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lium속 식물들에서 화색 생합성조절 유전자의 대 사경로 규명을 위해 화학적 및 생화학적 방법을 이 용하여 백합의 flavonol과 anthocyanidin 색소의 생 성여부를 분석하였다. flavonol은 L. longiflorum과 11개의 다른 품종에서 kaempferol(Km)과 quercetin (Qu)의 형태로 spectrophotometer에 의해 검출되었 다. Anthocyanidin 색소로는 ‘Le Reve’, ‘Etude’, ‘Acapulco’, ‘Star Gazer’, ‘Montreux’, ‘Monte Negro’ 에서 cyanidin이 검출되었고, 나머지 품종인 ‘Siberia’, ‘Royal Lace’, ‘Nove Cento’, ‘Elite’, ‘Cannes’에서는 anthocyanidin이 검출되지 않았다. 즉 이들 5개 품종 은 DFR효소 활성이 없는 acyanic 품종인 것으로 나 타났다.
        4,000원
        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lavonols as a major kind of plant secondary metabolites are known for health-promoting compounds in onions (Allium cepa 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profiles of flavonol glycosides in different 75 onion accessions. A total of five flavonols (quercetin 3,4'- diglucoside, Q34'diG; quercetin 3-glucoside, Q3G; quercetin 4'-glucoside, Q4'G; isorhamnetin 4'-glucoside, I4'G; quercetin, Q) were identified from onion accessions. In positive ion mode using LC-ESI-MS, individual flavonols were confirmed from one and two glycosylation binding with aglycone such as quercetin and isorhamnetin. Total flavonol contents were distributed in white onion (range of 0.18-6.47 mg/g DW) and purple onion accessions (range of 2.39-6.47 mg/g), respectively. The mean of flavonol contents in purple onion (4.41 mg/g) showed 1.4-fold higher than white onion (3.23 mg/g). The Q34'diG and Q4'G were considered as the major compounds of flavonol glycosides in onion accessions.
        6.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eaves of Hippophae rhamnoide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n further fractioned with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in order to investigate biological activity. Two flavonol glycosid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which show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RC50 = 4.33 μg/ml). Isolated two compounds have shown stro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specially, quercetin 3-O-glucoside (RC50 = 2.60 μg/ml) was more active than α-tocopherol (RC50 = 4.67 μg/ml).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to 4.17 and 1.14 mg/ml in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In addition,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was shown to the stronges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C50 = 137.88 μg/ml) among the frac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leaves of H. rhamnoides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7.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양을 통해 은행나무 잎으로부터 캘러스를 유도하였고, 최대 생장량과 항산화능이 우수한 배양조건을 확립하였다. 즉, 은행잎을 이용하여 조직배양한 결과 암과 광조건에서 모두 NAA 첨가 조건이 2,4-D 첨가 조건에 비교하여 양호한 캘러스 생장을 나타냈다. 가장 우수한 캘러스 생장을 나타낸 배양조건은 광조건의 10 μm NAA와 5 μm kinetin의 조합 처리시였다. 따라서 현탁배양에서 캘러스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한 효과적인 생장조절제는 10 μm NAA/0.5 μm BA, 10 μm NAA/0.5 μm kinetin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행잎 유래 캘러스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광조건에서 10 μm NAA가 처리된 기본 MS배지에 캘러스를 현탁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HPLC를 통한 flavonol glycosides를 분석한 결과 10 μm NAA가 처리된 조건에서 현탁 배양된 녹색 캘러스에서 quercetin dehydrate와 keamperol이 각각 0.556, 0.157 μg/20 μl 검출되었다. 잎 추출물에 비해 표적물질을 제외한 불순물이 적어 표적물질의 순수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keamperol의 경우 기존의 연구보고에 비해 약 7배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8.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tent of four phonolic acids 1-4, and two flavonol aglycones 14 and 15 from Orostachysjaponicus A. Berger grown under night-break and day-length controlled experiments was estimated and compared with those in wild plants. The amount of the phenolic acids 1-4 and the flavonol aglycones 14 and 15 increased with increasing light irradiation under both the night-break and day-length control conditions. It was disclosed that the cultivation conditions such as the night-break and the day-length control were not adversely affect the production of phenolic acids and flavonols in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extracts.
        9.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ight-break, 일장조절, 월동가온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바위솔에 포함된 flavonol glycoside, kaempferol-3-O-β-D-glucoside(1), kaempferol-3-O-β-D-glactoside (2), kaempferol-3-O-β-D-rhamnoside (3), quercetin-3-O-β-D-glucoside (4) and quercetin-3-O-α-D-rhamnoside (5)의 함량이 분석되었으며 자연산 바위솔의 함량과 비교되었다. 월동가온 시험에서 얻은 flavonol glycoside 1-5의 함량은 자연산보다 감소하였으며 일장조절 실험 및 night-break 시험에서 얻은 flavonol glycoside 함량은 조사한 빛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월동가온은 flavonol glycoside의 생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반면 조사되는 빛의 양의 증가와 같은 경작조건은 flayonol glycoside의 생성에 유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