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공원계획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공원계획 단계에서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하 기 위한 목적으로 근린공원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원 조성에 대한 주민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남원시 공원 두 곳을 선정하여 각 공원의 요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된 내용 을 바탕으로 공원 성격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고 공원 조성방향 설정을 위하여 항목별 중요도와 응답자의 인구특성에 따른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원 조성의 방향은 근린형과 관광지형의 이분형 범주를 사용하였으며 중요도는 5단계 리커트 척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원조성방향은 인구특성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단순 근린공원보다 는 관광지 기능의 복합공원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주민은 근린 생활공간으로서 서비 스 제공 요구도가 높은 반면 상인은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요구도도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구특성에 따른 다양한 요구가 반영된 공원계획을 통해 주민참여형 공원계획 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300원
        2.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tecting and preserving the natural and environmental treasures of Jeju Island is, eventually, the collective responsibility of the people of Jeju, all levels of the government, corporate and the environmental NGO sectors. Jeju Island has a vibrant environmental NGO sector with about 80 NGOs providing a variety of active environmental services. All efforts and services to conserve the environment of Jeju Island for the benefits of future generations need to be galvanized within the overarching environmental governance where all three sectors actively participate and make collective decisions within the three key elem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people, planet & profit. The key ingredient for promoting networking and collaborative opportunities between environmental NGOs, government entities and corporations is to improve their trust on one another. Given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NGOs - governments - corporations relations, it will take time to develop such trust, but if small measures are undertaken, mutual understanding & respect between the leaders of NGOs, government and corporations will grow and eventually result in mutual trust.
        4,800원
        3.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는 지질자원 분야의 국내·외 인적자원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개원 이래 교육 훈련 목표 성과를 달성하며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 성과의 객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교육인증과정 수료자를 대상으로 교육요구분석 및 교육훈련 과정 성과평가를 실시하였다. 교육요구분석을 위해 Borich 교육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방식을 활용하였다. 교육훈련 과정 성과평가는 성별, 연령별, 학력별, 수강구분에 따라 만족도 및 현업적용도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질학, 광물자원, 석유해저, 지구환경 분야 의 교육훈련 과정의 교육요구도가 도출되었으며, Locus for Focus 방식에 따라 교육과정 개발의 시급성을 판단하였다. 교육훈련 과정 성과평가 결과 광물자원, 지구환경 분야의 과정이 지질학 분야의 과정보다 학습성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4.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eeds of education program and to analyze importance of education courses for school food service cooks.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y reviewing literatures on education programs for cooks and by interviewing with cooks who are working in school food service.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at Kyonggi University and 90 of them were analyzed. The cooks in school food service wanted to tak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bout cooking skills and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 skills. They wanted to take a culinary courses for 10 days and they wanted to take a food service operation courses for a week. The school food service cooks emphasized on courses of job analysis, laws and regulation, food sanitation, standard recipe, safety, equipment, and facility and layout. And they thought not only Korean food but also western food, Chinese food and Japanese food are important.
        4,000원
        5.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a new direction of college English programs,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Korean university EFL leamer needs. With this goal, this study discusse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provided for 405 studen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study also discusses a new direction of desirable English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needs assessment.
        6,700원
        6.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πl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feasibility of a new direction of EFL learner needs assessment in Korea. π1Îs paper relates theoretical concepts and methodological frameworks in needs assessment in general to the p때lC비따 concem with needs assessment in TEFL. 까le paper also discusses a new direction of the needs assessment in terms of the “ leah1er-centered” system, thc 폐 needs" type, the “process-oriented" interpretation, and the “democratic" approach.
        5,200원
        7.
        199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8.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utrition education and training needs as a basis for program planning for day care children. Nutrition achievement test developed by American National Dairy Council and Iowa state University was modified and used for measuring the level of basic knowledge of food and nutrition for day care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ver 70% of mothers indicated their children had a certain degree of food behavior and feeding problems in terms of unbalanced food habit, irregular meal period. 2. Mean score for the nutrition achievement test for day care children was 9.3. 3. The nutrition achievement test score for children with high socio-economic statu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hildren with middle and lower group. 4. Inspection of the difficulty difference indices showed that over the 50% of the children had more items that were easier in the content of physiological facts than in the food handling and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foods.
        4,600원
        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초임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과 그에 대한 유치원 초임교사의 인식수준을 살펴보고, 그들의 직무역량 향상에 대한 정책 수립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9개 역량영역과 18개 역량군의 유치원 초임교사 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직무역량과 지 원의 중요도와 보유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최우선순위 직 무역량은 생활지도의 부적응지도, 생활지도의 생활습관지도, 교육과정운영의 교수활동으로 나타 났다. 유치원 초임교사의 지원요구가 높게 나타난 지원 사항은 양성과정에서의 실무연수 강화, 멘 토링, 입직 후 직무안내 및 교육, 교육활동을 위한 시간적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제언으로 첫째, 유치원 초임교사의 직무역량 중요도에 비해 보유도가 낮은 원인을 분석 하여 직무역량 교육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최우선순위 교육 요구 직무역량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 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현장에서의 유치원 초임교사의 효과적인 입직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입직교육 관련 정책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직원 인력배치, 교 사경력단계별 적정학급규모, 근무시간에 대한 지원 요구도가 높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교원의 인 권보장에 대한 법리적 문제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10.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역량기반의 교육요구분석과 관련한 연구에서 예비교사와 같이 아직 현장 경험이 충분하지 못한 대상자에게까지 연구대상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나, 교육요구 파악을 위 한 우선순위결정방안은 기존의 경험이 풍부한 대상자에게 적용했던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에 배경지식과 경험의 정도에 따라 보다 타당한 교 육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정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험학습자라고 할 수 있는 현직교사와 아직 교직경험이 없는 미경험학습자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스마트교원역량의 중요도에 대한 순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 13개 역량 중 10개 의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기존에 교육요구분석에서 사 용되었던 대응표본 t 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여 스마트 교원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의 경우 창의적 문제해결, 내용전문성, 대외협력관계 형성의 순으로 나타났고, 현직교사들은 대외협력관계 형성, 평가 및 성찰, 수업설 계 및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한 역량에 대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 큰 인식차이 가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결과로, 이는 역량에 대한 중요도 판정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요구분석에서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이 결과해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 과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요구분석에 보다 적합한 모델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