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으로 알려져 있고, 플라스틱 제품의 가소제로 사용되고 있는 di-(2-ethylhexyl) phthalate (DEHP)가 흰쥐의 간세포 미세구조와 간조직내 metallothionein (MT)의 발현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EHP는 흰쥐 간세포의 미세구조와 MT 발현에 영향을 주었다. 실험군의 경우 조면소포체가 발달하고, 미토콘드리아가 증가하며 리소솜 혹은 퍼옥시좀들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MT
        4,000원
        3.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수컷 랫드에 DEHP를 투여하여 실험적으로 생식 독성을 유발하고, vitamin E와 catechin을 단독 및 병용 투여하여 수컷 랫드에서 정소의 조직학적 변화, 정액 특성의 변화 및 정자의 운동성 변화 등을 조사하여 그 예방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DEHP를 투여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 정자농도, 정자 생존율, 정상 정자율이 감소하였다. DEHP에 의한 생식 독성을 예방하기 위해 vitamin E와 catechin을 단독 또는 병행
        4,000원
        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e to the fourth-instar larvae of C. riparius have a sensitive to ecdysteroidal molting hormones for the life cycle developments, accordingly the emerged adult affected corresponding to larval phase's environments. The emerged female from larval phase ex
        4,000원
        7.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플라스틱 제품의 가소제로 널리 사용되며, 최근 내분비 교란물질로 알려져 있는 di-(2-ethylhexyl)phthalate(DEHP)를 흰쥐에 15일 동안 구강 투여(1g/kg/day, 2g/kg/day, 3g/kg/day)한 후, 정자형성과정에 연관된 정소의 기능과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EHP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 증가율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소의 무게도 감소하였다. 또한 세정관의 직경이 고농도군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4,000원
        8.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articulate matter with an aerodynamic diameter of less than 2.5 μM (PM2.5) is one of the major environmental pollutants.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an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in PM2.5, has been utilized for the manufacturing of polyvinyl chloride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final product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cotoxicological effect of DEHP on the viability of skin keratinocytes (HaCaT). DEHP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mediated by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through the produc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terestingly, we found that DEHP induces the phosphorylation of the nuclear factor-kappa B responsible for the expression of cleaved caspase-3 as an executional cell death protease in HaCaT cell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DEHP in PM2.5 induces the apoptotic death of human keratinocytes via ROS-mediated signaling events.
        9.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docrine disruptors have been concerned in toxicology but now challenged as physiological point especially concerned with exposing dose and period. In this study the low-dose chronic administration of di(2-ethylhexyl) phthaltae (DEHP) during reproductive period was examined to evaluate the possible roles. Adult male and female CD-1 mice were exposed to DEHP with drinking water containing 133 g/L and 1,330 ㎍/L DEHP in water according to OECD 433 guide line and sacrificed just after weaning. The weights of uterus and ovary were decreased by drinking of 1,330 ㎍/L DEHP water. There was not adverse effects on either accumulated mating rate and mating rate depend on estrus stage, pregnancy duration, and sex ration at birth. However, the accumulated rate of successful delivery and litter size were significantly high at 1,330 ㎍/L DEHP water. The number of epididymal sper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drinking of 1,330 ㎍/L DEHP water. In addition, the number of follicles (primary, secondary, tertiary) were more many than control at 1,330 ㎍/L DEHP water drunk mother. 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what are the mechanism of DEHP in folliculogenesis and spermatogenesis. From this study we firstly report the effect of low-dose chronic administration of DEHP with drinking could change the ovarian follicle population size and spermatogenesis rate. Put together, those finding is different from previous high-dose effects and suggest the physiological role of DEHP in gonads and uterus.
        10.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present study, we employed Hershberger assay to determine possible androgenic or antiandrogenic activities of three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substitute candidates. The assay was carried out using immature castrated Sprague–Dawley male rats. After 7 days of the surgery, testosterone propionate (TP, 0.4 mg/kg/day) and test materials (low dose, 40 mg/kg/day; high dose, 400 mg/kg/day) were administered for 10 consecutive days by subcutaneous (s.c.) injection and oral gavage, respectively. Test materials were DEHP, 2-ethylhexyl oleate (IOO), 2-ethylhexyl stearate (IOS) and triethyl 2-acetylcitrate (ATEC). The rats were necropsied, and then the weights of five androgen-dependent tissues [ventral prostate, seminal vesicle, coagulating glands, levator ani-bulbocavernosus (LABC) muscle, paired Cowper’s glands, and glans penis] and four androgen-insensitive tissues (kidney, adrenal glands, spleen and liver) were measured. All test materials including DEHP did not exhibit any androgenic activity in the assay. On the contrary, antiandrogen-like activities were found in all test groups, and the order of the intensity was ATEC < DEHP < ISO < IOO in the five androgen-sensitive tissue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low dose treatment and high dose treatment of all replacement candidate groups. In DEHP groups, high dose treatment exhibited significant weight gains in LABC and Glan Peni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ndrogen-insensitive tissue measurements. Since the effects of ATEC treatment on the accessory sex organs were much less or not present at all when compared to those of DEHP, ATEC could be a strong candidate to replace DEHP. IOO treatment brought most severe weight reduction in all of androgen-sensitive tissues, so this material should be excluded for further screening of DEHP substitute selection.
        11.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HP(di-ethylhexyl phthalate)는 가장 널리 쓰이는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인체노출 빈도가 매우 높은 내분비계장애물질이다. 본 연구는 임신기와 수유기 동안의 DEHP 노출이 후세대 생쥐 암컷 난소 및 난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난소의 기능유전체 발현 변동을 조사하고, 유전자 발현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생식독성 마커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DEPH를 임신(GD) 1일째부터 수유기에 해당하는 출생 후(PND) 20일까지 모체에 0, 1.5 mg/kg/day 농도로 경구투를 한 후, F1 암컷의 난소 RNA를 추출하여 microarray 분석을 수행하였다. Expression Console software version1.1을 이용하여 발현변화가 나타난 유전자 정보를 획득하였다. 대조군과 1.5 mg/kg/day 처리군의 난소조직의 microarray 분석 결과, 약 120여 개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 정보를 확보하였으며, 특히 골지체에 존재하는 당전이효소인 fucosyltransferase 11(FUT11)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난소 내 FUT11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발정주기에 따른 난소 FUT11 발현, 과배란을 유도한 후 난포 성숙과정에서의 FUT11 mRNA 및 단백질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발정주기에 따른 난소 조직에서의 FUT11발현은 발정기시기에 가장 높았으며, granulosa luteal cell, oocyte, interstitium에서 FUT11 단백질 발현이 확인되었다. 과배란을 유도한 난소조직에서는 PMSG 46 h 째에서 FUT11의 발현이 가장 높았다. DEHP는 임신기 및 수유기를 통해 장기간 노출될 경우 후세대 암컷의 난소기능 및 난자에 기능적 문제를 야기한다. FUT11은 인체질병 발생시 비정상적인 당잔기의 합성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실제로 암 조직이나 염증부위의 단백질 및 당지질의 당쇄부위에 fucosylation이 증가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 DEHP의 장기 노출이 후세대 암컷 생쥐 난소내 FUT11 발현을 증가시켜 난소 내 granulosa luteal cell, interstitium, oocyte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의 당쇄구조의 비정상적인 fucosylation을 유발함으로서 난소의 내분비기능과 및 난자성장 및 성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2.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플라스틱 가소제인 di(2-ethylhexyl)phthalate (DEHP)는 매우 잘 알려진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중 하나로, 수컷 설취류와 인간의 생식과 발생 과정에 있어 강력한 항안드로겐성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춘기 이전에 수컷 흰쥐를 DEHP에 노출시킴으로써 부속 성기관의 성숙 과정 동안 나타나는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결과로, DEHP 투여에 의한 체중, 혈중 T 수준, 저정낭과 전립선을 제외한 조직의 무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저정낭의 경우, 고농도(200 ㎎/㎏)의 DEHP를 처리한 투여군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전립선의 경우, 저농도(20 ㎎/㎏)와 고농도의 DEHP를 처리한 모든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무게의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조직학적 연구 결과, DEHP 투여군의 저정낭은 대조군에 비해 점막층의 면적이 감소하였다. 또한, 전립선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분비상피세포들이 입방형인데 비해 DEHP 투여군에서는 위중층상피세포 형태가 관찰되었다. 정량적 RT-PCR 연구에서, 저정낭에서의 ER-α 발현은 고농도 DEHP 투여에 의해 유의한 발현 증가가 나타났으며(p<0.05), ER-β의 경우 저농도 DEHP 투여에 의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다(p<0.05). 전립선에서의 ER-β 수준은 저농도 DEHP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나(p<0.05), 고농도 DEHP 투여에 의해서는 유의한 발현 증가가 나타났다(p<0.01). 그러나 AR 발현의 경우, 저정낭과 전립선 모두에서 DEHP에 의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i) DEHP의 유해한 작용이 사춘기 이전 시기의 성적인 성숙을 교란할 수 있으며, (ii)저정낭과 전립선이 사춘기 이전 시기 DEHP 노출에 대한 민감한 표적이 될 수 있고, (iii) DEHP의 유해한 작용이 ER과 연관된 기작을 통해 매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