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성결교회의 기원에 대하여 선교적 관점에서 현지 참여관찰과 원자료 분석 방법론을 통하여 한국성결교회가 동양선 교회에 그 기원을 둘 뿐만 아니라, 동양선교회의 창립자들을 동양에 선교사로 파송하고 선교 목적, 선교 교육, 선교 내용과 신학 그리고 선교 방법 등을 지원한 만국성결교회가 한국성결교회의 모체임을 증명 하고자 한다. 한국성결교회 창립의 과정에서 직접적인 역할을 한 단체는 카우만과 길보른 그리고 나까다가 세운 동양선교회(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동양선교회는 한국성결교회를 창립하고 그 이후 후원하는 과정에서 선교 목적, 선교 교육, 선교 내용과 신학 그리고 선교 방법 등에서 만국성결교회의 지원과 후원을 받았음이 원자료들을 통하여 밝혀졌다. 그러므로 한국성 결교회가 동양선교회의 협력으로 창립되고 유지 발전하였으나, 그 기원을 찾아 올라가 보면 미국의 만국성결교회로부터 비롯되었음이 증명되는 것이다.
        8,400원
        2.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이 천착하는 것은 예수회의 무굴 제국 선교 역사 가운데 스페인 출신의 선교사 제롬 사비에르가 이끌었던 제3차 선교이다. 특히, 그리스도교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던 무굴 제국의 황제 악바르의 요청에 따라 사비에르가 집필한 Mirʾāt Al-Quds (The Mirror of Holiness)에 주목한다. 악바르는 사비에르에게 그리스도의 생애를 페르시아어로 집필할 것을 요청하였고, 사비에르는 1602년 Mirʾāt Al-Quds라는 제목의 저서를 황제에게 봉헌했다. 사비에르는 이 책을 통해 일차적으로 악바르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의 신성을 입증하고 악바르를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키려는 목적을 갖고 있었다. 사비에르의 Mirʾāt Al-Quds는 무슬림의 예수 이해와 충돌을 일으켰고, 결국 악바르의 후계자인 자한기르 시대에 예수회 선교사와 무굴 제국의 무슬림 학자들 간의 궁정 토론을 촉발하였다.
        7,000원
        3.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textual relationsbip between Toni Morrison's Paradise and the Bible, which has been a consistent, inspirational source througbout her works. lt argues that the author deconstructs and restructures the notion of holiness, using the Scriptures, as she suggests building a "paradise" as a solution to the problematics of American society. The privileged residents of Ruby, an all-black town, believe that they are "holy and pure" as a chosen people of God while they have fossilized and idolized their founding fathers' spiritual and religious experiences. It is revealed that their concept of holiness is intertwined with their faith in black racial purity, an unwritten blood rule that determines Ruby citizens' legitimacy. Their exclusivism based on "reversed racism" reaches its climax when they attack the five women at the Convent, who hold the inferior term in Ruby's holy/unholy dyad. Morrison, however, blurs the boundary between Ruby the covenanted community and the Convent when she implies the redemption of these "sinful" women and calls them "holy." Ultimately, the "barefoot walk" of Deacon, who has led the Convent massacr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Ruby to be a "shrine," where even the strange and foreign are accepted as God's chosen and holy people.
        7,800원
        4.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hesis is about John Thomas; the first missionary sent to the KEHC, the first superintendent and the first dean of Kyungsung Bible Institute. The coverage of this thesis begins from his birth in the U.K. and his ministries, how he came to Korea and his ministry in Korea from 1910-1911. In total, John Thomas spent 10 years serving in Korea, therefore assessing his ministry is somewhat out of proportion, however this thesis will focus on the background of his calling to Korea and the beginning of God’s divine works. 1. John Thomas had evident experience in the Fourfold Gospel. 2. His devotion and faith made him a clear model as Christ’s servant. 3. He was a man of prayer. 4. Through the successful ministry in the U.K. he demonstrated the blessings of God’s presence. 5. He made a network of supporters for prayer and financial aid. 6. He was a prominent Evangelical leader of his time and was selected as the main speaker at the annual OMS conference in 1911. 7. He had a call to preach the holiness element. This calling began to spread in the other denominations and missionaries also. 8. He not only loved the lost souls of Korea but also cared for the people of the world. 9. His ministry had a harmony of teaching and ministering. Through his character which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holiness element gave him authority to impress many people. 10. Although he had difficulty in learning Korean, his input and effort was vital in setting the foundations of the KEHC and the Bible Institute. 11. The early records of his ministry which influenced many denominations and other missionaries in Korea and Japan shows how influential he must have been in the later years. 12. He contributed to the printing of 10,000 copies of the New Testament, helped set up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KEHC and the Bible Institute and his teaching, church founding and faithful mission works show the bright future ahead.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arly days of John Thomas’s mission. There are still more research to be done about his character and the latter part of his ministry. However, the fact that a man of God, such as John Thomas was called to serve as the first missionary sent to the KEHC, the first superintendent and the first dean of Kyungsung Bible Institute proves God’s purpose toward the KEHC and STU. Furthermore, through this research we need to find the elements that need to be continued and carried out in this day and age.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e existence of holiness is reveal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worldwide. This is the core value of KEHC and STU’s existence.
        5,100원
        7.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후기 근대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이 혼재되어 있는 지금의 시 대에 어떻게 기독교가 사회 전반과 성도들의 삶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 을까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필자는 세속주의, 종교 다원주의, 상대주의, 개인주의, 물질만능주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과 물음 앞에서 현대 기독교가 무기력한 이유들 중에 하나가 신학과 실천, 학문과 사역, 그리고 교회와 세계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깊은 이해와 대화의 부족 에 있다고 확신한다. 근대 이전의 문화와 가치와 함께 근대의 문화와 가치가 혼재 되어 있었 던 영국의 계몽주의 시기에 존 웨슬리는 자신의 신학 방법론을 통해 기독 교의 핵심 가치인 ‘성결과 행복’을 추구 했다. 그는 당시의 세속화 되어가 는 문화와 사회에 함몰되지도 않았고 또한 당시의 문화와 사회를 배척하지 도 않았다. 웨슬리의 신학 방법론은 변화하는 시기였던 그 자신의 시대의 다양한 쟁점들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그의 노력의 결과들 중에 하나였다. 그러한 까닭에 필자는 웨슬리의 경우를 통해서 후기 근대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양측의 도전들 속에 있는 현대 기독교의 문제들에 대한 해 결책을 발견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당시 세속 사회의 문화와 가치체계를 주도했던 영국 계몽주의 사상가들의 대표자 존 로크의 인식론과 그에 대한 대응으로 서의 존 웨슬리 신학의 연구 방법론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이 고찰은 행 복에 대한 관점으로 인간의 삶의 궁극적 목적을 설명하고 있는 행복론 (eudemonism)적 측면에서 그들의 인식론 체계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행복의 본질에 대한 그들 각자의 관점의 조사도 병행한다. 여기서 특별히 필자는 존 웨슬리의 신학 방법론 속에 있는 공동체 내에서뿐만이 아니라 기독교의 타 전통 그리고 세속 사회와의 대화에 대한 개방성에 독자들이 관심을 가져 줄 것을 요청한다.
        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한 세기 이상 계속되고 있는 성결운동과 오순절주의 분리를 다루면서, 그 사이의 논쟁에 대해 밝히는 역사신학적인 논문이다. 이 새로운 운동(오순절)이 시작된 후 교리적인 논문들이 증가했는데, 이는 양쪽(성결 운동과 오순절)에서 쓰인 종교 신문기사와 신학논문들은 “말싸움”이었고, 두 운동사이의 거리를 더욱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했다. 두 운동(성결과 오 순절)의 외부학자들과 종교지도자들은 두 운동의 차이를 이해할 수 없었지만, 성령세례에 대한 새로운 가르침과 최초의 증거로서의 방언은 두 운동 을 구분할 수 있는 경계를 형성하였다. 미국 켄사스의 토페카(Topeka)로부 터 서쪽으로 확산되어 캘리포니아의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까지, 그리 고 다음으로 극동지역(아시아)까지. 4권의 교리서들(양측에서 2개씩)은 그 분열의 수사학을 이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 로 이 글은 결론으로 대화와 화해의 수단으로써 세계 복음주의와 세계 기독교를 제시하고 있다.
        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starts with the preposition that John Wesley’s main theological concern was holiness. Recently, there have been studies criticizing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s of Wesley’s theology that were focused on individual piety; the new studies emphasize the social aspects of Wesley’s ideas and practices. At first, this paper basically agrees that the society-oriented interpretation of Wesley’s theology exhibits its comprehensive dimensions well, and suggests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social activism and social programs. Due to their social concerns, however, the researchers have ignored the contexts of the passages in which Wesley referred to the word “society,” and, in the end, misunderstood its real meaning. According to its own critical reading, this paper reveals that Wesley’s usage of the term “society” strongly implied the religious society, that is, the community of the people called the Methodists. While Wesley knew religious societies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in England, and tried to follow their rules, he pushed forward his own Methodist Society applied to the newer context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Methodist Society had organized groups and made rules even for the plain, the poor, and the female, all those who were marginalized in English society. Because the Methodist Society gave membership to the people from the whole society, and nourished them spiritually in small groups such as classes and bands, its purpose of reforming the church implied reforming society and the nation. Considering Wesley’s idea of community of goods, we may search for a clue for reforming Korean churches, and, while doing it, show a more excellent way to live within the whole of society, with the accountability groups in the church. In this sense, Wesley’s theology is still effective not only for Wesleyans, but also for all of society’s members.
        10.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ong the theories of the atonement in the church’s history is the Pentecostal-holiness view of healing in the atonement. The North American Pentecostal Holiness Church emerged historically from both the Holiness movement and Methodism, yet there was a very strong connection with Evangelicalism, especially with A. J. Gordon and A. B. Simpson. In the 1920s, the doctrine of divine healing that brought wholeness to believers’ bodies caused a church schism. Some adherents believed that divine healing was to be without any assistance from medical science or “remedies” as they termed it. Also, there were episodes of civil disobedience associated with divine healing when some parents were arrested for “criminal neglect” by failing to allow medical care for their minor children. Anointing with oil and prayer for the sick is considered to be a kind of sacrament among Pentecostals. It is hoped that a more inclusive reading of the traditions of church history will include the Pentecostal-holiness view of divine healing in the aton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