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3.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user interactivity with VR in a digital retail setting on mental imagery and sensory brand app experience and its consequential impacts on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toward using VR, and behavioral intent. Mental imagery is understood in relation to quantity, vividness, and valence. The user involvement with the device is employed as a moderator to fully understand the impact of VR in connection with consumer engagement. An IKEA VR application was utilized for this study. A convenient sample of college students was recruited from a large research university in the U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user interactivity impacts mental imagery, and it subsequently influences sensory brand app experience,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toward using VR, and behavioral intent. Overall,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and practical information to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4,000원
        2.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VR and 2D in the tourism industry as marketing tools, using affective forecasting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ly, this study has two primary research aims. The first is to examine if a higher level of mental imagery (resulting from VR) is more effective than a lower level (2D) in a tourism marketing context. To evaluate this, the researchers use experimental method, measuring predicted dominance, predicted pleasure and predicted arousal, as well as purchase intention towards the hotel. Relevant to the tourism industry, tourism products are spatially and temporally distant (vs. nea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differently mental imagery, resulting from VR (versus 2D) experience, generates affective forecasting of a tourism product when tourists plan distant (versus near) future trips (temporal distance).
        3.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품과 물리적 접촉이 불가능한 온라인 환경에서 다중 감각 단서가 소비자의 촉각적 심상과 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참가자들을 음향 없이 사진만 제시한 조건, 음향 없이 영상만 제시한 조건, 일치하는 음향과 영상을 제시한 조건, 불일치하는 음향과 영상을 제시한 조건으로 나누어 제품을 탐색하게 하였고 그 후 촉각적 심상선명도, 제품 사용의 상상용이성, 제품에 대한 태도-구매 의사를 측정하였 다. 그 결과, 모든 변수에서 불일치하는 음향과 영상이 주어진 조건이 가장 낮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실험 2는 참가자 내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참가자들에게 동일한 제품을 실험 1과 같은 네 개의 조건에서 탐색하게 하였다. 탐색 후,촉각적 심상선명도, 제품 사용의 상상용이성, 제품에 대한 태도-구매 의사, 접촉 욕구 등을 측정하였다. 접촉 욕구를 공변인으로 하는 반복측정 공분산분석 결과, 일치하는 음향과 영상을 제시한 조건은 다른 조건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 하게 심상선명도, 제품에 대한 태도, 제품 구매 의사가 높았다. 이중 매개 분석 결과, 다중 감각 단서 조건은 심상선명 도와 제품 사용의 상상용이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제품에 대한 태도-구매 의사를 유의미하게 예측했다. 결론적으 로, 음향 및 영상 단서로 유발된 선명한 촉각적 심상은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상황의 상상을 쉽게 만들어 태도-구 매 의사와 같은 의사 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500원
        6.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hopping at bricks-and-mortar stores is considered highly experiential. An ability to experience and physically interact with a product is a key benefit of shopping at offline stores. In an online shopping context where sensory experience is absent, researchers have looked at how mental imagery as an alternative to in-store sensory experience impact consumer decision-making (Yoo & Kim, 2014). However the role of mental imagery has been largely overlooked in the context of offline store shopping. While it is true that shopping at offline stores facilitates sensory experience, evidence from cognitive neuropsychology literature supports that visual perception impacts visual mental imagery (Bartolomeo, 2002).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posit that sensory experience in stores is related to mental imagery. Yet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 sensory experience and mental imagery in the context of store shopping has not been studied. To fill a gap in the current literatu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sensory experience and mental imagery facilitate purchase decision-making in the context of offline stores. Based on the model of recursive relationships among consumers’ emotional, cognitive, perceptual and behavioral responses (Scherer, 2003) and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this study posits that actual sensory experience and mental imagery related. It is further posited that both actual sensory experience and mental imagery influence consumers’ affective (anticipatory emotion) and cognitive responses (e.g., decision satisfaction, perceived ownership and decision satisfaction). This study employed an online survey in Korea. Apparel shoppers who shopped and purchased apparel at brick-and-mortar stores during the last six months were recruited. To facilitate a retrieval of in-store experiences, a series of questions about their specific shopping trip and purchases were asked at the beginning of survey. The current study consists of measurements adopted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with adequate reliabilities. All the items were measured using a 7-point Likert-type scale. A total of 455 respondents completed the online survey questionnai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examined to assess reliabilities of the measures, and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acceptable for all constructs (.78 ~ .92). Results of the SEM revealed that all the model-fit indexes exceeded their respective common acceptance levels, suggesting that the proposed model fitted the data well (2 = 627.38, df = 175; NFI = .92; IFI = .94; CFI = .94; RMSEA = .075). All the direct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effect of sensory experience on perceived ownership, the effect of mental imagery on decision confidence, and the effect of perceived ownership on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provides new insights into consumer in-store shopping experiences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Sensory experience and mental imagery are complementary in facilitating consumer in-store shopping experiences. In addition to the importance of sensory experience,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e vital role of mental imagery in the context of in-store shopping. Visualizing a situation through vivid mental imagery combined with actual sensory experience will lead consumers to positive shopping outcomes.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to better understand how to optimize actual sensory experience and mental imagery to offer excellent in-store experiences.
        7.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many brands, offering valuable and original experiences for customers is the main means of gaining awareness, image values and hence, strategic competitive advantage. Brands like Abercrombie and Fitch, BONOBOS and Victoria’s Secret have understood the opportunities offered by experiential marketing as a new philosophy of thinking, conceiving and proposing a marketing offer. This challenge is as important for online fashion brands that target millennial customers considered as internet addicts (Bergman et al., 2005) always looking for information, exhibitionism and enjoyable online experiences. With the growth of online fashion shopping it is important that fashion retailers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website quality dimensions and customer satisfaction (Kim and Stoel, 2004). Fashion brands must go beyond the vision of the website as a medium of information to a medium of entertaining proposing additional extraordinary and optimal experiences for these customers. As noted by Kim (2007), online fashion retailers need to be able to communicate the product information virtually in order to create accurate product perceptions for consumers who are visiting their website. Thus, the main question is “what are the elements of the website which could help achieve these aims?”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research which focuses on how information features affect consumers` commitments to a shopping site on the web (Park and Kim, 2006). Consequently,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further research in the domain by illustrating how the online fashion brand provides a valuable shopping, consuming and cognitive experience that fits with the consumer’s expectations aligning these with the extraordinary and symbolic world of the brand. From this perspective, the website of the brand – due to its multisensory, interactive and hyper-mediatized nature – can be a very effective digital support for achieving these goals. It represents the virtual environment that enables the brand to create and open up a universe that transcribes its functional, experiential and symbolic values. From the consumer’s psychological perspective, this online communication strategy questions the psychological process that underlines the perception, elaboration and reactions of the consumer during his online experience: To this is end, it is relevant to focus on the influences of the usability of the website on the attributes of the mental images the consumer experiences and the moderating role that brand attitude and involvement in the product category could have in this. Also, based on MacInnis and Price (1987) recommendations, it is relevant to analyze the role the consumer’s style of processing could have in this process. Thus, the research questions are: How do the attributes of the website impact the mental imagery experience of the consumer during his/her website visit?; and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these psychological reactions on the consumer’s post-visit attitude and behavior. In attempt to respond to these questions, we explore the psychological process that underlies consumer online behavior. We draw on the literature which emphasizes the link between the website attributes and the imagery processing of the online consumer. We present and empirically test our conceptual model within the current quantitative study. We follow with a discussion of our results and presentation of the implications of our study for theory and practice.
        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부 광고가 기부의향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목표 청중이 동정심, 공감이나 심리적 불편감 등의 정서를 느끼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행연구들은 기부 광고에 의해서 유발되는 정서적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광고의 언어적 요소인 메시지의 속성(구체성과 정서가)과 그에 따른 심리적 반응(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을 제안한다. 기부 광고를 처리하는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기부 광고의 메시지 속성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 →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 → 정서적 경 험 → 기부의향’의 개념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개념적 모형 중 본 연구는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가 (1)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ERP로 측정하고, (2) 기부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기부의향금액을 측정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그 결과, 구체적인 메시지는 추상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심상을 더 유발시키며, 부정적인 메시지는 긍정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더 많은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메시지가 구체적이면서 부정적일 경우, 기부희망금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마비측 상지 기 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K의료원에 외래 치료 중인 44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대 조 실험을 하였다. 두 집단은 전통적 재활치료와 함께 실험군은 상상 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를, 대조군은 일반적인 전기자극치료를 회당 30분간, 주 5회, 6주간 실시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 Fugl-Meyer Assessment (FMA)와 Manual Function Test (MFT)를 사용 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평가로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여 중재 전·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1) 6주간의 중재 후 실험군의 FMA, MFT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1). 2) 실험군의 MBI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개인위생과 옷 입기 항목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5). 반면 대조군의 경우 약간의 점수 향상은 있었지만 모든 평가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기능적 전기자극치료에 비해 뇌 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을 향상 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손의 움직임과 관련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900원
        10.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암묵 및 외현적 속성을 가진 운동 과제를 통해 정신훈련과 실제훈련의 효과와 정신 훈련에 적합한 속성의 운동 과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정상 성인 36명을 세 집단(정신훈련군, 실제훈련군, 대조군)으로 무작위 할당하고, 표적조준과제와 시열반응과제를 이용하여 정신훈련 및 실제훈련 실시하였다. 표적조준과제는 모니터에서 제공하는 좌우의 두 개의 원안에 마우스를 위치함과 동시에 클릭을 하게 하였고, 시열반응과제는 모니터에서 제시되는 네 가지의 색깔에 대응하는 반응패드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최대한 빨리 정확히 누르도록 하여,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정신훈련과 실제훈련은 각각 하루 30분, 3일 동안 훈련하였고, 훈련 전과 후의 운동반응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표적조준과제에서는 정신훈련군과 실제훈련군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반응시간의 변화를 보였고(p<.05), 시열반응과제에서도 정신훈련군과 실제훈련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반응시간의 변화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각각의 과제에서 집단간의 표준화된 점수의 비교에서 표준 조준과제의 경우, 실제훈련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증가를 보였고(p<.05), 시열반응과제의 경우에는 실제훈련군이 그 증감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정신훈련은 암묵 및 외현적 속성을 가진 모든 과제에서 운동학습이 이루어졌고, 암묵적 지식의 습득보다는 외현적 지식이 요구되는 과제에서 운동학습의 효과가 높았다.
        4,000원
        11.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운동학습은 신체적인 연습과 경험의 결과로 동작에 대한 기술 습득의 과정으로 표현된다. 최근 정신적 훈련을 통해 운동 기술의 습득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열반응과제를 통하여 실제 훈련과 정신 훈련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50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정신 훈련군, 실제 훈련군, 대조군으로 무선적 배치하였다. 측정된 시열반응과제는 컴퓨터 화면에 제시되는 네 가지의 색깔에 대응하는 반응패드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최대한 빨리 정확히 누르도록 하고, 반응 시간을 측정하였다. 정신 훈련군과 실제 훈련군은 정신 및 실제 훈련을 하루 30분, 2주 동안 훈련하였고, 훈련 시간은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결과 : 이요인 반복 측정 공분산 분석의 집단 간의 주 효과 검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집단×훈련 전·후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5). 또한 사후 검정에서 정신 훈련군과 대조군, 실제 훈련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훈련 후 대조군에서의 시간의 감소보다 정신 훈련군과 실제 훈련군에서의 과제 수행 시 시간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정신 훈련군에서 실제 훈련군과 같이 운동 학습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정신 훈련은 효과적인 운동학습을 위한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운동제어와 인지학습을 시켜야 하는 재활 영역에서 뇌손상 환자에게 학습을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정신 훈련을 채택할 수 있으며, 마비측의 실제 훈련을 수행하기에 어려운 상황에서는 정신 훈련이 더 효과적일 수 있고, 실제 훈련과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2.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단기적 쾌 또는 불쾌 자극의 생리적 반응지표로서의 전기 피부반응[electrodermal response(EDR) 또는 Galvanic Skin Response(GSR)로 총칭의 유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자료수집 절차를 확립하기 위한 예비연구의 수행에 있다. 이를 위해 쾌 또는 불쾌를 유발하는 미약한 심상자극과 인지적 암산과제가 피부 전도도(skin conductance level : SCL)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험자는 9명의 대학생(남자 5명, 여자 4명)이었다. 쾌 불쾌 자극의 선정방법으로서 각 피험자에게 일련의 단어를 제시하고 머리 속에 떠오르는 대로 좋아하는 대상과 싫어하는 대상을 적게 한 후 그 중 가장 좋아하는 대상과 싫어하는 대상을 선택하게 하였다 이 대상을 각각 쾌\ulcorner불쾌를 유발하는 심상자극으로 사용하였다 세 번째로 제시된 정신적 내면자극은 전통적으로 그 효과가 입증된 인지적 암산과제(숫자 빼기)였다. 자극자료 수집절차는 기저수준 기간, 쾌를 유발하는 심상, 기저수준, 불쾌심상, 기저수준, 암산과제의 순으로 진행되면서 매 10초 간격으로 SCL을 기록하였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전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심상의 미세한 심리적 효과가 보다 잘 드러나도록 자료수집 절차가 수정 \ulcorner보완되었다. 즉, 심상자극을 상상한 후 심상자극에 몰입을 충실히 하면서 잡음신호(Irtifact)를 극소화하기 위하여 생생한 심상에 몰입하고 나면 손가락을 살짝 들어서 실험자에게 신호를 보내도륵 하였으며, 기저수준으로의 원상회복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완의 수준을 깊게 해 주는 데 초점을 둔 지시문을 읽어 주었다. 연구결과, 3회의 기저수준의 SCL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절차와 달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절차가 여러 자극의 효과비교에 필요한 기저수준의 안정성을 달성하였음을 알려 준다. 또한 암산과제시의 SCL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괴로운 심상자극의 경우보다도 SCL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산과제가 가장 큰 생리적 흥분을 일으킴을 시사한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절차와 자극과제는 장차 내면의 심리자극의 정신생리적 효과를 연구할 때 좀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적용해 볼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