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critically assesses the rol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s (ICC) in enforcing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IHL). The ICC was designed to ensure accountability for severe IHL violations. However, its operational capacity faces significant challenges, particularly its reliance on state cooperation for enforcement and political resistance. This article explores the Court’s jurisdiction, the principle of complementarity, and its investigative processes while analyzing resistance from nonsignatory states such as the US, China, and Russia. The US sanctions against the ICC especially with President Trump’s executive order of February 6, 2025, will exemplify the ongoing tension between state sovereignty and international accountability. Additionally, the article highlights issues within the Rome Statute, including ambiguities regarding state cooperation, jurisdiction, and immunity, which affect the Court’s efficacy. Despite some successes in prosecuting high-profile leaders, the ICC’s credibility remains a matter of debate due to its limited enforcement, inconsistent state support, and continued political resistance.
이 논문은 구약 지혜자, 특히 잠언 지혜자를 선교적 해석학의 모범으로 조명한다. 잠언 14:10-14 분석에서 ‘죽음의 길’ 모티브가 중심을 이루며, 이는 행위-화복-관계 사상과 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심리적 신비에 관한 서술이 충돌하는 독특한 언어적 공간을 형성한다. 구약 지혜자는 이러한 사상적 모순과 모호성을 통해 인간 인식의 한계를 드러내고, 하나님 일하심의 신비를 수용하는 것이 하나님이 주신 질서 속 적절한 삶의 태도임을 독자의 자발적 판단에 따라 깨닫게 한다. 세상을 분석하고 그 속에서 교훈을 찾게 하는 구약 지혜자의 방법론은 성서 본문을 하나님의 선교 관점에서 해석하고, 독자의 삶의 맥락을 고려하며, 새로운 해석 공간을 수용하는 선교적 해석학과 매우 근접해 있다. 따라서 구약 지혜자의 세상에 대한 관찰, 해석, 의미 도출 방식은 선교적 해석학의 탁월한 모범이 된다.
작물 증발산량은 잠재 증발산량에서 작물계수를 곱하여 작 물의 요수량을 산출할 수 있어 수자원 관리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특히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관개 및 배수 논 문 NO.56에서 발표한 Penman-Monteith 방정식(FAO 56-PM) 은 잠재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표준방법으로, 평균온도, 최대 온도, 최소온도, 상대습도, 풍속 및 일사량의 6가지 기상 데이 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농경지 인근에 설치된 기상센서는 설 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아 결측, 이상치와 같은 데이터 신뢰 성 문제를 야기하여 정확한 증발산량 계산을 복잡하게 만든 다. 본 연구에서는 인근 기상청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필요한 6가지 기상 변수를 예측함으로써 기상 센서 없이 작물 증발산량을 추정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우리는 기상청의 API를 통해 수집할 수 있는 22개의 기상 변수를 입력 데이터로 활용 했다. 9개의 회귀 모델을 학습한 후 성능에 따라 상위 3개를 선 택하고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을 적용하여 최적의 모델을 식별 했다.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인 모델은 Extreme Gradient Boosting Regression(XGBR)이었으며 평균온도, 최대온도, 최소온도, 상대습도, 풍속 및 일사량에서 결정계수(R2)가 각 0.98, 0.99, 0.99, 0.91, 0.72, 0.86로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XGBR 모델이 작물 기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작물 증 발산 모델에 필요한 입력 값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 값비 싼 기상 센서가 필요 없음을 시사한다. 이 접근 방식은 센서 설 치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지역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으며, 직 접적인 센서 데이터 없이도 표준 증발산 모델의 사용을 가능 하게 한다.
본 연구는 지난 10여년간 고려대학교 및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AMS를 이용하여 측정된 우주선유발 동위원소 10 Be의 준비 및 측정 과정을 다룬 보고서이다. 총 2 4세트의 표준물질과 107개의 Blank시료가 분석되었으며, 2017년 이후 표준물질의 측정 재현성이 크게 향상되어 국제적인 주요 실험실의 결과와 비교할 만한 수준의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Blank 값은 사용된 9 Be 캐리어의 종류 및 석영 추출 과정과 AMS 측정 세팅 등 실험 조건에 따라 영향 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잠재적인 오염원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관리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10 Be Background 값을 줄이는 것이 우주선유발 동위원소 연구의 범위를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강조한다. 낮은 Background 값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형성된 지형이나 오랜 시간 매몰되어 방사성 핵종이 상당량 감소한, 저준위 10 Be 지형의 연대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험 과정을 개선하고 가중평균 계산법 등의 새로운 통계적 방법을 도입하여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시간적 및 공간적 규모에서 지구표면과학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한 우주선유발 동위원소 분석의 기반을 제공한다.
Urbanization is a driving force of global biodiversity changes, and species that successfully adapt to city environments can become pests with the assistance of human factors. Here we present the first genomic data of Plecia longiforceps, an invasive pest exhibiting intensive outbreak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f Korea. HiFi and Pore-C sequencing data were used to construct a highly continuous genome assembly with a total size of 707 Mb and 8 major pseudochromosomes. Gene annotation using transcriptome data and ab initio predictions revealed significant numbers of genes related to detoxification and heat tolerance. Comparison to the Bibio marci genome showed high levels of synteny with some regions of chromosomal rearrangement. Our data will serve as an essential resource for population and functional genomic studies on dispersal and outbreaks of P. longiforceps, and facilitate research on eco-evolutionary processes of dipterans in urbanizing habitats.
근래들어 미중 간의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미국은 중국의 첨 단반도체 기술의 발전을 저지하기 위한 다양한 경제적, 기술적 제재를 부과하고 있다. 최근에는 반도체산업의 글로벌 밸류체인(GVC, 가치사슬) 의 변동성 증대와 더불어, 미국 주도로 주요 반도체 생산국가들인 한국, 대만, 일본을 포함한 칩포(Chip-4) 동맹을 결성하기 위한 논의를 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미중 간의 첨단기술 경쟁은 우리나라의 산업전반 특 히, 중국에 생산기지를 가지고 중국의 수요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우리 나라 반도체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미중 간 반도체산업 분야의 기술경쟁 실태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 리의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절실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논문은 반도체산업을 중심으로, 현재 미중 간에 벌어지 고 있는 기술패권 경쟁에서 미국과 중국은 각기 어떠한 위치를 점하고 어떠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러한 미중 간 기술경쟁이 우리나라 반도체산업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적절한 대 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Internal reference price (IRP) is conceptualized as ‘a dynamic, internal price to which individuals compare the offered price of a product or service’. For this internal price, multiple conceptualizations and operationalizations have been proposed. This study finds heterogeneity in the use of reference price cues when consumers form an IRP and stablishes that seven distinct segments with different approaches can be can be distinguished.
It is difficult to conduct an on-site investigation of Kaesung since it's located in North Korea. After the devastating Korean civil war we have lost a lot of authentic structures. At present, the statement of those who have seen the Kaesung during the time would be of great help in bringing ou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ccording to Ma Hae-song, who was a local in Kaesung. He vividly remembered how his neighborhood looks like and he even mentioned the every single detail of his house in his essay. Moreover he also compared the traditional Han-ok in the former time from the household of other countries. There was an extraordinary interest and insight in Han-ok. This study estimated Ma hae-song's Gaesuong house based on Ma hae-song's personal and supplementary records. the contents by exchanging e-mails with his eldest son, poet Ma Jong-ki. Through the above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writer Mahae Song's Gaeseong House was a typical wealthy merchant's house located in Donghaerang, a luxury residential area, and was engaged in commerce.
청동기시대 전기의 방형계 주거지는 당시 사회의 가족 구성의 결과물이며, 그 형태적 변이는 가족 의 발달과정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또한, (세)장방형 주거는 복수의 방형(단위)주거가 병렬적으로 연결된 형태이며, 그 단위주거는 핵가족의 주거공간이라는 추정 또한 널리 퍼져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이 장단비가 시간성을 반영한다는 관행적 판단에 기초하여, 한 유적에서 공존 하는 장방형 주거지와 방형 주거지의 관계를 단지 시기적 차이로 해석함에 따라 주거의 변이에 대한 여러 요인―가족의 발달에 따른 주거 규모의 변화, 주거의 사용(신축과 증ㆍ개축)과 폐기 등―의 이 해를 저해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 극복을 위해, 한강 하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 유적들의 양상을 분석한 기 초자료를 바탕으로 가족 형태와 가구 양상 변화를 연결할 수 있는 고고학적 설명모형을 통해 가구발 달주기에 대한 인식이 한강 하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 양상의 역동적 측면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주거지 간 중복양상이나 절대연대가 모호한 상황에서 주거지 평면 형태에 주목하는 기존의 편년관 안에서는 한강 하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 양상을 역동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결합주거지를 고정된 문화적 실체로 파악하고 주거의 형태 차이를 양식적 차이로 이해하기보다는 가 족의 성장에 따른 주거 규모의 변이라는 기능적 측면을 상정해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보인다.
The ovary undergoes substantial physiological changes along with estrus phase to mediate negative/positive feedback to the upstream reproductive tissues and to play a role in producing a fertilizable oocyte in the developing follicles. However, the disorder of estrus cycle in female can lead to diseases, such as cystic ovary which is directly associated with decline of overall reproductive performance. In gene expression studies of ovaries,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assay has been widely applied. During this assay, although normalization of target genes against reference genes (RGs) has been indispensably conducted, the expression of RGs is also variable in each experimental condition which can result in false conclusion. Because the understanding for stable RG in porcine ovaries was still limited, we attempted to assess the stability of RGs from the pool of ten commonly used RGs (18S, B2M, PPIA, RPL4, SDHA, ACTB, GAPDH, HPRT1, YWHAZ, and TBP) in the porcine ovaries under different estrus phase (follicular and luteal phase) and cystic condition, using stable RG-finding programs (geNorm, Normfinder, and BestKeeper). The significant (p < 0.01) differences in Ct values of RGs in the porcine ovari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were identified. In assessing the stability of RGs, three programs comprehensively agreed that TBP and YWHAZ were suitable RGs to study porcine ovari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but ACTB and GAPDH were inappropriate RGs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We hope that these results contribute to plan the experiment design in the field of reproductive physiology in pigs as reference data.
The present research examines the fairness of the liability of ‘total’ in absentia trials within three specific circumstances. First: the accused is given sufficient notice of the trial and their right to decline to be present. Second: the accused must have a defence counsel advocating them in the trial. Third: the accused’s absolute right to re-trial should be protected once the judgment has been passed in absentia. The main research question to discern the hypothesis is that the accused can be tried in absentia under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Therefore, the focus is on answering which procedural scenarios could be counted as “an absence of the defendant.” The present research questions will be analyzed by examining the practice of the Special Tribunal for Lebanon (STL), its theoretical safeguards enshrined in the Statute, and the legal standards from human rights bodies’ jurisprudence.
Because sows are industrially vital for swine production, monitoring for their health or disorder status is important to ensure high reproductive performance. Especially, ambient temperature changes in different season, especially during summer, are directly influenced to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Although the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are widely applied in the veterinary medicine with wide ranges for the physiological process, the values are also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age, breed, gender, and stress. In addition, domestic sows in Koreaspecific reference interval (RI) for serum biochemistry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seasonal variation of RIs in the serum biochemistry in domestic sows in Korea at different seasons and to establish normal RIs using a RI finding program (Reference Value Advisor).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on the different seasons were identified in several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including BUN, CRE, GGT, GLU, ALB, TP, LDH and Na in sows. Therefore, we further established RIs, specific in domestic sows in Korea regardless of season. The established RIs based on the serum biochemical values provide a baseline for interpreting biochemical results in the domestic sows in Korea, regardless of seasonal effect. It may contribute to develop a strategy for better reproductive performance by improving breeding management practice and evaluating health of pig herds, which facilitate to avert the economic loss in summer infertility in s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