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자발쑥에서 분리한 유파틸린과 유파폴린을 이용하 여 피부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염증 및 면역과민성에 대한 활성을 조사하였다. DPPH 라디 컬 소거능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DPPH 활성산소 소거 활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9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95%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유효성분인 유파틸린과 유파폴린을 분리하고, 항염증 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NO, IL -6, TNF-α의 생성을 억제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파 틸린과 유파폴린은 각각 1, 5, 10m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N O, IL-6 및 TNF-α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유파폴린은 유파틸린 보다 더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HaCa T (피부 각질 세포) 세포주를 이용하여 유파틸린과 유파폴린에 대한 피부염증 감소 효능 을 확인한 결과, TNF-α/IFN-γ에 의해 증가한 RNTES 및 TARC 사이토카인의 단백질 농도가 각각 농도에 따라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자발쑥으로부터 분리한 유파틸린과 유파폴린은 향후 피부질환 관련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 사료된다.
Dentin hypersensitivity (DH) is defined as short and sharp pain caused by external stimuli such as heat, vaporization, contact, osmotic pressure, and chemical stimulation in a normal tooth, rather than due to disease or tooth damage. Its solution is to block the flow of dentinal fluid by physically blocking the dentinal tubule. Of these treatments, fluoride and oxalate type for hypersensitivity can only have a temporary effect. Resins should be used with a suitable bonding system and they may cause hypersensitivity symptoms after treatment.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there is a need for method that can effectively treat dental hypersensitivity lasting long without any side effects. For this reason, experiments with 200 plant extracts as candidates for dentin hypersensitivity, Buddleja officinalis was considered as a candidate for present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ethanol extract of Buddleja officinalis is effective to protect enamel and dentin by coating tooth surface and resistance to acid or alkali even after tooth co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is an abrupt intense pain caused by innocuous stimuli to exposed dentinal tubules. Mechanosensitive ion channels have been assessed in dental primary afferent neurons and odontoblasts to explain dentin hypersensitivity. Dentinal fluid dynamics evoked by various stimuli to exposed dentin cause mechanical stress to the structures underlying dentin. This review briefly discusses three hypotheses regarding dentin hypersensitivity and introduces recent findings on mechanosensitive ion channels expressed in the dental sensory system and discusses how the activation of these ion channels is involved in dentin hypersensitivity.
전기기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60Hz 전력선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인체영향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와 더불어 60Hz 자기장에 의해 두통, 불면증 등 정신 신경 생리학적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자기장 노출에 의한 것인지 심리적 요인 때문인지에 대하여 확실한 원인규명이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장 노출 시 생리학적 변화(심박수, 호흡수, 심박변이도, 뇌파의 알파, 베타파), 자각증상, 자기장 인지 여부를 동시에 측정하여 복합적으로 자각 증상 원인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60Hz 12.5uT의 자기장을 일반인 군(16명)과 EHS 군(15명)을 대상으로 실제 노출 및 가상 노출을 하였다. 그 결과 알반인 군과 EHS 군 모두 60Hz 자기장 노출여부에 따른 생리학적 변화나 자각증상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자기장 인지 정확도에서도 EHS 군이 일반인 군보다 인지를 잘한다고 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EHS 유발요인은 60Hz 자기장이 아니라 다른 심리적,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Drosophila의 actin 5C 유전자 promoter에 쥐의 DNA polymerase cDNA를 도입시킨 형질전환 초파리가 고감수성 환경성 변이원 검출계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체세포 염색체 재조환과 체세포 염색체 돌연변이의 검출을 위해서는 geterozygous(mwh/+) 계통을 사용하였다. 염색체상의 결실이나 비분리 등에 의한 small mwh spot의 자연 발생적 빈도는 non-transgenic w 계통과 transgenic p[pol ]-130 계통에서 각각 0.351 및 0.606 정도였다. 체세포 염색체 재조환에 의한 large mwh spot의 자연 발생적 빈도의 경우는 transgenic p[pol ]-130 계통(0.063)이 non-transgenic w 계통(0.021)에 비해 약 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IQ, Glu-P-1 및 TEXAFB1/TEX 등의 돌연변이원의 처리에 의한 경우, 두 종류의 mutant clone의 발생 빈도는 쥐의 DNA polymerase 가 도입된 transgenic p[pol ]-130 계통이 non-transgenic w 계통에 비하여 모두 약 2-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쥐의 DNA polymerase 가 최소한 체세포 염색체 돌연변이 유발이나 체세포 염색체 재조환의 생성 과정에 관여함을 의미하며, 형질전환 초파리 계통이 환경성 변이원 검출계로서 충분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otential of 70% ethanol extract from Persicaria nepalensis (PNE) as a cosmetic ingredient by primary skin irritation, ocular irritation, and maximization tests for delayed hypersensitivity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and Hartley guinea pig. Skin safety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tential toxicity of PNE using the primary irritation test. In the primary irritation test, 50% PNE was applied to the skin, and no adverse reactions such as erythema and edema were observed at the intact skin sites. Therefore, PNE was classified as a practically non-irritating material based on a primary irritation index of "0.0.". In the ocular irritation test, the 50% PNE applied did not show any adverse reactions in the different parts of rabbit eyes, including the cornea, iris, and conjunctiva. Thus, PNE was classified as a practically non-irritating material based on an acute ocular irritation index of "0.0.". Skin sensitization was tested by the Guinea Pig Maximization Test (GPMT) and Freund's Complete Adjuvant (FCA) using an intradermal injection of 10% PNE. Edema and erythema were not observed 24 and 48 h after the topical application of PNE in skin sensitization test, which exhibited a sensitization score of "0.0.".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P. nepalensis could be used as potential candidates for cosmoceutical ingredients, without any major sid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