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the textual structure and speech acts within the inaugural addresses of the ministers in the Yoon Suk Yeol Government’s first cabinet. These addresses typically follow a three-part structure: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losing. The introduction features an opening greeting, while the development stage outlines the main service and missions, and presents requests to organizational members. The closing stage concludes the address. The introduction and closing are often simple enumerations of contents, whereas the development stage is logically and coherently structured. In terms of speech acts, the introductory stage predominantly features expressive acts. The development stage is marked by announcements and requests, while the closing e ncompasses various acts including statements, promises, and solicitations.
‘桌子上有汉语词典’, ‘汉语词典在桌子上’처럼 동일한 장면을 서로 다르게 구조화하 는 이유는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정보를 전달하고자 할 때, 화자가 각각의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구조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즉 동일한 장면에 대한 상 이한 통사구조를 정보구조의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중국어 존현문의 장소 어는 현저성을 부여받아 주어로 부호화되었다는 점에서 일반적 화제들과는 다르다. 따라서 존현문의 장소어를 여타 화제들처럼 단순히 닻 내리는 역할만 한다고 보는 것은 존현문의 정보적 특성을 간과한 것이다. 중국어 존현문의 NP는 비한정적이어 야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한정적 NP들이 존재한다. 한정적 NP의 존재는 중국어 존현문에 근거리 조망이라는 인지적 기제가 반영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존현문의 한정적 NP는 특정한 조건하에서 한정 명사구임에도 불구하고 신정보일 수 있다. ‘VP+NP’ 구조, ‘NL+NP’ 구조, ‘在NL+VP+NP’ 구조는 비전형적 존현문이라 할 수 있다. 이 비전형적 존현문은 전형적 존현문과 구분되는 고유한 기능을 가진다.
외국인 이사회 및 주주의 기업 성과에 관한 연구는 논란이 많은 주제이다. 몇몇 연구들은 외국인 지배구조가 기업 지배 과정에 공헌할 것이라고 하는 반면에, 다른 연구들은 단기적 수익성 악화로 인해 조직 성과에 부정적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 가운데 외국인 이사 및 주주가 해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원기 반관점과 대리인이론을 바탕으로 기업지배구조의 외국인 사내 이사, 외국인 사외 이사, 외국인 주 주가 기업의 해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4년 동안 한국의 비금융 KOSPI 기업들을 대상으로 외국인 사외이사와 외국인 주주의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업지배구조에서의 과도한 외국인 비중은 필요한 정보 획득 및 효과적인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야기하기 때문에, 기업지배구조의 외국인 비중의 긍정적인 영향은 감소되어 결국 역 U자형 관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학문적, 실무적 측면에서 기업지배구조의 기 존 연구들뿐만 아니라 향후 연구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여 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spect of coherence realization of narrative discours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Considering that discourse structure and cohesive devices are engaged in the coherence of discours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aspect of structure development of narrative discourse and the utilization of reference and conjunction.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intermediate and advanced-level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selectively contained [abstract] and [evaluation] while essentially containing [setting], [complicating action], [resolution] when comprising narratives; the coherence of discourse was found to be disrupted due to insertion of extraneous contents, lack of information, excess of information, or delaying of the introduction utterances; (2) the use of cohesive devices was concentrated in a particular expression.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provided.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구조와 변화과정을 통해 당시 취락사회의 성장과 그 배경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전기의 이른 단계에 소규모 취락단위로 이주해온 집단은 대규모 노동력을 필요치 않는 화전과 같은 농경방식으로 생계를 꾸려나갔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안정적으로 취락을 유지하고 자원예측성을 높이기 위해서 농경에 대한 의존도가 강화되고, 그에 따라 취락의 규모가 확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산만지역의 전기 유적에서 확인되는 탄화미 등의 자료로 보아, 당시에 벼재배는일반적 현상으로 생각된다. 천안 백석동 취락의 규모와 구조로 볼 때 수전의 경영도 가능하지 않았을까 추정해 보았다.
당시의 소규모 취락의 경우, 주변의 취락사회와의 관련 없이 단독으로 영속하기 어려웠을 것이며,주변의 취락사회와의 상호관련성을 유지하기 위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을것이다. 또한 취락사회의 안정을 얻고 생태적·사회적 압력을 극복하기 위해 개별 취락조직의 확대를꾀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이렇게 형성된 대형취락들은, 일정한 공간적 거리를 두고 분포하는데,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시각자료는 과학교과서의 주된 구성 요소이며, 학습자에게 과학적 개념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매개체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분야에 사용된 시각자료의 유형과 기능 및 구조를 분석하였다. 시각자료 유형에서는 사진과 삽화의 비율이 그래프와 표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시각자료의 기능에서는 예시적 기능과 보충적 기능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장식적 기능, 설명적 기능, 탐구적 기능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시각자료의 구조에서는 단독의 비율이 다중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한 다중 구조에서 짝은 주로 대비에, 연속은 주로 순서를 표상하는데 사용되고 있었다. 시각자료의 유형, 기능, 구조 모두 교과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 과학에서 시각자료의 교육학적 의의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지구과학 분야에서 시각자료의 기능과 구조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questions regarding PND and PID, especially the concrete legal conditions for the justification of PND and PID. As such, the German law stipulating PND and PID in a very concrete and detailed manner is introduced and explained in comparison with the corresponding South Korean law. The South Korean Bioethics and Biosafety Act (BBA) stipulates various types of gene testing and does not demonstrate a delicate sense of each type of gene testing. In contrast to the South Korean regulation, in Germany, there exist specific regulations for genetic counseling. Especially in the case of PND, GEKO stipulates the process of genetic counseling very concretely, based on GenDG. In the case of PND and PID, it is important that the people concerned understand the meaning of testing in various angles, and restructuralize it by combining it with their own values as the diagnosis is directly combined with pregnancy/abortion, which influences the whole life of a woman (and her partner). In this context, the South Korean BBA needs to be amended as soon as possible. The sections on informed consent also need to be amended to make them more concrete. Furthermore, guidelines for concretizing the regulation of BBA need to be continuously formulated and developed.
Kiss (1998), on the basis of the language material from Hungarian and English, has claimed that information focus has no syntactic relevance and has no distinguished position in the sentence. This paper, however, shows that her claim may not hold in the languages such as Korean, which actively employs scrambling for the purposes of shifting information and prosodic structures in varying speech contexts. Languages of this type use scrambling (or syntactic detachments) to dislocate both the non-focal and the focal entities (which represent a topic and a contrastive constituent, respectively) away from their canonical positions. Scrambling, on the other hand, does not affect constituents bearing all-new information focus; they stay in-situ, and are typically anchored to the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verb in the sentence. This observation is made on the basis of (i) relative degree of phonetic prominence of the two types of focus (Rochemont 1986, Pierrehumbert & Beckmann 1988, Kratzer & Selkirk 2007, etc.), and (ii) the default position occupied by the constituents bearing information focus from the viewpoint of information structure, which was first proposed by Vallduví 1992 and has been widely discussed in literature (Kiss 1998, Vallduví & Engdahl 1998, and Tomioka 2007, among many others).
본 연구는 언어적 진술로 구성된 내적 또는 외적 주의초점 피드백에 따른 차별적인 학습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관절의 협응구조 패턴을 구간별로 비교하였다. 피험자는 Y대학교 남학생 36명으로 골프과제에 대한 사전경험이 없는 오른손잡이 학생들로 구성하였으며, 각 집단에 10명씩 무작위로 할당 되었다.실험설계는 습득단계3(집단)3(날짜)9(분단) 요인설계하에 마지막 두 요인을 반복 측정하는 삼원 변량분석이 사용되었으며 파지검사에서는 3(집단)2(분단)의 요인설계하에 마지막 요인을 반복 측정하는 이원변량 분석이 사용되었고 영상자료의 피험자는 각 집단 중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나타낸 한명을 대상자로 총 3명의 데이터를 질적 분석하였고, Lab View 6.1 버전을 사용하여 팔꿈치각과 무릎각간의 동종사지 간 협응과 동측사지 간 협응의 각도 대 각도 협응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습득단계에 대한 수행점수의 분석에서 날짜와 집단의 상호작용은 외적 주의초점 피드백 집단의 유효성을 보여주는 충분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연습의 마지막 날 내적주의초점 집단과는 다르게 외적주의초점 집단만이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고, 또한 그 집단만이 3일간의 연습을 통해 꾸준한 점수의 상승을 보여주었다. 즉각 파지검사의 집단에 대한 주효과 분석에서 외적주의초점 집단만이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서 간접적이지만 차별적인 우수성이 입증되었고 보다 확실한 증거들은 지연 파지검사에서 생산되었다. 즉, 집단과 분단의 상호작용의 분석에서 분단 2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들은 외적주의초점, 내적주의초점, 통제집단의 순으로 우수한 학습을 유도한다는 것을 비교적 명확히 보여주었다. 둘째 외적 주의초점에 의해 언어적 진술로 유도된 피드백이 내적 주의초점에 의해 유도된 피드백의 언어적 진술보다 협응구조 패턴에서 숙련자와 유사한 패턴의 변화를 보였다.
This paper aims at revisiting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sentences in languages such as Korean, English, Spanish and Russian. For this purpose, we refered to three types of focus structure, suggested by Lambrecht (1994), which include predicate-focus, argument-focus and sentence-focus structures. The information structure can be represented by the categorical statement and the thetic statement. The first is divided into two information segments- and , which typically corresponds to predicate-focus structure, while the second can not be divided but constitutes only one unit , which represents the sentence-focus structure. Given that the existence of `topic` is the factor of determining categorical/thetic statements, there`ll b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certain argument-focus structures as secondary thetic sentences and of considering some of Lambrecht`s thetic structures as categorical sentences. On the other hand, the linguistic ways to realize the information division vary across languages, even if they are commonly available in affirming or negating the existence of `top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