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ractylodes lancea (A.l.) in a dose-dependent manner on lipid levels and plasma glucose in diabetic rats induced with streptozotocin (STZ). Th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five groups: normal, STZ-control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A.l.-1, diabetic treated with ethanolic extract of A.l. (1 g/kg b.w.), A.l.-2, diabetic administered with ethanolic extract of A.l. (2 g/kg b.w.), and A.l.-3, diabetic administered with ethanolic extract of A.l. (3 g/kg b.w.)]. The normal and STZ-control group were fed an AIN-93 diet and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administered with A.l. extract at doses of 1, 2, and 3 g/kg b.w./day, respectively, for 14 days. The plasma glucose levels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Z-control group after 14 days of treatment. The total cholesterol of the A.l.-3 and triglyceride levels, atherogenic index (AI) of all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Z-control group. The ALT and AST activities at A.l.-2, A.l.-3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Z-control group. This result that demonstrate the administration of Atractylodes lancea can reduce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risk in diabetic rats.
        4,000원
        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산 재래종 메밀가루를 40%, 70% 에탄올(발효주정)로 각각 처리하여 메밀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동결건조한 다음 고지방식이에 혼합하여 흰쥐에게 섭취시킨 후 나타나는 식이성 고지혈증의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정상대조군(NC), 고지방대조군(HFC), 고지방-40%에 탄올메밀추출물군(HF-40), 고지방-70%에탄올메밀추출물군(HF- 70) 4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실험식이로 사육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동물의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 및 사료효율은 실험군들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실험동물의 장기 중간무게를 비교한 결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HF-70군은 유의적으로 낮았고 (p<0.05) 정상대조군도 비슷한 수준이었다. 3. 혈중 GOT, GPT 수치는 정상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고지방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HF-40군과 HF-70군은 고지방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당 농도는 전체 실험군 중에서 HF-70군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혈중 중성지질 농도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정상대조군과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HF-40군 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고지방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HF-70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혈중 유리콜레스테롤 농도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중 콜레스테롤에스터 수치는 정상대조군이 71.6mg/dl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고 고지방대조군의 125.0mg/dl와 비교하여 HF-40군, HF- 70군은 각각 116.9mg/dl, 88.5mg/dl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특히 HF-70군은 HF-40군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혈중 LDL-콜레스테롤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고지방대조군(130.6mg/dl)에 비해 HF-70군(85.1mg/dl)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7. 혈중 HDL-콜레스테롤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들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고지방실험군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H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 롤의 비율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HF-70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8. 동맥경화지수는 정상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고지방대조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HF-70군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본 실험에서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쥐의 이상지질혈증은 메밀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40% 에탄올 메밀추출 물보다 70% 에탄올 메밀추출물에서 더욱 많이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superjami bran extract on lipid and antioxidant metabolism. Twenty-five subjec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Superjami group (n=12), and Placebo group (n=13) random assignment. Among the groups, the Superjami group took a Superjami bran extract (2 g/2 capsule/day), and the Placebo group took dextrin (2 g/2 capsule/day), for 12 week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concentrations of TG, TC, and HDL-C in the bloo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HDL-C was significantly higher. AI and HTR also showed positive values. Lepti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ut as a result of adipectin, the Superjami group displayed a higher value,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and LAR also had significantly lower value. Antioxidant results showed that GPx, CAT, and RGLU, were significantly higher before as well as after intakes of the Superjami group, an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he Superjami group,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AOPP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for the Superjami group,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So, based on this study, ingestion of Superjami bran extract is effective in improving blood lipid concentrations as well as inflammatory substances, and has positive effects relative to increasing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oa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ly maggot (ME) on reduction of plasma lipids levels in rats fed high-fat diets (Expt. Ⅰ), and on liver function recovery of hepatotoxicity rats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arbon tetrachloride (CCl4) or by orally administration of alcohol (Expt. II) were investigated. In expt. I, twenty seven, male rat SDS(sprague dawley strain)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reated groups, including normal control group, HF (group with high fat diets which have no extracts) and HFE (HF plus orally administered doses of ME extract at 5.0 mg/100g of body weight). In expt. II, forty five, male rats (SD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f the five groups: T1 (control), T2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Cl4), T3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Cl4 after orally administered with ME), T4 (orally administered with combination of ME and alcohol), T5 (orally administration of ME after orally administered with alcohol).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plasma (TAG), (TC), (LDL-C) in the HFE group with orally administered doses of ME at 5.0 mg/100g of body weight, respectively, however, the (HDL-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HFE group as compared to HF group with high fat diets which have no extracts (p〈0.05). The level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γ-glutamyl transferse(γ-GTP) and bilirubin were highest in T2 or T3, and high in order T4 or T5, and lowest in T1 except for bilirubin which has same with T4, T5 (p〈0.05). The high recovery of liver damage by CCl4 from the light microscopic appearance was observed in rats (T3) with extracts, and also high in T4 than T5 by orally administrated with alcohol. In conclusion, the ethanol extracts from fly maggot may have a bioactive effects to prevent for human lipids disorder and alcoholic disease.
        4,000원
        8.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γ-linolenic acid on plasma lipid metabolism and anti thrombotic activity in male Sprague Dwaley Strain rats. Rats weighing an average of 100~120g were fed a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5% lard (saturated fatty acids), corn oil(linoleic acid), evening promise oil(EPO, 9% γ-linolenic acid) or borage oil(BO, 24% γ-linolenic acid) for 3Odays, respectively.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od intake among the groups, the body weight gain of the BO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group. The spleen weight of the lar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group. The bleeding time of the BO group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other group. The blood clotting time was significantly tended to long in EPO and BO groups compared with lard group. The plasma triacyl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ere high in order of lard, com oil, EPO and BO, group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plasma HDL-C concentrations were high in order of BO, EPO, com oil and lard group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plasma LDL-C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the highest in lard group, but the lowest in BO group. These data indicate that γ-linolenic acid has a antithrombotic activity, and decrease the plasma triacyl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 concentrations in rats.
        4,000원
        9.
        199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aturated fats, α-linolenic acid, EPA and DHA on the lipid hydroperoxide concentr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liver microsomes and in plasma lipid of rabbits, the animals were fed on the perilla oil rich α-linolenic acid or sardine oil rich EPA and DHA diet for four weeks Were examin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lipid and liver microsomes of rabbits fed on the perilla oil diet was an accumulation of arachidonic acid(AA) 20:4 n-6, eicosapentaenoic acid(EPA) 20:5 n-3, and docosahexaenoic acid(DHA) 22:6 n-3,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lipid and liver microsomes of rabbits fed on the sardine oil was an accumulation of α-linolenic acid(LNA) 18:3 n-3, and arachidonic acid(AA) 20:4. The p/s ratio of rabbits fed on the perilla oil diet changed from 7.4 to 2.27 for plasma lipid and 2.47 for liver microsomes. The concentration of lipid hydroperoxide was 3.48 nmol MDA/ml and 4.35 nmol MDA/ml for plasma lipid and liver microsomes, respectively, in perilla oil diet. The lipid hydroperoxide liver was 4.22 nmol MDA/ml and 67 nmol MDA/ml for plasma lipid and liver microsornes in sardine oil diet.
        4,000원
        10.
        198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sma levels of lipids were observed in vegetarians and non-vegetarians in order compare the valu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different dietary habits, and among different age groups. All 162 vegetarians and 95 non-vegetarian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In detail, male vegetarians subjects were de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ages, 20's, 30's and 40's. And three control groups were also selected at matching basis. Two groups each were selected for female subjects in their 20's and 40's. All ten groups were adopted and the lipids levels were compared appropriately. Dietary habits of vegetarians were shown to be fairly strict. They consumed almost no animal foods and depended largely upon plant foods with emphasis on unrefined cereals and legumes. on the other hand, non-vegetarians consumed meats, fish egg and milk frequently. Most of plasma lipid levels measured were found to be lower in vegetarians and tended to be higher for the higher age groups of both vegetarians and non-vegetarians. Although the lipids levels of non-vegetarians were higher than the ones for vegetarians, the levels were within optimal range, and it can be concluded in this study that the plasma lipid levels of non-vegetarians under Korean dietary pattern are quite acceptable.
        4,600원
        11.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흰쥐에서 갈근 추출물이 체지질구성, 간장기능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량 및 혈장 중성지질량은 과산화지질첨가군 모두가 정상군 보다 증가하였으나 갈근추출물 첨가에 의해 하락하여, 대조군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혈장 HDL-cholesterol량은 갈근추출물 첨가군이 대조군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05). 간장의 총콜레스테롤량은 전 처리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중성지질량은 정상군보다 과산화 지질처리군 모두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과산화지질 처리군 간에서는 갈근 처리군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 및 간장 내 TBARS량은 과산화지질 처리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과산화지질첨가군들 간에서는 갈근 처리군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 GOT 및 GPT의 활성치는 과산화지질첨가군들이 정상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갈근처리에 의해 하락했다. 간장 GSH-Px, SOD 및 CAT활성치는 과산화지질 첨가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과산화처리군 간에서는 갈근처리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12.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고초, 감국 및 갈근 혼합 증류액이 비만쥐의 지질구성, 심장, 간장 및 신장의 해부조직학적 소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β-lipoprotein농도는 대조군보다 약물처리군들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유리지방산 농도는 대조군보다 약물처리군들 모두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하고초와 갈근 혼합증류액 처리군이 하고초와 감국 혼합증류액 처리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Glucose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물처리군들 모두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triglyceride 농도는 대조군보다 약물처리군들 모두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약물처리군들 간에서는 하고초 및 갈근 혼합증류액 처리군이 하고초 및 감국 혼합 증류액 처리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total cholesterol 농도는 하고초 및 갈근 혼합증류액 처리군이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HDL-cholesterol 농도는 하고초 및 갈근 혼합증류액 처리군이 높은 값을 나타내어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DL-cholesterol농도는 약물 처리군 모두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심장의 해부조직학적 소견은 비만유도군들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확연하게 지방 축적량이 많았다. 그러나 하고초와 갈근 혼합 증류액 처리군은 여타 비만유도군들 보다는 지방 축적량이 적었다. 간장조직 및 신장조직의 지방축적 상태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세 기관 모두, 지방축적량이 증가할 경우는 일부 조직에서 울혈상태를 나타내거나 혹은 핵의 형상이 비정상적인 형태를 취했다.
        13.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만인과 당뇨병환자들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특용식이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급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킨 쥐에게 유기농현미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하고 각종 기능성 요소가 내재한다고 알려져 있는 50여종의 식품원료를 조성으로 한 분말형 식이를 급여한 후 혈장 glucose 농도 및 지질구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당뇨유발 후 28일동안 각 처리별 식이를 급여한 결과 정상군에서는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당뇨유발군 모두에서 감소했다. 당뇨유발군중에서는 특용식이 100% 처리군에서 체중감소가 가장 많았다. 혈장 중성지질총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특용식이 처리군 모두에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특용식이 50%, 100%에서는 정상군의 수준을 나타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특용식이 50%, 100%에서 하락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HDL-cholesterol량은 전 처리군에서 30mg/dl 대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각 처리에 따른 일정한 변동경향을 볼 수 없었다. LDL-cholesterol량은 특용식이 100%처리군에서 최저치를 나타내어 정상군의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여타 처리군들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치를 유지하였다. 혈장glucose량은 특용식이 처리군 모두가 대조군 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특용식이 100%처리군에서는 120mg/dl의 수치를 나타내어 정상수준의 범주였다.
        14.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나리즙 투여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장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Sprague-Dawely계의 횐쥐를 I(정상군)과 II(대조군:고지방식이급여군), 그리고 미나리즙의 처리수준에 따라 III(고지방식이급여군+미나리즙(1.0 ml) 과 IV(고지방식이급여군+미나리즙(1.5 ml)의 4군으로 나누어 7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종료일의 체중은 고지방식이 급여로 모두가 정상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그러나 대조군과 미나리즙군 간에는 미나리즙군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식이섭취량 및 효율은 각 처리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Total-cholesterol도 미나리즙 투여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HDL-cholesterol은 미나리즙(1.0 ml)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GPT는 처리군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GOT활성은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효소인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은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Lipid peroxide는 고지방식이 급여군에서 증가하였으나(p>0.05), 미나리즙의 투여는 lipid peroxide를 감소시키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