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effect of mixing ratio of -carrageenan and glucomanna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incorporated with omija concentrate were analyz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concentration of the gelling agent was fixed at 1.5% of the weight of the jelly. As a control, omija concentrate jelly using a single gelling agent was prepared. The texture of the jelly using glucomannan alone could not be measured because it was difficult to maintain its shape. The texture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carrageenan and glucomannan. When -carrageenan was mixed with glucomannan, the water holding capacity was increased. Jelly prepared in mixing 2:1 ratio of -carrageenan and glucomannan was observed to have the highest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Also, in order to manufacture omija jelly that maintains high water reten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optimal to mix -carrageenan and glucomannan at a ratio of 1:2.
O-D-mannopyranosyl-(1→4)-O-D-glucopyranosyl-(1→4)-D-Mannopyranose (MGM) was prepared via the enzymatic hydrolysis of konjac glucomannan and the subsequent elimination of monosaccharides from the resultant hydrolysate using yeast. The enzyme system hydrolyzed konjac glucomannan and produced monosaccharides and MGM without other oligomers at the 48 h reaction. Konjac 20 g was hydrolyzed at 60 o C and a pH 6.0 for 48 h with 200 mL crude enzyme solution from Xylogone sphaerospora. By eliminating monosaccharides from the hydrolysis products with yeast (Candida guilliermondii), 3.8 g of crystalline MGM was obtained, without the use of chromatographic techniques. After 48 h of yeast cultivation, the total sugar content fell from 5.2% to 3.7%, while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D.P.) rose from 2.6 to 3.3.
DEAE Sephadex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Bacillussp. 유래 β-mannan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21.57units/mL 정제배율 95.33배를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38.9kDa으로 결정되었다.정제효소에 의해 Picea abies galactosyl gluc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 FACE 및Timell’s method에 의해 중합도 8, 10으로 결정되었으며,Penicillum purpurogenum유래 정제 β-mannanase와 α-galactosidase를 이용한 enzymatic sequential action에 의해 2가지 가수분해산물 모두 hetero type galactosylglucomannooligo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B. longum, B.bifidum, B. infantis, B. animalis, B. breve, B. adolessentis,B. auglutum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8, 10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배지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8, 10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animalis에서는 중합도 8 galactosyl 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 배지와 비교하여 19.5배, 중합도 10에서 18.7배의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bifidum에 대해서는 중합도 8의 경우 15.3배와 중합도10에서 14.3배 그리고 B. longum에서는 중합도 8 galactosyl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MRS배지와 비교하여 중합도 8에서 15.2배, 중합도 10에서13.9배의 상대활성을 우선적으로 나타내었다.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Xylogone sphaerospora 유래 β-mannan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8.24 units/mL 정제배율 58.86배를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42 kDa으로 결정되었다. 정제효소에 의해 Picea abies Galactosyl gluc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와 FACE법 및 Timell's method에 의해 중합도 7, 8, 12 and 13으로 결정되었으며, Penicillum purpurogenum 유래 정제 β-mannanase와 α-galactosidase를 이용한 enzymatic sequential action에 의해 4가지 가수분해산물 모두 hetero type galactosyl glucomannooligo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B. longum, B. bifidum, B. infantis, B. animalis, B. breve, B. adolessentis, B. auglutum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7, 8, 12 and 13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배지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7, 8, 12 and 13을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에서는 D.P. 7 galactosyl 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배지와 비교하여 10.8배, D.P. 8에서 12.5배, D.P. 12에서 10.2배 D.P. 13에서 9.2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bifidum의 경우에서도 D.P. 7에서 3.0배, D.P. 8에서 3.3배, D.P. 12에서 3.7배 D.P. 13에서 5.7배의 활성을 보였다.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Trichoderma harzianum 유래 β-mannan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8.44 units/mL 정제배율 56.27배를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52.5 kDa으로 결정되었다. 정제효소에 의해 Picea abies Galactosyl gluc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 및 Timell's method에 의해 중합도 6, 8, 9로 결정되었으며, Penicillum purpurogenum유래 정제 β-mannanase와 α-galactosidase를 이용한 enzymatic sequential action에 의해 3 가지 가수분해산물 모두 hetero type galactosyl glucomannooligo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B. longum, B. bifidum, B. infantis, B. animalis, B. breve, B. adolessentis, B. auglutum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6, 8, 9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배지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6, 8, 9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에서는 D.P. 6 galactosyl 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배지와 비교하여 14.3배, D.P. 8에서 9.42배, D.P. 9에서 8.0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breve의 경우에서도 D.P. 6에서 7.52배, D.P. 8에서 8.19배, D.P. 9에서 6.9배의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B. bifidum에 대해서는 D.P. 6에서 2.33배, D.P. 8에서 1.33배, D.P. 9에서 2.33배의 낮은 생육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글루코만난과 유청칼슘의 혼합물이 1%-Cholesterol을 식이한 후 혈청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과 70%-Sucrose를 식이한 후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Cholesterol을 식이한 쥐를 일반식이군(ND)과 비교하였으며, 고콜레스테롤식이군(HCD)에 글루코만난식이군(HCDG)과 글루코만난과 유청칼슘군식이군(HCDGW)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또한 70%-Sucrose를 식이한 쥐를 일반식이군(ND)과 비교하였으며, 고혈당식이군(HGD)에 글루코만난식이군(HGDG)과 글루코만난과 유청칼슘군식이군(HGDGW)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이를 비교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혈청콜레스테롤수치는 HCD> HCDG> HCDGW> ND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2. HCD의 혈청콜레스테롤증가량에 비하여 HCDG는 약 23.84% HCDGW는 약 42.38% 감소하였다. 3. 혈당수치는 HGD >HGDG> HGDGW> ND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4. HGD의 혈당증가량에 비하여 HGDG는 약 6.63% HGDGW는 약 63.14%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