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erococcus species are considered as parts of the indicator strains for fecal contamination on retail meats because they resid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of humans and animals. Frequent acquisition and dissemina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genes among enterococci have increased their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and thus become a serious public health issue. For example, vancomycin (Van)-resistant and/or multidrug resistant (MDR) enterococci are increased during recent years. Currently, only a few therapeutic options have been approved for linezolid (LZD), daptomycin (DAP), and tigecycline (TGC) to treat VAN-resistant and/or MDR enterococcal infections. In this review, we have updated the recent status of enterococcal resistance to those three last-resort antimicrobials (LZD, DAP, TGC) among livestock animals and retail meats.
담관암은 예후가 좋지 않은 암 중 하나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발병률과 사망률이 증가했지만 치료 방법은 그 선택지가 제한적이다. 다양한 임상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효과적인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았다. 이에 최근 담관암에서 분자유전학적 프로파일링이 진행됨에 따라 표적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표적치료제를 실제 환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적 요구사항이 충족되어야 한다. 환자의 조직이나 혈액에서 분자생물학적 검사가 수행되어야 하며, 적절한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제를 사용할 환자 및 표적 물질을 결정해야한다. 담관암과 관련하여 유전적 변이는 중간 수준을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분자생물학적 표적을 위한 새로운 약제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가장 흔한 유전적 이상은 간내 및 간외 담관암에서 거의 유사한 패턴을 보여준다. 그러나 HER2 유전자 증폭은 간외 담관암에서 더 잘 관찰되고 FGFR2 융합, IDH1 돌연변이 및 RAS-RAF-MEK-ERK 신호 시스템 돌연변이는 간내 담관암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 HER2 증폭을 타겟으로 하는 zanidatamab, FGFR 융합에 pemigatinib/ infigratinib, IDH1 돌연변이에는 ivosidenib, BRAFV600E 돌연변이에는 dabrafenib으로 임상 2상 또는 3상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NTRK, BRCA 및 ARID1A 유전자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약제에 대한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 이들 표적 치료제는 담관암에서 새로운 치료제의 밝은 미래로 기대를 받고 있다.
The serendipitous uncovering of carbon dot (CQDs) as budding candidate of carbonaceous nanomaterial has become now one of the hot topics in the research of material science and technology. The unique features of CQDs such as photo-physical properties, excellent biocompatibility, ease of synthesis, good aqueous dispersity, high chemical stability, and accessible functional groups for further modification make them one of the promising competitors in biological, photonic and energyrelated applications. Although some review articles on CQDs have been published, they typically cover all areas of CQDs applications, and no particular evaluation on the advancement of doped CQDs (D-CQDs) has been reported so far. In this review, we demonstrated characteristic features of D-CQDs focusing on doping strategies, discussion on recently adopted various synthesis processes, its applications and its qualitative comparison with each other. The recently developed concept o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optical properties of D-CQDs are also briefly described followed by their application on various fields primarily concentrated on bio-imaging and sensing applications. We also speculate its use in a variety of intriguing fields and its perspectives in near future.
Recently, the demand for more precise and demand-oriented customized spatial information is increasing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the use of 3D spatial information and digital twins which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and research for solving social problems in cities by using such information are continuously conducted. Globally, non-face-to-face services are increasing due to COVID-19, and the national policy direction is also rapidly progressing digital transformation, digitization and virtual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which means that 3D spatial inform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to support it. In this study, physical objects for cities defined by world organizations such as ISO, OGC, and ITU were selected and the target of the 3D object model was limited to buildings. Based on CityGML2.0, the data collected using a drone suitable for building a 3D model of a small area is selected to be updated through road name address and building ledger, which are administrative information related to this, and LoD2.5 data is constructed and urban space. It was intended to suggest an object update method for a 3D building among data.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은 다양한 췌장 담도 질환을 가진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 표준이 되고 있다. 치료 ERCP 시술이 점차 복잡해짐에 따라 그 요구에 맞추어 ERCP 부속기구는 발전하고 있다. 선택 삽관부터 내시경 괄약근 절개술/풍선확장술, 풍선 혹은 바스켓을 이용한 담관담석 제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ERCP 부속기구가 필요하고 최적의 환자 치료와 안전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올바른 사용이 필수적이다. 본고에서는 진단과 치료 ERCP에 필요한 최신의 ERCP 부속기구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진단 및 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췌장담도 악성 종양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수술적 절제는 유일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이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초진단 시 국소 진행 또는 전이성 종양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ERCP 또는 EUS 유도하 RFA와 광역학치료 등은 직접적으로 암 조직을 소작할 수 있는 국소 치료법으로 예후가 불량한 췌장담도암 환자에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아직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는 못하였지만 ERCP 유도하 ID-RFA는 악성 담도 협착에서 안정성과 유용성이 확인되었고,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장기 효과에 대한 검증이 진행되고 있다.
2016년 8월 2일 삼성전자는 새로운 플래그십 스마트폰 모델 “갤럭시 노트7”을 공개했다.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6번째 제품이었지만 삼성은 넘버링을 7로 정했다. 다른 주력 스마트폰인 갤럭시S 시리즈와 숫자를 맞추기 위한 결정이라지만, 가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한 차원을 뛰어넘었다는 평가에 비추어 과감히 넘버링을 건너 뛴 것으로 보였다.
예약은 폭주했고 구매자들의 호평이 이어져, 판매량도 급증했다. 그런데 출시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배터리 폭발 사고가 속출한다. 삼성은 발빠르게 전량 리콜을 공식 발표하고 배터리 교환을 실시했으나, 교환된 배터리도 터졌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삼성은 출시 두 달 만에 폭발물로 취급받는 갤럭시 노트7 전량을 수거한다.
갤럭시 노트7은 리콜결정 당시 100만 대 중 24개 정도가 불량으로 확인되어 불량률이 0.0024%에 불과했고, 이미 판매한 240만 대를 모두 교환하려면 2조 5천억 원에 이르는 막대한 비용을 들여야 했다. 삼성전자가 상대적으로 낮은 불량률에도 거대한 손실이 예상되는 리콜을 재빠르게 실시하자 주요 외신은 삼성의 결정을 높이 평가했다.
전통적인 공산품은 리콜 회수율 자체가 매우 낮은 경향이 있다. 갤럭시 노트7도 쉽게 회수될리 만무해 보였고, 소비자들로부터 강력한 저항이 예상됐다. 그런데 삼성은 리콜 실시 6개월 만에 국내 회수율 97%를 달성한다. 배터리 폭발 전까지 디자인과 성능은 물론, 편의성 등에서도 기존 갤럭시 시리즈에 비해 월등히 높은 평가를 받은 만큼 소비자 만족도가 상당했으며, 불량률은 고작 0.0024%에 불과했는데, 소비자들의 마음은 어떻게 저렇게 쉽게 돌아선 것일까?
사실 소비자들 마음이 돌아선 것이 아니었다. 삼성전자가 강제적인 OTA(Over-the-air update)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소비자의 휴대폰 배터리 용량을 제한시켰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벽돌이 되어버린 자신의 휴대폰을 다른 휴대폰으로라도 교체하고자 회수에 응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갤럭시 노트7 사용자나 그 밖의 다른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실시한 강제조치로서 일견 정당하다고 느껴지기는 하나, 정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볼 수 있을까? 이 논문에서는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7 리콜 사건을 중심으로 ‘리콜을 위한 강제적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그로 인한 소비자 권리의 침해’에 대하여 논하고, 그 해결방법을 살펴본다.
EUS는 통상적인 US보다 좋은 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용종과 다른 악성 용종과의 감별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10 mm 이하의 작은 용종성 병변에서는 치료를 결정함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데는 아직 제한점이 있다. 담낭의 용종성 병변에서 비악성, 악성 그리고 악성화 가능성이 있는 용종성 병변들을 감별하고자 다양한 소견을 통한 점수제 방법과 조영제를 이용한 조영증강 EUS 검사 등의 새로운 검사기법들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어 담낭용종성 병변의 감별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 있다.
췌장낭성종양의 병리진단에서 분자병리 검사의 활용은 통상적인 세포 또는 조직 진단이 어려운 경우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포 또는 낭액에서 검사 결과에 필요한 충분한 디오시리보핵산(DNA)이 확보된다면 특정 유전자 변이를 확인해서 췌장낭성종양의 감별 진단이 가능하며 대표적인 유전자 변이에는 KRAS, GNAS, CTNNB1, VHL 변이 등이 있다. 하지만 분자병리 검사를 활용하는 경우에도 임상-영상의학적 소견을 참고하여 기본적인 병리진단을 한 후에, 이를 뒷받침하는 자료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세대염기순서분석 검사는 소량의 세포 또는 조직으로 다수의 유전자 변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사용되는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적절한 정도 관리를 거치지 않으면 위음성의 결과로 보고될 위험성이 있으며 병리의사의 정도 관리를 거친다고 하더라도 30% 내외의 실패율을 보일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Dentin hypersensitivity is an abrupt intense pain caused by innocuous stimuli to exposed dentinal tubules. Mechanosensitive ion channels have been assessed in dental primary afferent neurons and odontoblasts to explain dentin hypersensitivity. Dentinal fluid dynamics evoked by various stimuli to exposed dentin cause mechanical stress to the structures underlying dentin. This review briefly discusses three hypotheses regarding dentin hypersensitivity and introduces recent findings on mechanosensitive ion channels expressed in the dental sensory system and discusses how the activation of these ion channels is involved in dentin hypersensitivity.
십이지장경은 선단부에 겸자올림 장치와 겸자올림 와이어 채널 같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척과 소독에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 십이지장경에 의한 교차 전염의 주된 원인은 불충분한 내시경 재처리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십이지장경을 통한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및 다른 다제내성균 교차전염은 적절한 십이지장경 재처리를 준수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발병하였다. 따라서 현재는 십이지장경에 적합한 재처리 지침을 재정립하여야 하고 십이지장경 재처리를 좀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선단부의 디자인을 개선해야 할 시점일 것이다. 본고는 십이지장경 연관 감염에 대한 현 상황과 외국의 대처방안 및 한계에 대해서 검토하고 십이지장경 연관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향후 대처방안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The 22 m diameter Mopra telescope in Australia is being used to undertake an improved survey of the CO J = 1-0 line at 3mm along the 4th quadrant of the Galaxy, achieving an order of magnitude better spatial and spectral resolution (i.e. 0.6 and 0.1 km/s) than the Dame et al. (2001) survey that is publically available for the Southern Galactic plane. Furthermore, the Mopra CO survey includes the four principal isotopologues of the CO molecule (i.e. 12CO, 13CO, C18O and C17O). The survey makes use of an 8 GHz-wide spectrometer and a fast mode of on-the- y mapping developed for the Mopra telescope, where the cycle time has been reduced to just 1=4 of a second. 38 square degrees of the Galaxy, from l = 306-344°, b = ±0:5° have currently been surveyed, together with additional 9 sq. deg. regions around the Carina complex and the Central Molecular Zone. We present new results from the survey (see also Burton et al., 2013, 2014). The Mopra CO data are being made publically available as they are published; for the latest release see the project website at www.phys.unsw.edu.au/mopra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