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IMF 경제위기와 신용카드 사태로 인해 신용불량자의 경제적 회생이라는 과제를 가지게 되었다. 휴면예금활용에 관한 제도는 한국이 2016년 일본보다 10년이나 앞서 2007년에 도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휴면예금활용에 대한 비교분석을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관점에서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의 휴면예금활용은 저소득층의 개 인대상 신용대출 위주로 진행하는 반면에 일본은 민간공익활동단체 조성 위주로 진행하고 있다. 휴면예금활용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사례에 따르 면, 취약계층을 포함한 지역주민을 위해 공익적 활동을 전개하는 단체에 대해 지원하는 일본의 휴면예금활용 방안은 개인대상 신용대출 및 일부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협동조합 등 대상의 대출사업 위주로 휴면예금을 활용하고 있는 한국에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n reliability of equipment or product which spends a great deal of its time in the dormant condition. Many systems experienced periods of dormancy throughout their life cycle, such as periods of operati
충북 영동, 경북 경산과 경주에서 1996년 12월과 1997년 1월에 포도나무 가지를 채취하여 저온에 대한 내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포도 Campbell Early 품종의 E.C.를 보면 12월 중의 저온에 대한 내성은 각 지역별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1월은 경주에서 재배되는 것이 가장 피해가 적었고, 충북 영동의 것이 피해가 가장 많았다. 2. Sheridan 품종 역시 12월의 E.C.가 영동에서 피해가 많았다. 경주와 경산에서는 피해가 적었다. 그리고, 1월은 전반적으로 피해가 많았다. 3. 눈의 갈변도 측정에서 두 품종 모두 영동지역에서는 12월이 1월보다 피해가 심하였고, 경북 경산, 경주 지역은 12월과 1월 모두 영동지역보다 피해가 적었다. 4. 수피 갈변도 측정에서 눈의 갈변도와 같은 경향으로 영동 지역에서 12월 휴면 초기가 피해가 심하였고, 1월은 저온에 강한 편이었다. 5. 눈의 맹아율은 12월에 에서도 맹아가 되었으나 1월에는 영동을 제외한 경산과 경주에서는 맹아율이 높았고 영동지역에서는 와 에서 낮았다.
머위 유엽의 조기생산 가능성을 구명코자 근주의 정식시기, ABA 함량과 휴면과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연환경 조건하에서 근주의 휴면은 10월 상순경부터 시작되어 11월 중순경에 가장 깊었으며, 그 후 서서히 타파되기 시작하여 12월 하순경 이후에는 안전히 각성됨을 알 수 있었고, 이 기간의 5℃ 이하 저온누적시간은 900시간 정도이다. 이는 근주의 휴면이 타파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저온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근주의 생육시기별 ABA 함량은 머위의 생육성기인 4월부터 9월까지는 ABA가 전혀 존재하지 않았는데 이는 휴면기간 동안 다른 저장양분과 함께 근주내에 존재하던 ABA가 맹아와 함께 지상부로 이동되었기 때문이며, 반대로 10월부터 ABA가 근주내에 존재하기 시작한 것은 외기기온의 하강과 더불어 지상부가 고사되면서 지상부에 존재하던 ABA가 근주로 이동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식물체내에서 생육을 억제하고 휴면을 유도하는 물질로 알려진 ABA는 머위 근주의 휴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wenty apple germplasm accessions from the Korean Genebank were successfully cryopreserved using two-step freezing to back up genetic resources maintained by field collec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morphological and genetic stability of cryopreserved dormant apple buds that were stored in liquid nitrogen, and then rewarmed and regrown. Whole plants were regenerated directly from dormant buds through budding without an intermediary callus phase. The cryopreserved buds produced high levels of shoot formation (76.2-100%), similar to those of noncryopreserved buds (91.3-100%), with no observed differences between cryopreserved and noncryopreserved materials. Three of the twenty cryopreserved apple germplasm accessions were used to assess morphological and genetic stability. No differenc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hoot length, leaf shape, leaf width/length ratio, and root length were observed between controls (fresh control and noncryopreserved) and cryopreserved plantlets. The genetic stability of regenerants (before and after cryopreservation) was investigated using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s. The ISSR markers produced 253 bands using four primers, ISSR 810, SSR 835, ISSR 864, and ISSR 899. These markers showed monomorphic banding patterns and revealed no polymorphism between the mother plant and regenerants before and after cryopreservation, suggesting that cryopreservation using two-step freezing does not affect the genetic stability of apple germplasm. These results show that two-step freezing cryopreservation is a practical method for long-term storage of apple germplasms.
Dormant blastocysts during delayed implantation exhibit heightened autophagic activation. Activation of autophagy, the self-eating process within cells, was suggested as an adaptive response to unfavorable environment of prolonged survival in utero.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we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at multivesicular bodies (MVBs) accumulate in the trophectoderm of dormant blastocysts upon activation of implantation by estrogen. MVBs are the late endosom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diverse internal vesicles within a large vesicle. Autophagosomes fuse with MVBs during autophagic activation, and efficient autophagic degradation requires functional MVBs. Biogenesis of MVBs depends on a dynamic network of ESCRT complexes 0, I, II, and III. Tsg101 (a component of the ESCRT-I complex) and CD63 are often used as a marker of MVBs. Lysobisphosphatidic acid (LBPA) is an abundant lipid in MVBs and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MVBs. In this study, we performed immunofluorescence staining for detection of MVB makers in dormant and activated embryo. In dormant blastocysts, expression of Tsg101 and LBPA exhibited a uniform pattern throughout the trophectoderm. In contrast, expression of both markers prominently increased in the mural trophectoderm of activated blastocys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MVB formation and autophagy activation in activated blastocyst, 3-MA, a widely used inhibitor of autophagy, was daily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ovx mice. Interestingly, 3-MA injection to block autophagy during delayed implantation led to a reduction of the signal of MVB markers, suggesting that prolonged activation of autophagy in dormant blastocysts is associated with MVB formation upon activation of implantation. Coll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expression of MVB makers increase in the trophectoderm of blastocysts upon activation of implantation and that the formation of MVB is associated with heightened autophagy during delayed implantation.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chilling requirements for breaking dormancy by treating the dormant plant of Hanabusaya asiatica with low temperature (4℃) for different time periods. The rates of sprouting and flowering were higher with longer treatment periods at low temperature. In additi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the plant were better when it was potted after treatment at a low temperature for 90 days. The abscisic acid levels and polyphenoloxidase activity of the dormant plant increased during the low temperature treatment, reached a climax 90 days and decreased thereafter. The catalase activity was the lowest after the low temperature treatment for 90 days and increased subsequently. The peroxidase activity increased and showed a sharp rise after the low temperature treatment for more than 90 days. Considering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enzymes, the changes in the abscisic acid leve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flowering after sprouting of the plant, the appropriate cold periods required for breaking dormancy could be 90 days.
Gibberellic acid did not affect ethylene production, whereas gibberellin biosynthesis inhibitors triggered ethylene production in dormant tubers. Gibberellic acid did not induce sprouting of dormant tubers, however, treatment of gibberellin biosynthesis retardants enhanced sprouting rates. Sprouting rate in ancymidol-treated tubers was highest among gibberellin biosynthesis retardants. Sprouting rate of tubers treated with ancymidol increased to 91.4~% . Batatasin-III content in GA3 treated tuber was increased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30~mug~;I-1) . Tubers treated with mepiquat chloride, Batatasin-I was increased steadily, but contents of Batatasin-III and V showed dramatic decrease at the 1,000~mug~;I-1) concentration. This infers that gibberellin biosynthesis retardants play key roles in promoting breaking dormancy on dormant tubers of Chinese ya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breeding information of Colocasia esculenta Schott. Effect of supplemental plant growth regulators and genotype difference were investigated on dormant bud tissue for proliferation. The plant regeneration ratio,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were the best upon mixed treatment of 0.8mg/L IAA and 2.0mg/L zeatin. Both leaf weight and root weight were heavy upon culture in a dark condition. The leaf and root weights were heaviest in 6Pie sucrose concentrations. In several collected area the heaviest one was Binnangxin and then in the order of Suwon, Wanju and Puan. Genotype differences of tuber diameter and tuber weight were found in Suwon. Tuber weight was found in the order of Suwon (862mg) >Wanju(723mg) >Puan(649mg) >Binnangxin (424mg).
산지삼포에서 면삼율과 결근율을 조사하여 토양의 화학성과 단순상관 관계를 보았다. 면삼율은 근령에 관계가 없었고 결근율과 정상관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면삼율은 토양의 유효인산함량 및 인산일수분비와 유의정상관을 보였다. 결근율은 토양 수분 및 Ca과 유의부상관, 인산일수분비와 유의정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면삼과 결근의 공통요인으로 토양인산의 과다와 토양수분의 부족임을 시사한다.
우리나라 감자 춘하작물재배의 주장려품종이고 휴면기간이 긴 남작(Irish Cobbler)을 추작할때 효과적인 최아처리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관령산종서를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실험농장에시 춘작 증식하여 추작용종서로 사용하고, 1974 및 '75의 양년도에 걸쳐서 농대구내수음하 설치한 최아상(그림 1)에서 구당 60편의 3반복 난괴법으론 최아시험을 실시하고, 실험농장 포장에서 구당 1.8m2 (15주)의 3반복 난괴법으로 포장재배시험을 실시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으며, 시험기간(1975년)중의 기상개요는 그림 2와 같았다. 1. 최아처리법과 발아(부표 1~7, 그림 3~5) (a) GA(Gibberellin)처리는 발아가 빨라서 7~8일 에 발아하여 최아소요일수가 약 10일이며, 발아가 균일하고, 부패가 적어 건전발아개체비율도 높으나, 편당발아본수가 3~4본으르 많고, 싹이 세장하며 발근이 없었다. (b) Ethrel처리는 발아가 훨씬 GA보다 늦어서 대체로 최아소요일수가 20~25일이며, 발아의 균일성과 부패및 건전발아개체비율에서 GA보다 고간 못하나, 편당발아본수가 1~2본으로 적고 싹이 단태건실하며 발근이 극히 양호하였다. (c) GA와 Ethrel의 혼합처리는 GA처리보다 1~2일 발아가 늦으나 싹은 비교적 건실하며, 그밖의 발아상은 GA처리와 거의 같았다. (d) Ethylene Chlorohydrin처리는 Ethrel처리와 거의 같은 발아상을 보이나 발아에 23~26일이 소요되고, 최아중의 부패도 많았다. (e) 6-Benzyladenine처리는 Ethrel처리처럼 싹이 단태건실하고 편당발아본수도 1~2본으로 적으며, 발근도 보이나 발아에 22~28일이 소요되고. 발아가 균일하지 못하며, 절단하여 처리할 경우에는 부패가 심해질 우려가 컸다. (f) 약제별 최적처리법은 다음과 같이 보였다. GA처리 : 절단서면 1~2ppm, 전형서면 2~5ppm에 60분처리. Ethrel처리 : 절단서면 500ppm, 전형서면 1000~2000ppm에 60분처리. GA와 Ethrel의 혼합처리 : 절단서면 GA 1~2ppm+Ethrel 250~500ppm, 전형서면 GA 5ppm+Ethrel 250~500ppm, 60분처리. 2. 처리법과 부패 (a) 18~24시간의 GA처리는 거의 완전한 부패를 초래하였다(표 2) (b) Ethylene Chlorohydrin처리는 심한 부패를 유발하고(표 2), 6-Benzyladenine처리도 많은 부패를 유발하는(부표 7) 경향이 보였다. (c) 처리중에 교반하여 표피가 갈리게 한것은 전량 부패하였다(부표 1) (d) 종서에 칼로 3-4곳에 자상을 내서 GA처리를 한 것은 발아조장의 효과가 없고, 부패를 조장하는 경향이 보였다(부표 1) 3. 상토와 발아(부표 1) (a) 최아상의 상토로써 부식질세토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사상의 경우보다 부패가 없고 발아도 양호 하였다. (b) 사상의 경우에는 세사보다 조사가 양호하였다. 4. 처리시기와 발아 (a) 7월 15일처리에 비하여 8월 24일처리의 경우에 Ethrel의 전형서처리에서는 발아가 4일 빨랐으나, Ethrel 절단서처리 및 GA처리에서는 발아가 거의 빨라지지 않았다(그림 9) (b) 처리시기가 늦어져서 휴면이 경과될수록 발아와 발근이 조장되는 경향이 보였다(부표 8) (c) 최아기간이 매우 고온건조하였던 경우(8월 14일처리)에는 심한 부패를 보였다(그림 10) 5. 처리법 및 정식기와 수량 (a) 정식기를 같게 할 경우의 수량은 Ethrel>GAㆍEthrel 혼합>GA 처리의 순위로서 정식당시의 싹의 건실도 및 발근상태와 깊은 관련이 있어보였다. Ethylene Chlorohydrin처리는 포장결주가 많아서 수량이 적었다(그림 11) (b) 처리기를 같게 하여 정식기가 GA보다 Ethrel 처리가 15일 늦어 질 경우에는 Ethrel이 GA처리보다 감수경향을 보였다(부표 10) (c) 어느 처리에서나 정식기가 빠를수록 증수되는 경향이 보였다(부표 10) (d) GA처리 조식의 경우에는 고간 도장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기타처리 및 GA처리라도 만식의 경우에는 도장이 보이지 않았다(그림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