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는 연안지역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이 점점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바, 최근 기후변화 적응 및 리스크 평가에 있어 많은 연구들이 취약성과 함께 회복탄력성 개념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연안재해 회복탄력성 측정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측정 모형 개발에 앞서 연안재해 회복탄력성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검토를 통해 취약성과 회복 탄력성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함께 여러 피드백 메커니즘이 포함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작성하였다. 연안재해 회복탄력성 측정 모형은 네 가지 측정값(MRV, LRV, RTSPV, ND)과 연안재해 회복탄력성 복합 지수(CRI)를 포함하고 있으며, 개발된 지수는 국내 연안침식 사례에 적용되었다. 또한 지수 등급에 따른 지역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네 가지 회복탄력성 측정값을 통해 각 지점이 가지는 연안침식 회복탄력성의 다양한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안 회복탄력성 복합 지수의 매핑 결과 서해안 및 남해안 지역에 비해 동해 안 지역들은 연안침식 회복탄력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회복탄력성 측정 모형은 적응 이후의 이행전략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취약 지역 그룹 간 정책지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이용 가능하다.
The amount of temporarily stored spent nuclear fuel in South Korea will be reaching saturation in a near future. Therefore, it is an urgent issue to construct a spent nuclear fuel storage system. In order to construct the storage system, some coast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temperature, pH,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ea water in South Korea have to be evaluated and predicted because they can affect in deterioration of the storage system. However, in South Korea, the coast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rea where the storage system is likely to be built are not well established until now. In this study, a time-series deep-learning algorithm is developed using the Long-Short Term Memory (LSTM) algorithm to predict and evaluate the coast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wellestablished data from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As a result, by developing the predictive model to evaluate the coast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 intend to apply it for site evaluation to construct the spent nuclear fuel storage system or many other applications related to the nuclear as well.
정부(해양수산부) 및 관계기관에서는 안전관리 취약선박의 해양안전 증진을 위한 많은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선박의 안전관리에 대한 위험성평가 부재로 각 제도의 효과성에 다소 아쉬움이 확인되었다. 선박의 위험성평가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는 대부분 개별적 해양사고 위험성에 대한 단편적 위험성만을 취급하고 있어 포괄적 해양사고 위험성평가를 위한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 선박의 안전관 리에 대한 포괄적 위험성평가 적용사례로 항만국통제와 노르웨이 해사국의 점검대상 선정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양사고 및 등록현황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연근해어선을 대상으로 포괄적 선박안전관리 위험성평가를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각 선박별 위험성을 계량적 수치로 확인하였고, 개별적 안전관리 취약요소의 순위를 식별하였다.
This paper develops a risk index based on an indicator of risk assessment in terms of coastal activity location and accident type. The risk index is derived from a formula which adds the consequence of failure to a vulnerability value, then subtracts the mitigation value. Specifically, the consequence of failure is the number of casualties in coastal activity locations. An indicator of vulnerability refers to coastal environment elements and social elements. A pointer of mitigation includes managerial and organizational elements that indicate the capabilities of coastal activities. A risk rating of coastal activity location is found from a risk matrix consisting of the accident location and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accidents at coastal activity locations by allowing the Coastal police guard to monitor effectively and inform visitors of potential ri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