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2.
        202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propose dead pixel detection and compensation method using nonlinear estimator for infrared camera. Infrared camera has dead pixel that is abnormal output values due to complex factors such as manufacturing process, electronic parts and so on. Dead pixels are able to affect detecting a small target. So, It needs detection and Compensation process. However, after Compensation, some dead pixels are remained and detected by the human. They are soft dead pixel. The key idea of this proposed method, detecting soft dead pixels, is that design a nonlinear estimator using image data characteristics. This propose is able to not only detect soft dead pixels but also pixel Compensation that reflects infrared camera output characteristics well.
        3,000원
        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픽셀 아트는 낮은 해상도와 제한된 색 팔레트를 가지고 영상을 표현한다. 픽셀 아트는 낮은 연 산 성능과 적은 저장 공간을 가지는 초기 컴퓨터 게임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현대에 이르러, 픽셀 아트는 예술이나 퍼즐, 게임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캐릭터 영상을 입력으로 받는 픽셀 아트 생성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 방법 과는 달리, 합성곱 신경망(CNN:Convolutional-Neural Network)를 픽셀 아트 생성 목적에 맞게 변형하여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합성곱 연산 후에 upsampling 과정을 추가하여 픽셀 아트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네트워크는 ground truth와 생성된 픽셀 아트와의 평균 오차 제곱(MSE:Mean Squared Error)을 최소화해나가며 학습을 수행한다. Ground truth는 실제 아티스트가 생성하도록 하였고, 이미지 회전과 반전 기법을 이용하여 augumentation을 수행하였다. 생성된 데이터 집합은 학습, 검증, 시험 데이터로 나누었다. 이러한 데이터 집합을 기반으로 감독 학습을 실시하여 픽셀 아트 생성 네트워크를 학습하였다. 학습 모델의 학습 과정과 학습 정확도를 제시하고, 시험 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상에 대한 픽셀 아트 결과도 함께 제시한다.
        4,000원
        4.
        201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인접 4화소의 형태에 기반한 고속 방향성 영상보간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기 본 개념은 비간축 이산 웨이브릿 변환에 기초하지만, 실제로 변환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경계방향 검출을 위해 인접 4화소의 값만 비교된다. 2×2 화소의 형태는 8개의 종류로 분류되고 각 형태에 따라 방향성 보간이 수행된다. 그러므로 제안한 알고리즘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1차 선형보간과 비슷한 수행시간을 나타내지만 성능은 기존의 영상보간 기 법들 보다 우수한 결과 품질을 보여준다.
        4,000원
        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 아이폰의 국내 출시 이후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여 기존에 다양한 장비로 수행되어 오던 작 업이 스마트폰으로 대체되었다. 이 과정에서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을 통하여 글자를 읽는 과제를 수행하는 비중 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인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요인(화소 밀집도, 화소 하부구조, 휘도)과 환경 요인(조명 조도)이 글자를 읽을 때의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화소 밀집도로, 화소 밀집도가 300 PPI 미만인 경우 글자를 읽는데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명 조도는 제한적인 영향을 보였다. 참가자들은 조명 조도가 변화 할 때 변화하지 않을 때 보다 더 큰 가독성 관련 불편감을 보고하였다. 화소 하부구조와 밝기는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가독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에서 가독성을 해치지 않는 해상도의 하한선을 제안하였다.
        4,300원
        11.
        200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umber of pixel defects including bright and black dots on a panel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determining the quality of TFT-LCD. Since pixel defects on the TFT-LCD panels are sometimes unavoidable, manufacturers have to inspect the panels so that any panel with an unacceptable number of defects will not be delivered to the buyers. However, the buyers demand for the manufacturers to meet different pixel defects tolerances (acceptable number of pixel defects on a TFT-LCD panel) around central(tight) and peripheral(loose) inspection zones. The disagreement in quality standard among different buyers also cause confusions in screening non-confirmative products and unstable yield of production. Few research has focused on the effects of defect locations on a TFT-LCD panel on their detection probabilities and the rational division of defect inspection zones. In this resear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the detection probabilities of black dot defects with respect to their varying locations on a TFT-LCD. It is proposed a rational division of inspection zone on a TFT-LCD panel on the basis of detection probabilities of the defects. With these division of inspection zones and the mean defect detection probability within each zone, it is expected to establish a more reasonable pixel defects tolerances.
        4,000원
        12.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algorithm has been propose to detect the reflected light region as disturbances in a real-time vision system.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detect existing reflected light region. The conventional mathematical approach requires a lot of complex processes so that it is not suitable for a real-time vision system. On the other hand, when a simple detection process has been applied, the reflected light region can not be detected accurately. Therefore, in order to detect reflected light region for a real-time vision system, the detection process requires a new algorithm that is as simple and accurate as possible. In order to extract the reflected light,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en adopted several filter equations and clustering processes in the HSI (Hue Saturation Intensity) color space. Also the proposed algorithm used the pre-defined reflected light data generated through the clustering processes to make the algorithm simple.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several images with the reflected region have been used and the reflected regions are detected successfully.
        13.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the detection results of ground penetration radar (GPR) by using pixel difference. Experimental tank was made for this purpose. Concrete hume pipe and PE pipe were buried in the tank. The pavement finish of the surface was classified 4th cases. In the case of non-reinforcement concrete pavement, the buried pipe detection was easy than other pavement cases. And it was easy to detect the buried pipe by the difference of the color pixels rather than the black and white pixels.
        14.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목자판과 수면이 포함되도록 촬영된 두 장 이상의 연속적인 영상으로부터 수면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픽셀의 농도변화가 발생하는 지점을 수면으로 인식하여 수위를 계측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목자판이 오염된 경우와 물이 투명하여 물속이 투시되는 경우에 대하여 실내 및 현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경우의 실험결과에서 모두 기존 수면인식방법에서는 오염된 부분과 물속 투시된 부분을 수면으로 잘못 인식하였으나, 새로
        15.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향상된 가시성 검사를 수행하여 기존의 중-텍스처링 구조에 비하여 데이터 전송량 및 깊이 캐쉬의 셀 면적을 감소시킨 픽셀 파이프라인 구조를 제시하였다. 제안하는 구조는 인접한 픽셀들 간의 가시성이 동일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하여 한 번의 가시성 검사만 수행하면서도 중-텍스처링 구조와 대등한 성능을 보이는 픽셀 파이프라인 구조이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구조는 중-텍스처링 구조에 근접하는 성능을 보이면서도 깊이 캐쉬의 전송량은 평균 25%, 깊이 캐쉬의 면적은 약 40%가 감소하였다.
        16.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픽셀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고려한 필터링 기법을 사용한 새로운 앤티에얼리아싱 방법을 제안한다. 에얼리아싱은 직선, 모서리나 다각형 물체에서 발생 할 수 있다. 이 문제는 모니터의 제한된 해상도에 따른 것으로 영상을 이용한 리얼리티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부문에 있어서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체의 윤곽선 중 의미가 있는 윤곽선을 찾고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픽셀의 구조, 표면의 형태 등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고려한 스무딩 과정과 필터링과정을 통하여 앤티에얼리아싱을 구현한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잡음제거를 통한 우수한 앤티에얼리어싱 기법임을 확인하였다. 이 방법은 컴퓨터 그래픽분야의 앤티에얼리어싱을 구현하는데 기본적인 알고리즘으로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