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레몬과즙의 헤스페리딘 함량이 가장 많은 수확시기 지표를 결정하기 위해 수관내부 및 외부에 착과된 과실에 대해 시기별 헤스페리딘 함량을 착색시기 및 과중과 연관시켜 평가했다. 그 함량은 과실생장에 따라 달랐으며 수관내부 및 외부에 있어 착색이 막 시작되는 개화 후 162일과 176일째에 가장 많았다. 그리고 수관외부가 내부보다 많았다. 이상의 결과는 레몬과실의 헤스페리딘 함량이 가장 많은 적정 수확 시기는 착색이 막 시작이 되고 과실의 생장이 멈추기 직전이라는 것을 나타냈다.
        4,000원
        3.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자의 착즙방법별 품질특성과 관능검사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원심분리식과 압착식 및 효소처리하여 압착한 방법으로 나뉘었다. 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펙틴분해효소를 첨가한 방법이 수율이 68%로 가장 높고 압착식이 26.3%로 낮게 나타났다. PH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당도는 압착한 방법이 6.0˚brix로 가장 높았고, 원심분리식이 4.5˚brix로 가장 낮았으며, 유리당은 모든 추출방법에서 fructose가 높은 함량을 보였
        4,000원
        4.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귤 부위별 및 감귤 주스 가공 후 폐기되는 착즙박을 배지로 하여 재배된 간, 표고, 새송이, 산호침, 참부채 및 영지 버섯) 균사체의 GC/MS에 의한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감귤 분말에서 휘발성 물질은 29종류이었는데, , , , caryophyllene, , germacrene-D 및 은 감귤류의 essential oil 중의 성분들이었으나 8-hydroxy-linalool, , tetradecanoic acid 및 pentadeca
        5.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지역에서 가공용으로 생산되는 비 상품 밀감의 출하초기 과일의 탈산을 위하여 원료 과일의 열처리 및 착즙주스의 전기투석 효과를 검토하였다. 열처리인 경우 에서 40시간 열처리를 한 결과 평균중량은 20.2% 감소하였지만, 당산비는 평균 37.4% 증가하였다. 그리고 열처리에 의한 감산효과는 20-30% 정도이며, 처리온도와 시간은 및 24시간 전후가 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착즙주스의 100분 전기투석 결과 총산도는 1.25(Oct.30)
        6.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산 온주 밀감 주스의 제품화 기술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공극의 크기가 서로 다른 네종류의 한외여과 막을 사용하여 잔류액과 투과액의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공극의 크기에 따른 감소율은 총산, citric acid, ascorbic acid 유리당, neohesperidin은 10K에서 100K daltons 사이에서는 막의 공극 크기가 커짐에 따라서 증가하다가 500K daltons에서 감소하였다. 색도, 당도, 총 질소, 아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