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비행중인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Guenee))성충의 혈림프내 지질과 탄수화물의 함량변화와 그들의 호르몬조절가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비행초기 몇분동안에 암수 모두 빠른 지질증가반응을 보였고, 약 2기간까지 증가된 수준이 유지되었다. 비행중 혈림프내 탄수화물농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수컷에서는 비행후 10분 동안 약간의 농도증가가 있었다. 합성 지질동원호르몬(Lom-AKH-II), 당동원호르몬(Bld-HrTH), 담배나방 자신의 뇌-카디아카체 추출물들 모두 담배나방의 혈림프내 지질과 당함량을 높여주었는데, 지질이 당보다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주로 지질이 담배나방의 주 비행연료로 사용되고 혈림프내 지질함량은 지질동원호르몬의 조절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담배나방에는 지질동원호르몬과 당동원 호르몬이 같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 펩티드들의 구조는 Mass-AKH, Hez-HrTH, Lom-AkH-II, Pea-HrTH 등의 구조와 유사할 것이라고 유추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한 시료는 형성층 유래의 캘러스를 0.01mg/ 2, 4-D, 0.5mg/ BAP, 3% sucrose, 0.75% 한천을 첨가한 MS배지에서 재분화 시킨 개체를 이용하였다. 시료의 대량증식은 1.0mg/ BAP를 첨가한 MS 배지에서 실시하였으며 엽전개는 식물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MS배지로 옮겨서 실행하였다. Agrobacteria를 이용한 형질 전환은 엽절편, 절간조직등을 박테리아를 묻힌 침으로 자극하여 식물체 분화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엽절편 조직에서는 분화된 식물체를 얻지 못했으나, 절간조직의 측아에서는 49%에 달하는 24개체가 분화되었다. 이들 분화된 줄기는 kanamycin이 100mg/이 함유된 선발 배지에서 일차적인 선발을 하여 최종적으로 GUS 유전자 검정을 한 결과 처음에 접종한 50개체중 형질전환 된 것으로 추정되는 5개체를 얻어서 형질 전환 추정 비율은 1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nudear changes of bovine oocytes during 24 hrs. of culture for mejotic maturation were examined. Bovine oocytes were collected from small(<2 mm), medium(2~6 mm) and large(>6mm) follicles and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by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 total of 242 oocytes collected were obtained:from 184 small, 157 medium and 1 large follicles, respectively and were classified into 95 grade I, 155 grade H and 92 grade III oocytes. All the bovine oocytes collected and graded were washed with a basal medium and incubated in groups of 10 for 24 hrs in 5% and 39. The basal medium used was composed of TCM-199 supplemented with sodium bicarbonate, sodium pyruvate, streptomycin, penicillin G and 10% FCS. The oocytes were cultured in drops of 50,l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35g /ml FSH, 10g /ml LH and 1g /ml estradiol-17. The oocytes were fixed and examined on their chromosomal status by 1% acetorcein staining in the interval of 3 hrs. Most of the grade I oocytes developed to germinal vesicule stage at 0 to 3 hrs., germinal vesicle breakdown at 6 hrs., metaphase I at 9 to 15 hrs., anaphase I and telophase I at 18 hrs., and metaphase II and the first polar body at 24 hrs. after culture for meiotic matur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compared to grade I oocytes, grade H and W oocytes reached earlier to germinal vesicle breakdown and most of them developed earlier to M II stage at 21 hrs. after cultu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methods of injection of PMSG-hCG to the number of ovulated eggs, percentage of matured oocytes and in vitro fertilization using out-bred ICR mic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optimurn dose was 5 IU for both PMSG and hCG, while the number of ovulated eggs was 428, percentage of M II was 73%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 was 81 %. 2) The optimum injection interval of PMSG-hCG was 48 hours, while the number of ovulated eggs was 48 8, percentage of M II was 80%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 was 81%. 3) The optimum time for collecting eggs was between 16 and 18 hours after hCG injection, while the numbers of ovulated eggs were 448, 427 and 437 in 14,16 and 18 hours after hCG injection respectively, and percentages of M II were 79 and 81 %,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s were 81 and 80% in 16 and 18 hours after hCG injection, respectively. 4) The repeat of superovulation decreased with the number of ovulated eggs, percentage of M II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 than in control. But it was recovered by increasing the repeat interval.
The standardized activated sludge for the biodegradation test of anion surfactants has been produced from the collected microorganisms in the soil and the wastewaters treatment plant. The activated sludge was kept under control of the pH, dissolved oxygen, microorganisms and inoculated the basal medium flasks with LAS and LAS mixed with heavy metals [Cd(II), Cu(II), Zn(II)]. Based of results, the inhibition effect(%) of heavy metals in LAS biodegradation were 1. All 1% when LAS 30mg/l-Cd(II), Cu(II) and Zn(II) 0.1mg/l, respectively 2. All 1~10% when LAS 30mg/l-Cd(II), Cu(II) and Zn(II) 1mg/l, respectively 3. All 10~40% when LAS 30mg/l-Cd(II), Cu(II) and Zn(II) 10mg/l, respectively 4. All 30~65% when LAS 30mg/l-Cd(II), Cu(II) and Zn(II) 100mg/l, respectively And toxicity order of heavy metals to the microorganisms in LAS biodegradation were Cd〉Cu〉Zn in low concentration(0.1~1mg/l)and Cd〉Zn〉Cu in high concentration(10~100mg/l).
The kinetics of the hydrolysis of indolylacrylophenone derivatives(IA) was investigated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in 30% dioxane-H2O at 25℃ Rate equations were obtained over a wide pH range. On the basis of rate equation, general base catalysis and Hammett's plot, the mechanism of hydrolysis to the (IA) were proposed: Below pH 3.0, the hydrolysis of (IA) was proportional to hydronium ion concentration, between pH 4.0~9.0 neutral water molecule and hydroxide ion were added to carbon-carbon double bond and over pH 10.0 hydrolysis of (IA) was proportional to hydroxide ion concentration.
1943년 이전의 문헌을 통하여 우리나라 쇠고기 「포(脯)」의 종류와 조리법, 조리법의 변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쇠고기포는 조리법의 빈도 면에서 42회(12.2%)로 1위이고, 연대적으로도 가장 오래된 조리법이다. 옛 문헌에 기록된 쇠고기포의 종류는 산포(散脯), 편포(片脯), 약포(藥脯), 장포(醬脯) 등이 있었다. 조리법과 모양에 따라 세분하면 9종류로 산포, 편포에는 다식모양, 네모진 모양, 대추모양의 작은 모양의 편포와 참기(塹機)모양, 반원주(半圓株)모양의 큰 덩어리 모양의 편포가 있고 약포에는 다져서 만든 약포와 얇게 저며서 만든 약포, 장포 등이 있다. 기록된 빈도면에서는 편포가 가장 많고 다음이 약포이며 산포, 장포의 순이다. 16세기 후반 처음에는 "고기 말리고 오래 두는 법"으로 기록되었으나 18C말부터는 포(脯)로 표현되어 일관성있게 19세기까지 포(脯)로 기록되어 있다. 17-18세기의 기록된 조리법이 거의 19세기까지 큰 변화 없이 같은 내용으로 이어지고는 있으나 더러는 만드는 과정에서 시간과 정성이 많이 드는 옛 것은 사라지고, 현대로 오면서 간편화되고 있다. 쇠고기포에 사용한 주재료는 모두 힘줄과 기름기를 없이한 쇠고기이고 부재료로 꿩을 19C중엽까지 4 문헌에서만 이용하였다. 양념은 19종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소금, 참기름, 후추, 간장의 순이고, 보통 육류에 사용하는 갖은 양념(간장, 후추, 참기름, 설탕, 깨소금, 파, 마늘)중에서 가장 적게 쓰인 것은 마늘이다. 고명은 3종이며 주로 잣가루를 이용하였고, 찍어 먹는 양념장은 진장과 초장이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roductivity of five silage corn varieties. Corn varieties were Pioneer 3144(P 3144), 3160(P 3160), 3282(P 3282), 3352(P 3352) and Suweon 19(S 19) and were seeded on May 2 and harvested on August 15. Ratios of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thc nutrient contents of herbages and energy productivity in grassland,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times and five level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The experimenta
Tertiary volcanic activity in the Fildes Peninsula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I, II, III) of magmatism. Evolutionary process of each stage was examined from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stage I, olivine, orthopyroxene and clinopyroxene of low Fe/Mg ratio as well as Ca-plagioclase begin to crystallize and fractionate. Stage II magma, which is more differentiated than stage I magma, shows the fractionation of Ca-plagioclase and olivine and orthopyroxene of high Fe/Mg ratio. Stage III magma, which is slightly more differentiated than stage I magma but less than stage II magma, intruded into the area when stage II magmatism was weakened. The volcanic rocks on the Fildes Peninsula show, as a whole, tholeiitic natures.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Sr isotopic ratio, the origin of the volcanic magma in the area was assumed to be upper mantle. Accordingly, the volcanic rocks in the area were originated from tholeiitic magma which generated by the partial melting of upper mantle under island-arc environment.
1. In vitro system, LR and FSR accelerated and facilitated meiotic progression, and LH selectively improved cytoplasmic maturation which is required to promote the formation of a male pronucleus. 2. Caffeine (2mM) in the fetilization medium was required not only for inducing zona penetrating ability of boar also for developing to the male pronucleus of the penetrat- ing spermatozoa in vitro. 3. The germinal vesicle (GV)stage was observed for the first 17.6 hr;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stage between 17.6~26.4 hr ;metaphase I (M-I)from 26.4 - 30. 9hr;anaphase I(A-I)ranged from 30. 9~33.4hr;telophase I(T-I) at 33.4~34.4hr; and metaphase II(M-II) at 34.4-48hr. 4. The addition of 10%(v /v) pig follicular fluid (pFF) to maturation medi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ate of nuclear maturation of pig oocytes (p<0.01), whereas the rate of nuclear maturation of pig oocytes among three different media did not differ. 5. The presence of a primary culture of POEC promotes in vitro development of early cleavage stage pig embryos.
반경험적 퍼텐션 에너지 함수를 기초로한 스테틱스(statics)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C6클러스터들의 결합길이, 결합각 및 에너지를 구한 결과 C6의 평형구조는 정 6각형임을 발견하였다. 직선형과 사이클형의 C7-C10구조에 대해서도 결합길이, 결합각 및 에너지들을 구한 결과 정7각형, 정8각형, 정9각형 및 정10각형이 각각 직선형 구조보다 더 안정함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본 논문 1편에서 보고한 C2-C5의 평형구조가 직선형이라는 점과 관련시켜 볼 때 클러스터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1차원적인 구조로부터 2차원적인 구조로 발전하며, 그 임계크기가 C6 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에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민영양조사 결과를(일본은 1950년-1988년, 한국은 1969-1988년) 바탕으로 양국의 식생활 변화 양상을 비교하여 미래의 한국 식생활의 지침이 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군별 섭취량에서 섭취총량은 일본은 1973년을 기점으로 감소하였으며 한국은 증가와 감소를 되풀이하며 전반적으로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일 모두 식물성 식품의 섭취는 감소하고 있고 동물성 식품의 섭취는 증가하고 있는데 1988년에는 동물성 식품 섭취 비율이 5% 정도 일본이 한국에 비해 많았다. 식물성 식품은 곡류의 경우 양국 모두 감소 경향을 보였고 1988년의 경우 한국이 일본에 비해 70g 정도 많이 섭취하였다. 한국은 감자류, 두류, 과실류는 1980년 이후 증가 경향이나 군별 섭취총량은 일본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일본은 과일, 야채류의 섭취가 감소 경향이고 두류, 감자류는 변화가 거의 없으며 안정된 추세를 보였다. 동물성식품의 경우 일본은 우유 및 유제품, 육류는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고 어패류, 난류는 1975년 이후 거의 평형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한국은 육류, 어패류의 섭취 증가가 뚜렷하였다. 1970년 이후 양국의 신장, 체중의 연차추이를 보면, 1970년에서 1980년까지 한국인의 신장 증가가 현저하였으며(1970년 ; 150.3cm, 1980년 ; 160.2cm), 체중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biological yields(BY) of varieties by the developmental growth stages and shoot weight(SHW), leaf area(LA), root dry weight(RW), number of tillers(NT), shoot and root ratio(S/R), weight of a tiller(WT) as facto
초 록
자연목을 개벌하고 잣나무를 조림했올 때 조림년수의 경과에 따라 토양중의 날개응애 군집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경기도 남양주군 수동지성에서 1988년 6월 부터 1989년 5월까지 매월 1회씩 6지역을 조사하여 날개응애 목록을 작성하고 종구성 및 우점종, MGP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기간중 38과 64속 109종의 날개응애가 동정되었으며, 전 조사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광역종은 35종, 일정한 단계에만 출현되어 비교적 환경 선호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협역종은 49종, 전지역에 산발적으로 분포 하는 산발종은 25종이었다. 날개응애 종수는 조임후 3년 경과지에서 조임후 5년 경과지까 지는 증가했으나 조림년수가 경과할수록 종수가 감소하는 경향이다. 우점종은 골무잔날개응 애, Ceratozetes japonicus를 포함해서 6종이었으며 우점종과 약세종수는 조임년수가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며 중세종수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종수백분율은 조임초기에는 P형, 중기는 G형, 후기에는 M형으로 나타났고, 준광역종도 M형으로 나타났다. 개체수백분율에 의 한 MGP분석 II 의 결과는 1, 2, 4구에서는 G형, 3, 5 6구에서는 P형으로 나타났다.
Composite TiSi2.6 target으로 부터 Ti-silicide를 형성시 단결정 Si기판과 다결정 Si내의 dopant의 확산 거동, 그리고 Ti-silicide 박막의 표면 거칠기를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SIMS), 4-point probe, X-선 회절 분석, 표면 거칠기 측정을 통해 조사하였다. X-선 회절 분석결과 중착된 직후의 중착막은 비정질이었고, 단결정 Si기판에 증착된 막은 800˚C에서 20초간 급속 열처리 시 orthorhombic TiSi2(C54 구조)로 결정화가 이루어졌다. 단결정 Si 기판과 다결정 Si에서 Ti-silicide 충으로의 dopant의내부 확산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주입된 불순물들은 Ti-silicide/Si 계면 근처의 단결정 Si이나 다결정 Si 내부에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형성된 Ti-silicide 박막의 표면 거칠기는 16-22nm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