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3.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amond-like nanocomposite (DLN) has become a promising thin film for many fields of applications due to its unique and tunable properties. However, low optical bandgap and thermal stability limits its application in many fields particularly as antireflection coating on solar cell. In the present study, the DLN thin film has been deposited using a mixed liquid precursor by rf-PECVD process. Surprisingly the presence of nc-C60 in FCC structure in DLN matrix has been observed. The degree of crystallinity and diameter of C60 have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annealed at 850 °C. The film has been annealed at 850 °C to primarily investigate its feasibility as antireflection coating (ARC) in compatible with industrial solar cell fabrication process. The refractive index and optical bandgap of the film were around 1.80 and 4.10 eV, respectively. Moreover, the optical bandgap has decreased to some extent to 3.92 eV even after annealing at such high temperature. The high SiOx at% and embedded nc-C60 enhanced the optical transparency and thermal stability of the DLN film. The solar-weighted average reflection of DLN-coated textured silicon was reduced significantly to 1.91%. The C60 embedded DLN film has a great potential to apply in different optoelectronic devices especially in solar cell as ARC.
        4,000원
        5.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노여과를위한 박막 나노복합체(TFN) 멤브레인 기술의 발전은 천연 자원에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 중요하 다. 최근에는 기존의 박막 복합체(TFC) 및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에서 불가피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금속유기구조체 (MOF) 수정이 테스트되었다. 일반적으로 MIL-101(Cr), UiO-66, ZIF-8 및 HKUST-1 [Cu3(BCT2)]은 용매 투과성 및 용질 제 거 측면에서 막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리뷰에서는 이러한 MOF가 나노 여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최근 연구가 논의될 것이다. 서로 다른 금속유기구조체의 동시 사용 및 고유한 금속유기구조체 레이어링 기술(예: 딥 코팅, 스프레이 사전 배치, Langmuir-Schaefer 필름 등)과 같은 다른 새로운 기능도 멤브레인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MOF 변 형 TFN 멤브레인은 각각의 TFC 및 TFN 멤브레인에서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자주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많은 보 고서에서 비용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공정에 대한 잠재력을 설명한다.
        5,100원
        14.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thin-film nanocomposite membranes (TFNs) have paved the way to develop high-performance reverse osmosis (RO) membranes, scale-up production of TFNs is still challenging issue. Herein, we introduced a novel preparation method for TFNs using spray-assisted nanofiller pre-deposition (Spray method) to circumvent the limitations in conventional method. The precise control of nanofiller (ZIF-8) loading was possible by simply varying the spraying ZIF-8 concentration. Most importantly, TFNs prepared by both Spray and conventional method showed similar RO performances, while Spray method only requires ~100 times minimized amount of ZIF-8 with an unprecedentedly short deposition time (< 1 min) ever reported. Our results revealed that Spray method would be promising for the scale-up of TFNs in terms of cost, time, and controllability.
        15.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키토산 필름은 농업, 식품과 제약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키토산으로만 만들어진 필름은 기체투과성이 높고 기계적 물성에 약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체 투과성을 낮추고 기계적 물성을 높이기 위해 층상구조를 갖는 점토광물의 일종인 montorillonite (MMT)와 양이온 생체고분자인 키토산을 이용하여 양이온 교환과 수소결합과정을 통해 Na+-MMT에 키토산을 삽입하여 키토산/Clay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키토산/clay 나노 복합재료의 X-ray 회절패턴에서 2θ=7.5º에서 MMT의 basal reflection이 나타났고, 2θ=3~5º 주위에서의 새로운 약하고 넓은 peak로서 더 낮은 각에서 MMT의 basal reflection의 이동에 의해 삽입된 나노 구조의 형성을 증명하였다. 또한 TGA thermogram를 이용하여 clay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제조된 나노복합재료의 열분해가 일어나는 범위의 질량감소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므로서 내열성을 관찰하였다. 기계적 물성 성질을 측정하여 clay 함유량의 증가에 따른 인장 강도와 인장 모듈러스의 변화를 관찰하고, 키토산이 층상 실리케이트 내에 삽입하여 제조된 나노복합재료에서 clay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질소 투과경로의 tortuosity를 증가시켜서 기체 투과도를 감소시키는 것도 확인하였다.
        4,000원
        16.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MnO3, and gel films were deposited by spin-coating technique on scandium-doped zirconia (YSZ) substrate using the precursor solution prepared from , or ,2-methoxyethanol, and polyethylene glycol. By heat-treating the gel films, the electrochemical cells, were fabricated. The effect of polyethylene glycol on the microstructure evolution of and thin films was investigated, and NOx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chemical cells were investigated at to . By applying a direct current to the electrochemical cell, good NOx conversion rate could be obtained relatively at low current value even if excess oxygen is included in the reaction gas mixtur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