 LogMAR at baseline 0.00±0.01 LogMAR, 546.12±22.24 μm at baseline 527.88±23.26 μm 12 months after the treatment (p<0.001), whereas anterior chamber depth remained unchanged (p>0.15). In the spectacle group, anterior chamber dep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0.04±0.03 mm (p=0.008). In 12 months, axial length increased from 24.99±0.68 to 25.21±0.72mm in the OK group and from 24.99±0.68 to 25.35±0.69 mm in the spectacle group that axial length increa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p=0.021). Conclusion: One year of OK in myopic children reduced anterior chamber depth and axial length elongation significantly compared with distance single-vision spectacle wear.
        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안축장에 따라 5가지 공식에 대한 예상굴절력과 수술 후 발생하는 실제굴절력 오차를 비교하여 굴절 오차의 경향 및 공식의 정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수술 전 접촉식 초음파 방식을 이용하여 안축장을 측정하였고, 안축장이 25 mm 이상인 환자 64명(91안)(Ⅰ군)과 안축장이 22 mm~25 mm인 환자 75명(112안)(Ⅱ군)으로 분류하였다. Ⅰ군의 경우 SRK/T 공식, Ⅱ군의 경우 SRK Ⅱ 공식으로 얻어진 인공수정체 도수를 이용하여 동일술자에 의해 백내장수술이 시행되었다. 수술 후 2개월째 SRK Ⅱ, Holladay 1, Binkhorst, Hoffer Q, SRK/T 5가지 공식으로 계산한 예상굴절력과 수술 후 실제굴절력의 오차를 이용하여 5가지 공식의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백내장수술을 받은 139명(203안)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66.74±9.40세이었다. 실제오차와 절대오차는 전반적으로 SRK/T 공식의 정확성이 가장 높았고, SRK Ⅱ와 Binkhorst 공식의 정확성이 낮았다. Ⅰ군은 Ⅱ군에 비해 실제오차 및 절대오차가 크게 나타났다(p<0.05). 실제오차와 안축장의 상관관계는 모든 공식에서 음의 상관성으로 원시화되는 경향을 보였다(r=-0.335, r=-0.495, r=-0.583, r=-0.498, r=-0.169). 결론: 안축장이 긴 경우 수술 후 원시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수술 후 굴절력이 근시가 되도록 인공수정체 도수를 결정하는 것이 안전하고, SRK/T 공식을 고려하여 인공수정체 도수를 결정하는 것이 정확하며, SRK Ⅱ 공식을 고려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굴절 오차를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눈의 굴절력을 결정하는 주요요소로는 안축장, 각막굴절력, 수정체굴절력이 있다. 근래에 백내장수술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초음파에 의한 안축장의 생체계측(biometry)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백내장수술의 경우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결정하는 데 있어 각막굴절력과 안축장의 측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백내장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각막굴절력과 안축장의 상관관계를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기존에 보고된 정상안의 안축장과 각막굴절력 사이의 상관계수와 비교하고 그 차이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백내장 수술환자 가운데 남자환자 155명 155안과 여자환자 150명 150안을 측정대상으로 삼아 Topcon ARK 8100과 Alcon의 OcuScan을 이용하여 각막굴절력과 안축장을 측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남자의 평균 안축장은 1. 23.59±1.30 mm이었고 여자는 22.93±1.22 mm이었다. 2. 남자의 평균 각막굴절력은 43.89±1.44D이었고 여자는 44.65±1.49D이었다. 3. 전체의 평균 안축장은 23.26±1.26 mm이고 평균 각막굴절력은 44.27±1.47D이었다. 결론: 남자는 안축장과 각막굴절력 사이의 상관계수가 r=-0.339(p=0.00), 여자는 상관계수가 r=-0.255(p=0.02)로 다른 보고들과 비교했을 때 남녀 모두 상대적으로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000원
        9.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근시는 가장 흔한 시력문제이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원인과 예방에 대해서는 아직도 확실한 결론이 없는 상태이다. 다만 생리학적으로 근시는 눈의 굴절력과 안축장의 길이와 관계되며, 특히나 안축장의 길이가 크게 기여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안축장 길이와 굴절력의 일중 변동을 조사하여, 근시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굴절이상 상태(근시, 정시)에 따른 변동 패턴 및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20명의 실험 참가자(연령 21~30, 평균=25.25)가 자동굴절력계(SRW-5000, SHIN-NIPPON)를 이용하여 굴절력을 측정하였고, 매우 정확하고, 눈에 직접 닿지 않고 측정이 가능한 IOLMaster(Zeiss)를 이용하여 안축장 길이를 측정하였다. 각 실험 참가자는 정시군, 근시군(Stable Myopes), 진행 근시군(Progressing Myopes)의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측정은 오른쪽 눈을 대상으로 오전 8시, 12시 오후 5시에 걸쳐 하루 동안 이루어졌다. 결과: 20명의 참가자중 6명의 일중 안축장의 변동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4명은 진행 근시군에 속했으며, 2명은 정시군에 속하였다. 하지만 각 그룹간의 안축장 변동폭과 유형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러한 안축장의 변동은 개인별로 일정하지 않았다. 또한 굴절이상의 변동과 안축장의 변동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일중 안축장의 변동이 확인되었다. 특히 진행성 근시는 다른 굴절이상에 비해 변동폭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진행성 근시인 사람이 하루 중 시력 변동을 경험하는 하나의 요소로 여겨진다. 하지만 변동 유형과 정도는 굴절이상 상태, 즉 정시, 안정 근시(Stable Myopes) 및 진행성 근시(Progressing Myopes)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개인별로 다양한 유형의 변동을 보였다. 따라서 일중 안축장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생리학적 요소를 밝히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10.
        199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mera arrangement for depth and image correspondence is very important to the computer vision. Two conventional comera arrangements for stereo computer vision are lateral model and axial motion model. In this paper, using the axial motion stereo camera model, the algorithm for camera focal length measurement and the surface smoothness with the radiance-irradiance is proposed fro 3-dimensional image correspondence on stereo computer vision. By adapting the above algorithm, camera focal length can be measured precisely and the resolution of 3-dimensional image correspondence has been improved comparing to that of the axial motion model without the radiance-irradiance 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