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1.
        198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성충을 재료로 하여 그 생식절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웅성 : 배측에서 보면 두쌍의 hypoproct가 있고 그 양쪽에는 한쌍의 claspettes가 있다. 각 부분의 표면은 주로 seta와 sensilla로 덮혀 있다. 특히 gonostylus 상단부에는 특이한 구조가 관찰되었다. 또한 aedeagus가 관찰되었는데 그 끝부분에는 매우 특이한 구조가 나타났다. 자성: Ovipositor는 세개의 마디로 되어 이들 각 마디의 표면구조는 서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4,000원
        22.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0년(年) 3월(月)부터 1981년(年) 9월(月)까지 경기도 화성군 반월면 둔대리(京畿道 華城郡 半月面 屯台里) 야산(野山)에서 월동후(越冬後) 솔잎혹파리 밀도변동(密度變動)에 미치는 주요인자(主要因子)에 관(關)한 시험(試驗)을 진행(進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중밀도(土中密度) 감소율(減少率)은 양세대(兩世代)에서 용화전까지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용화기에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으며 그 변동상(變動相)은 세대(世代)에 따라 차(差)가 있었다. 2.1979년(年)과 1980년(年) 양세대(兩世代)의 추정(推定) 용화 50%일(日)을 비교(比較)해 볼 때, 1980년세대(年世代)에서 약(約) 2주정도(週程度) 앞당겨졌는데, 이는 온도(溫度)의 영향(影響)으로 생각된다. 3. 월동유충밀도(越冬幼蟲密度)에 대(對)한 성충우화율(成蟲羽化率)은 평균(平均) 14.5%로 1979년세대(年世代)에서는 14.1%였고 1980년세대(年世代)는 14.9%로 그 차(差)는 명백(明白)하지 않았다. 4. 성충(成蟲)의 상대적(相對的) 우화율(羽化率)(Y)과 토양함수량(土壤含水量)() 및 함수량(含水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와는 라는 식(式)이 성립(成立)되었으며 5%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5. 성충(成蟲)의 상대적(相對的) 우화율(羽化率)과 함수량(含水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와의 상관관계(相關關係)들 구해 본 결과(結果), 함수량(含水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가 클 때 우화율(羽化率)이 낮아지는 경향(傾向)이 있다. 6. 수상(樹上) 충영형성율은 1980년세대(年世代)에서는 평균(平均) 49.63% 였으나, 1981년세대(年世代)에서는 평균(平均) 86.87% 로 대부분(大部分)의 적송(赤松)이 고사(枯死)내지 고사단계(枯死段階)에 이르렀다.
        4,000원
        23.
        198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r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s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 It requires two different habitats for the development, on trees and under the ground. The habitat specific mortality rates ere for the respective habitats. The key developmental stage is the prepupa, and the key mortality factor is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soil and its variability. Since the insect is an exotic, the population status is the periphery and in the source of infestation are considerably different. Such a difference in habitats and the population status of the insect should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suppression of the insect. The control strategies should be directional and rational based on the reality of the pest status. There have been substantial information on the control method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and each control method has an important place, but none has always provided a satisfactory solution to the many problems associated by this insect. These methods should be applied to a system based on the ecology of the insect. There should be continued support for directed effort on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management systems for the insect: specifically, estmation of the critical economic injury level, and of the absolute density of the insect.
        3,000원
        24.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changes in quality during storage of cooki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these are functional foods. We chose the quantity of pine needle powder (0%, 3%, 6%, or 9%, by weight) and storage time (1 day, 3 days, or 5 day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ducted sensory tests, measured chromaticity, and investigated physical properties. Differences in sweetness (p
        25.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and the antioxidant effect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the pine needle extract was obtained with methanol and its functionality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and the antioxidant experiment on soybean oil was carried out by the active oxygen method. The extraction yield of pine needle with 99% methanol was about 19%,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pine needle-methanol extract was 11.32 mg/g on dry basis and the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was 94.3%.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extract was pH dependent with the values of 77.44% at pH 1.2, 48.45% at pH 3.0 and 11.04% at pH 6.0, respectively. The peroxide value was 92.6 meq/kg at 5% dosage, 138.4 meq/kg at 2% dosage of the extract on 8 oxidation days. The period of the peroxide value to be 100 mg/kg was 4.9, 6.3 and 8.5 days at control, 2% and 5% dosage of extract,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 of the extract was 27.9% and 72.3% increase at 2% and 5% dosage,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The thiobarbituric acid value showed few differences within 4 oxidation days, but with the dosage of the extract it fairly decreased with considerable antioxidant effect to control above 4 days.
        26.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솔잎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식빵을 제조하기 위한 반죽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 성분측정 결과 생 솔잎은 수분 58.1%, 조단백질 4.5%, 조지방 3.9%, 조회분 0.9%, 식이섬유량 9.3%로 나타났다. 반죽의 pH 측정 결파 대조구의 pH는 5.9, 솔잎분말 첨가시에는 범위로 나타났다. 반죽의 호화도는 솔잎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 개시 온도는 증가하였고 최고 점도는 감소하였다. 반죽의 falling numbe
        27.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빵을 제조할 때 솔잎의 당 발효액을 설탕 대용으로 사용하면서 솔잎의 기능성을 제빵에 이용하고자 솔잎발효 액을 첨가하여 반죽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고, 빵을 제조 후 실온에 저장하면서 제품의 품질 변화를 보았다. farinogram에 의한 반죽의 물성 평가에서 반죽에 대한 안정성과 혼합 내구성에서 설탕을 함유한 반죽보다 솔잎발효 액을 첨가한 처리구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반죽의 발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pH에서도 솔잎발효액 첨가 구에
        28.
        200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and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were investigated in soil and pine needle samples taken from 16 sites of industrial and residential areas in Changwon, Korea to assess their distribution levels and to suggest the influence of industrial activities. PCDDs/DFs levels in the soil samples ranged from 0.57 to 20.79 pg I-TEQ/g dry weight with a mean value of 4.20 pg I-TEQ/g dry weight. PCDDs/DFs levels in the pine needle samples ranged from 0.39 to 8.75 pg I-TEQ/g dry weight with a mean value of 4.09 pg I-TEQ/g dry weight. In both soil and pine needle samples, the PCDDs/DFs concentrations in the industrial area site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residential area sites. Homologue profiles in pine needle samples showed different patterns compared with soil samples. Based on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t was confirmed that pine needles reflected a direct influence from local potential sources of PCDDs/DFs, showing a much higher degree of reflection than in soils. Pine needles are very useful as an indicator for monitoring or estimating the contamination of PCDDs/DFs in other areas which have been impacted by point pollution sources.
        29.
        200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솔잎 열수 증류액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값이 로서 매우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열수 증류액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를 이용한 돌연변이성 실험 결과 솔잎 열수 증류액 자체로서는 변이원성이 없었으며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직접변이원인 WNNG 의 경우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시료농도 에서 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NQO 에 대해서는 동일 농도에서 의
        30.
        200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솔잎 열수 증류액 시료 자체의 음용수 적합성 여부와 향기성분 등 품질평가를 검토하였다. 음용수 평가 항목에 따라 총45종류의 성분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모두에서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인체에 유해한 비소 (As), 납 (Pb), 수은 (Hg) 및 카드뮴 (Cd)등과 같은 무기물이 검출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기타의 성분도 음용수 기준치 내의 함량을 나타냄으로서 음용수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솔잎 열수 증류액의 향기성분에
        31.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쑥과 솔잎을 각각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ppm 농도에서 물추출물은 50-57%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은 51-64%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솔잎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은 100-500ppm에서 52-60%, 1,000ppm에서는 7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을 추출물은 100-500ppm에서 68-71%, 1,000ppm에서는 약
        32.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충하초(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쑥 및 솔잎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충하초의 자실체와 균사체, 쑥 및 솔잎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항균실험에는 3종류의 그람양성균(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과 3종류의 그람음성(Escherichia coli, Shigella sonnei, Salmonella typhimurium) 식중
        33.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과 옥수수를 온습도의 조절 없이 상온에서 90일간 장기 저장하며 aflatoxin 생성 정도를 측정해 본 결과 쌀과 옥수수에서 공통적으로 저장 30일 이후 각각 0.1, 0.3 ppb의 aflatoxin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저장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할수록 aflatoxin 생성 정도는 비례적으로 급속한 증가추세를 나타내어 이들 시료에서 aflatoxin 생성 최적 온습도는 각각 25~3, 80% 내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동일한 조건하에서 상
        34.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솔잎으로부터 항균, 항산화효과 등이 입증된 바 있는 polyphenols 분리.정제를 실시하였다. 이 물질의 분리를 위한 추출용매로는 열수, EtOH, IPA를 사용하였는데, 각각의 용매에 의하여 분리된 polyphenols의 수율 및 순도는 각각 9.84, 11.61, 14.36% (w/w) 및 83.83, 82.64, 81.52%였다. 추출조건은 솔잎분말 대비 약 7배 (w/v)에 해당하는 용매를 가하고 85에서 6시간 동안의 처리로 추출이
        36.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on lipid oxidation and free radical reaction in iron sources reacted with active oxygen speci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The pine needle extracts didn`t show a distinct effect on reduction of lipid oxidation if the iron ion didn`t exist in oil emulsion. The pine needle extracts played role as a strong chelating agents to bind iron ion if Ferrous iron(Fe\ulcorner) exist in oil emulsion. Ferric iron(Fe) was lower effect than Ferrous iron(Fe) on free radical reaction in oil emulsion. And also, the Fe\ulcorner reacted with pine needle extract did not show distinct effect on free radical reaction, compared to Fe\ulcorner reacted with pine needle extract. And also, Pine needle extracts reacted with H\ulcornerO\ulcorner were tended to show a low oxygen scavenging ability in case of H\ulcornerO\ulcorner only was existed, compared to those of H\ulcornerO\ulcorner + Fe\ulcorner complex. Pine needle extracts were the most powerful Fe\ulcorner binding agents, compared to other strong synthetic antioxidants such as EDTA and DTPA.
        37.
        199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5종류의 식중독세균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196E,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솔잎 ethanol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조사하였다. 솔잎 ehanol 추출물을 0-2% (w/v) 함유한 tryptic soy broth(TSB)에 각 식중독세균을 약 - CFU/ml 정도 되게 접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