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2.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 this research, we want to explore the role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improving patients’ satisfaction through valuable hospitality management in hospital experiences. The impact of three experiential marketing dimensions on overall Satisfaction is assessed: Physical Environment, Empowerment & Dignity and Patient-Doctor Relationship. Methods 259 structured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patients in private and public hospitals across Italy.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in testing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the selected variables. Results The study shows that: • perceived quality of Physical Environ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patient’s overall Satisfaction; • perceived quality of Empowerment & Dignity and perceived quality of Patient-Doctor Relationship partially mediate this relationship; • educational level is the only relevant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of Patient-Doctor Relationship and overall Satisfaction. Conclusions: Physical Environment items are enablers of both Empowerment & Dignity and Patient – Doctor Relationship and play a significant role in offering a strong value proposition to patients. Designing a hospital, beyond technical requirements that modern medicine demands and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medical departments means dealing with issues like the anxiety of the patient, the stressful working environment for the hospital staff and the need to build a sustainable and healing building.
        5,200원
        4.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체험에서 나타나는 상황적, 정서적 공통요인과 체험과정이 어떤 것인지를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현상을 체험하는 연구자가 직접 자신의 체험 속으로 들어가 체험현상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 현상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전략을 찾도록 돕는 방법인 체험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1년 이상 20년 이하의 경력을 지닌 초등교사 8명이었다. 이들은 공동연구자로서 각각 자신의 자기성찰 체험을 3회 이상 작성하고, 2개의 집단으로 나뉘어져 자기성찰 체험에 대한 집단합의과정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교사가 자기성찰을 경험하는 상황적 공통요인으로 ‘의미 있는 타인과 관계를 맺을 때’, ‘관계를 사려 깊게 바라볼 때’, ‘당연하게 바라보던 상황을 낯설게 경험할 때’, ‘주위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볼 때’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가 자기성찰 과정에서 경험하는 정서적 공통요인은 ‘화남’, ‘당황함’, ‘미안함’,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가 자기성찰을 경험하는 과정은 유발, 탐색, 이해, 실천, 확산의 5단계로 개념화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자기성찰은 진정성을 바탕으로 한 관계 속에서 실현된다는 점과 자기성찰의 체험 과정에서 긍정적 확산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실천의 단계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5.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형 창의적 체험활동의 한 장르로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정원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시험운영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세부 프로그램의 구분기준을 제시하였다. 일반인을 통하여 현장체험활동의 관심도별 선호경향을 분석하였고 대학의 전문교양과정을 통한 프로그램진행으로 지역별, 전공계열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개발을 위해서는 선행 문헌을 조사하고 전문가를 패널로 구성하여 브레인스토밍 방식에 의한 인터뷰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방향을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험적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정원박람회 현장프로그램 체험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정원문화향상을 위해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정원활동에 관심도가 높은 그룹은 적극적인 체험프로그램과 구체적인 디자인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과 관심이 적은 초보자는 간단한 산책으로 정원을 감상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활용함이 좋다는 결론을 얻었다. 강의실프로그램은 공간디자인성격의 실내정원이 인테리어관련분야이므로 거주형태가 삭박한 서울과 도시거주자에게 만족도가 높았고 원예치료도 서울 중심으로 도시지역거주자에게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다른 프로그램은 지역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대학의 전공 계열별인 자연계과 인문계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세부프로그램 개발 시 도시와 서울권과 수도권 및 지방의 경우를 고려하여 프로그램내용의 비율을 조정하여 설계하고 현장프로그램은 초급자와 중급자 고급자로 나누어 초급은 간단한 활동으로 고급은 적극적인 텃밭 가꾸기와 같은 지속적인 노작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의 기술센터, 문화센터, 복지관, 식물원, 대안학교 등과 정보교환으로 교육내용을 피드백 하는 유기적 교육프로그램 적용이 적합하다. 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재 및 교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보완 된다면 궁극적 목표인 창의적 체험활동영역으로 정원 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정착 될 수 있을 것이다.
        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urvey was performed with 262 dwellers who live in the city from April 1 to 30, 2009. The following analysis methods were execu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ural tourism motivation and rural experiential tourism program preference of city dwellers. Rural tourism motivations are novelty experience, advantageousness, self-attainment, aesthetics, deviation, relationship, relaxation, and nature-scenery. And rural experiences are divided into farmhouse life experience, traditional rural culture experience, outdoor activities experience, wellbeing healthcare experience. Authors found that rural tourism motivations affect rural experiential tourism program preference. So, authors argue that rural tourism needs market segmentation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