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데이터, 알고리즘, 인공지능, 블록체인, 메타버스 및 스마트계약과 같이 21세기의 기술혁신은 기존의 주주총회 개최방법의 효율성과 공정성 에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었고, 경영진에게 새로운 역량이나 기술을 습득 하거나 보유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기업 내에서 기존에 의사결정을 내리던 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기업을 운영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기업 내에서 누가 실질적인 의사결정권을 가져야 하는지를 결 정하는 균형추를 바꾸어 놓고 있으며, Corona-19 팬데믹은 가상주주총 회 도입 시기를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앞당겨 놓았다. 기업지배구조의 기본 테마 중 하나는 기업의 경영진에게 부여되는 광 범위한 재량권과 주주들이 경영진에 대해 책임을 추궁할 수 있는 권한 간에 균형을 맞추는 일이다. 따라서 이글은 새로운 기술들이 어떻게 주 주총회를 주주민주주의의 시금석으로 부활시키고, 어떻게 주주들이 기업 경영에 관여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 수 있는지, 기업 내 구성원들의 역할 및 권한과 책임분배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공동의사 결정 비용을 감소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의결권 행사절차를 가능케 함으 로써 주주총회의 역할을 강화시킬 수 있는지 등에 대한 것들이다. 그런 데 가상주주총회에 대해 비판적 견해도 많지만 가상주주총회는 주주참여 와 접근성을 높이고, 주주와 이사 및 경영진 간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하며, 탄소 발자국을 줄일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 을 가지고 있다, 특히 개인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건설적인 의견을 제시할 경우,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회사의 실적향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므로 형해화 되었다는 비판 을 받던 주주총회가 본연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가 상주주총회가 갖는 최고의 장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이 제도가 우리나라에 온전하게 도입되기 위해서는 학계의 비 판적 견해와 갈라져 있는 견해들을 수렴하여 바람직한 해결책을 찾고, 특히 우리보다 앞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실무경험이 풍부한 외국의 사례들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바람직한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입법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주식회사 구성원들 간에 보 다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메타버스 기술과 의결권 행사 데이터에 대한 위조와 변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안성이 높기 때문에 의결권 행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도 아울러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오늘날의 기업들에 있어서 주주의결권에 관한 규칙들이 다양하다는 것은 기업들이 주주들 간의 권력을 다양한 방식으로 배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상법은 1주 1의결권 원칙의 강행규정성을 유지해오고 있다. 그런데 19세기 초부터 주주의결권의 역사를 살펴보면 아주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1주 1의결권이라는 원칙이 반드시 강 행규정이어야 할 이유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주평등주의와 주식평등주의는 완전히 다른 개념인데도 불구하고 이 두 가지를 같은 개념으로 혼동하다 보니 지금까지 입법론이나 해석론이 방향을 잃고 혼란을 겪어오지는 않았는가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미국 및 영국의 보통법(common law)은 기업의 헌장(constitution) 이나 기타 법령에 다른 의결권 규칙이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1인당 1개 의 의결권만 갖는 것으로 보았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의 배후에는 주주들의 의결권이 보유주식 수와 정비례하는 금권주의적 의결권(plutocratic voting right)에 대한 혐오감과 주주를 자본의 일부에 대 한 소유자가 아니라 법인단체의 일원으로서 동등한 권리를 가질 수 있다고 보는 철학, 그리고 대주주에게로의 권력쏠림을 막기 위한 의결권제한 등의 의도 등이 숨어 있었다. 현재의 1주 1의결권 규칙은 금권주의를 확대시키고 소수주주를 홀대함으로써 자정능력을 상실한 기업권력이 부패하여 결국 기업의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주주총회의 구성원으로서 기업이익을 수호하기 위한 최적의 감시자인 주주를 차별대우해서는 안된다. 결국 주주평등주의는 주주의결권을 통해 주주들 사이의 힘을 분산시켜 기업의 부패를 막고 성장을 촉진시키고 기업의 자본조달 창구로서의 주주를 보호하는 사회적 개념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주주 평등주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으므로 현대사회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우리 상법 제369조 제1항은 임의 규정으로 바꾸고, 일반조항인 주주평등주의를 성문화 하며, 북유럽 국가의 권한남용금지 규정에 대한 도입을 검토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paper describes how customer asset management can influence the profit and loss and the balance-sheet drivers of shareholder value. The authors argue that economic profit should be used as a measure of shareholder value creation because the former acknowledges both operating and financial expenses and allows analysis of individual customer relationships. The developed framework suggests that the drivers of shareholder value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revenue, cost, asset utilization, and risk. The paper identifies 13 distinct roles for customer asset management that influence the four shareholder value drivers. The empirical research consists of three longitudinal B2B case studies describing customer asset management aimed at improving shareholder value creation. The findings of the empirical research suggest that B2B firms are able to acknowledge all suggested four shareholder value drivers. Findings also suggest that firms should differentiate their customer management concepts in order to move customer asset management beyond traditional acquisition–retention optimiz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insider trader get the excess return using inside information. For this we divide inside trader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ownership: maximum shareholder, main shareholders, 5% shareholders and executives. Also we categorize inside traders into three groups: personal investor, foreign investor and institutional investors. After insiders trade their stock, excess return is reported for 20days and the size of excess return of executives and institutional investor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groups. It means more strict monitoring system is needed in the domestic stock market.
In this er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the 21st century, the source of a nation's competitive power consists of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resources and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appreciates highly. The number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ich are the core of national economy covers over 98% among whole domestic enterprises of Korea. Competitive power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comes from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trying to expand their learning organizations in the company. The analysis of outcomes of administering the existing learning organizations shows that learning organizations contribute highly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participants of learning organizations and middle management and executives who support and encourage them recognize the necessity of learning organizations and that it should be disseminated throughout other enterprises. Therefore government's supports to establish learning organizations in a company are required to expand.
국제기업환경이 급변하면서 세계화와 국제경쟁의 심화가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한국기업의 국제화의 경우는 성장단계에 들어 해외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기업의 국제화의 한 형태인 완전소유 해외투자가 주주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거래비용관점에 입각한 광의의 내부화이론을 이론적 틀로 하고 경영자가 해외직접투자 의사결정을 내린 정보공시에 대해 투자자들이 그 기업의 주식에 대한 어떤 평가를 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그러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은 어떠한 변수들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반응은 부정적으로 나타나 생존차원에서의 방어적인 해외투자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내부화 이론과 대리인-주체간의 문제가 한국기업의 해외투자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voluntary foreign selloff announcements on shareholder wealth. This paper presents the first evidence that voluntary foreign selloff announcements influence common stock returns of U. S. parent firms. Significantly positive abnormal returns are observed during the announcement period for the full sample. It is also found that while foreign selloffs of operations in developed countries (DCs) result in significantly positive abnormal returns, the returns for selloffs of operations in less developed countries (LDCs) are significantly negative. These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the magnitude of wealth effects depends on whether the selloffs are in DCs or LDCs. Furthermore, abnormal returns at the time of selloff announcements are positively affected by degree of foreign involvement by the parent company, thereby providing indirect evidence that the market recognizes the multinationality of a firm selling off foreign operations.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KHD Leadership toward Sustainable Shareholder Value and mediated by IT & Business Strategy Alignement and Integrated Supply Chain Management. Therefore, wit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develop the KHD Leadership in State-owned enterprises’ (SOEs) Indonesian. The population in this study were all echelon 1, 2, and 3 employees in the PT Pupuk Kalimantan Timur, PT Pupuk Petrokimia Gresik, PT Pupuk Sriwidjaja Palembang, PT Pupuk Kujang Cikampek, PT Pupuk Iskandar Muda, as many as N = 1002 people. The appropriate sampling technique used is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n=300 employees).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s SEM-WarpPLS method. IT & Business Strategy Alignement and Integrated Supply Chain Management significant and positive on Sustainable Shareholder Value. IT & Business Strategy Alignment and IT Integrated Suppy Chain Management i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influence of KHD Leadership on Sustainable Shareholder Value. Novelty in this research is the development of Ki Hadjar Dewantara Leadership as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Javanese leadership that grows inherent in Indonesian society, especially Javanese society and is believed to be applicable in business and industrial organizations in Indonesia, of course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Pupuk Indonesia Holding Compan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four factors that increase the protection of minority shareholder investment. The factors are non-controlling shareholders, corporate governance, free cash flow, and shareholder wealth. The data for this study is obtained from the 2017 annual reports of 136 Thai public companies listed in the Market of Alternative Investment of Thailand (MAI). The analysis uses a multiple regression model to determine which factors encourage and which inhibit the protection of minority shareholder investment. The study tests four hypotheses. The results rejected H1 because non-controlling shareholders hav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inority shareholder investment protection (beta -0.155 and p-value 0.050). The results accepted H2, H3 and H4 as follows. H2: corporate governance h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inority shareholder investment protection (beta 0.17 and p-value 0.031). H3: free cash flow h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inority shareholder investment protection (beta 0.214 and p-value 0.007). H4: shareholder wealth h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inority shareholder investment protection (beta 0.318 and p-value 0.000). The major findings suggest strong minority shareholder investment protection was enhanced by increasing corporate governance, free cash flow and shareholder wealth. The protection of minority shareholder investment needs to reduce non-controlling shareholding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