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적으로 50여종이 알려져 있는 Adrapsa속은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2종이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Adrapsa notigera (Butler)를 국내 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의 형태학적 특징과 유사종과의 차이, 분포지역, 성충 및 생식기 사진을 제공하며 유전학적 정보를 통하여 속 내 다른 종과의 분류학적 관계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2024년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다인종·다문화 국가로서 사실 상 ‘이행기 문화’의 시기이자 ‘다문화 국가로의 체제전환’ 과정에 진입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변화, 요구를 반영한 국내외적 배경에 따라 이 민정책을 추진하는 주체 즉, ‘정책결정자(policy maker)’이자, ‘정책명령자 (policy commander)’이면서, ‘정책조정자(policy broker)’인 행정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한다. 특히, 현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이민정책’ 가운데 ‘출입국‧이민관리청 신설 방안’을 정책 사례로 선택하고, 선행 연구된 논문들과 관련 문헌, 연구보고서, 주무 부처의 국회 제출자료 등을 근거로 내용 을 비교 및 검토한다. 그 결과, 먼저, 국익 중심의 선별적 수용과 강력한 동화 주의를 지향하는 정책 기조에 대해 국익 개념이 갖는 모호성의 문제를 지적하 고 헌법적 가치와의 양립 필요성 등 인식론 차원의 재논의를 주장한다. 또한, 한국형 이민정책 추진을 위한 정부 차원의 미흡한 사전 조사, 정책 추진 근거 의 불균형에 따른 보완이 요구되며, 이에 한국인의 ‘신안보’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포괄적 안보의 관점에서 인간안보 및 사회‧경제적 위협요인을 최소화하 고 기존 제도의 붕괴에 따른 공백을 대체할 수 있는 정부의 역할과 기능을 강 조한다. 특히, 이때 정부에 강력하게 요구되는 것으로서, 선거에 따른 정부 권 력의 이동과 관계없이 한국형 이민정책 추진의 ‘일관성’과 ‘연속성’을 확보해야 만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순환 구조의 리더십’을 다음과 같이 제언 한다. 정부는 첫째, 이민정책 내용의 전문성을 높이고 정책개발 역량을 키우기 위한 ‘정책 리더십(policy leadership)’을, 둘째, 정부조직법 등 관련 법령의 통 과와 예산 확보 논의를 가능케 하는, 정책의 입법 성공을 위한 ‘입법 리더십 (legislative leadership)’을, 셋째, 이민정책을 단계별 진행순서(sequencing)에 따라 적절히 관리하고 책임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이민정책실명제를 시행하 는 등 ‘행정 리더십(administrative leadership)’을 갖추어야 한다.
가는납작벌레과의 미기록종인 Ahasverus advena (Waltl) (곡식가는납작벌레, 신칭), Psammoecus trimaculatus Motschulsky (닮은모래가 는납작벌레, 신칭)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각 종에 대한 외형과 진단형질, 분포지도를 제공한다.
이 논문은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이 직면한 대북 딜레마를 분석하고,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과 북한의 관계는 흔히 혈맹관계로 인식되지만, 중국은 이를 부인하고 전통 적 우호관계로 규정한다. 시진핑 집권 초기 중국은 북핵문제와 북한문제 를 동일시 하였고, 북한의 무력도발로 인해 북중관계는 악화되었다. 그러 나 2018년 이후 중국은 북핵 문제와 북한 문제를 분리하여 접근하기 시 작하였고, 북중관계는 다시 회복된다. 중국은 주변외교를 강화하는 한편 북한을 운명공동체로 규정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관계를 구축하고자 한 다. 특히 운명공동체는 ‘풍우동주’ 및 ‘휴척여공’의 개념으로 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영역 외에 군사 영역까지 포함하는 매우 적극적인 관계 의 형태이다. 중국의 대북 딜레마는 여전히 존재하고, 북한의 정치상황과 미중관계의 변화가 지속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대북 접근법에 대해 새로 운 관점이 필요하다.
Thyrderus Sharp, 1885 속은 전 세계적으로 9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구북구 지역에는 단일 종이 기록되어 있다. 이 연구는 이전에 일본과 대만에서 보고됐던 Thyroderus porcatus Sharp, 1885를 한국에 처음 기록한다. 삽화, 진단형질, 분포 정보가 제공된다.
Three species belonging to two families of minute-sized spiders, viz, Theridiosoma fulvum (Araneae: Theridiosomatidae), Microdipoena ogatai and Microdipoena shenyang (Araneae: Mysmenidae), were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Previously T. fulvum and M. ogatai were known to distribute only in Japan, M. shenyang only in China. All former records of Microdipoena jobi from Korea are misidentifications of M. shenyang. Detailed descriptions and photographs of three species are provided.
The family Cryptophagidae Kirby (Coleoptera: Cucujoidea) comprises minute beetles, with approximately 800 described species within about 50 genera worldwide. Most members of this family are found in moldy environments and feed on fungal spores and hyphae. The Korean cryptophagid fauna is poorly known, consisting of 22 species belonging to 8 genera. In this study, seven species of Cryptophagida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tomaroides ussurica (Lyubarsky), Cryptophagus micaceus Rey, Cryptophagus pumilus Reitter, Cryptophagus zonatus Lyubarsky, Henoticus pilifer Reitter, Micrambe (Micrambinus) bimaculata (Panzer), and Serratomaria vulgaris Sasaji. Illustrations of habitus, male genitalia, and collection localities of these seven species are provided.
The jewel beetle, Trachy dilaticeps Gebhardt, 1928 has been known to occur in Japan, China, Taiwan, and Vietnam hitherto. This species is typically distributed in Oriental region. In the case of Palaearctic region, it has only been documented in Japan (Kyushu). In this study, we report T. dilaticeps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long with its diagnostic characters. Ecological and distributional information is also provided herein.
The Genus Psectra is a small group of Hemerobiidae, and Psectra diptera is one of the rare and attractive species in this group because of hindwing variation. They are well known to have their hindwing reduced, similar to flies, depending on their habitat environment. We report Genus Psectra and Psectra diptera, new records from Korea. We provide brief descriptions and photos of adults and genitalia.
The genus Grapholita, belonging to the tribe Grapholitini under the family Tortricidae, which is small to medium-sized moths ranging from 7mm to 16mm. It is a relatively diverse group in Grapholitini, comprising more than 150 species worldwide. This group is general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world, with the majority of its species occurring in the Holarctic region. Some species in the genus Grapholita are known worldwide as serious pests that feed on leaves, roots, fruits and other plant parts. In Korea, the genus is known to have 8 described species up to date. In this study, we report two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genus Grapholita from Korea, including a brief 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of adult and genitalia. Additionally, all available information including distribution, host plants and a taxonomic key to Korean Grapholita species is provided.
The Genus Rhynchaenus Clairville, known as a significant pest group with distribution of worldwide. 40 and 11 species were reported in Japan and China, repectively. Members of Rhynchaenus are usually known as flea weevils and leaf-miners on laval stage. While working on Insects founa of Island, we discovered one species, which is a newly added to the Korean founa (Rhynchaenus maculosus Yang & Zhang). This species was newly emerging pest severely Oak in China. The diagnosis, photographs of habitus and diagnostic characters are provided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Cryptotympana atrata belongs to the family Cicadidae,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damaging plant-sucking pest, and is distributed in East Asian countries. In addition, their cries cause direct harm to us through noise pollution and also reported twig damage in the forest environments. In this study, we isolated strains of the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that occurred from C. atrata collected this year. Here, we provide the morphological character and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is specie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viridulum isolated from C. atrata in Korea and provides a candidate strain with potential use for biological agents.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Tineola Herrich-Schäffer속의 Tieola bisselliella (Hummel, 1823)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해당 종은 모피, 양모, 깃털, 가죽 등 일상용품을 가해할 뿐만 아니라 미술, 역사, 또는 과학적으로 중요한 물품들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 T. bisselliella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기재하고 도판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