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시생활원예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서울과 수도권 도시민들의 도시 생활원예에 대한 생각과 태도와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계적 분석(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및 분산분석)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286명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생활원예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시민들에게서 생활원예에 참여한 기간은 그들의 도시 생활원예 필요성 인식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도시 생활원예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다시 도시 생활원예에 대한 교육과 정책에 대한 요구인식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로 농촌지역에서 거주한 기간과 생활원예 경험 및 원예 관련용어 인지 경험에 따른 도시 생활원예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시 생활원예의 필요성과 관련된 인식의 차이는 농촌지역에서 거주한 경험을 갖고 있거나 생활원예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에 비하여 도시 생활원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통계를 통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중앙정부 및 교육 당국자와 지방정부에서는 도시 생활원예의 보급과 확산을 위한 적절한 원예교육과 정책수단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덧붙여, 도시 생활원예 관련 학계에서는 시민들에게 도시 생활원예를 보급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을 반드시 준비해야 할 것이다.
        3.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농업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용 쑥 종묘 유통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용도별 쑥의 소요량, 종묘 유형별 수확기 까지 소요일 및 수확량, 용기 크기와 쑥의 수확량, 유통조건에 따른 쑥 종묘의 품질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쑥 종묘의 패키지 개발 및 쑥 종묘의 유통 방법을 유형화 하였다. 쑥의 용도별 소요량은 전, 쑥떡 및 쑥버무리기는 200g을 기준으로 할 때 각각 10, 15 및 40g이, 실크 스카프 1개를 염색하는 데는 40g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장 10cm를 기준으로 종묘 유형별 쑥의 수확기까지의 소요일은 실생이 39일, 삽목묘 32일, 1년생 근경이 25일 이었으며, 1차 수확시 수확량은 각각 0.3, 2.1 및 13.2g이었다. 쑥의 근경 및 묘를 예취한 것을 식재하면 27일 이내에 수확이 가능하였다. 용기 종류 및 크기를 달리하여 식재한 결과 1차 수확시 포트(H 8.5 × R 10cm)에서는 13.3g, W 12.5×L 18.0×H 5.5cm 크기의 플라스틱 용기에서는 35.6g, W 12.5 × L 20.0 × H 10.0cm 용기에서는 39.4g을 수확할 수 있었다. 종묘는 저온에서 3일 동안 유통을 시켜도 품질의 변화가 없었다. 쑥 묘와 함께 용기, 원예상토, 배수층, 식물영양제, 재배관리 설명서, 이용설명서 등을 패키지로 한 것을 이용하여 1개월 이내에 수확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할 때 쑥 묘의 유통은 묘를 용기에 식재하여 유통하는 방법, 묘를 용기에 식재 후 재배한 다음 예취를 하고 저온저장을 하면서 유통시키는 방법, 쑥의 근경이나 묘 등과 이용에 필요한 것들을 패키지화하여 유통시키는 방법이 도시농업 및 원예치료용으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4.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practicality of horticultural education by suggesting reorganization method and prospects of horticultiral education as urban horticulture. The outcome of research is the contents of hor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related with the cognitive and physical education and building a sense of justice which are educational aims of bloom. Hence horticultural education is undertaken under the larger theme of urban horticulture aiming to create sustainable society where people and nature are organically related. When recognizing the contents of horticultural education, effects of urban horticulture such as creation of pleasent environment and culturing of emo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seven classifications of urban horticulture activity through rotated factor analysis becomes the basis for the recognization in areas such as education material, location, contents and in in-depth studies. It is also expected that increased effort on introducing a new concept into urban horticulture will make horticultural activity more prominent and more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