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1

        20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안'은 숙기가 빠르고, 올레인산 함량도 높아 바이오디젤 및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유채로 2006년에 목포-CGMS(웅성불임)과 8634-B-1-3-1-8(임성회복화분친)을 교배하여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생산력 검정시험과,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육성된 품종이다. 지역적응시험에서 '수안'의 수량은 381 kg/10a로 같은 1대잡종인 '선망'에 비해 4% 증수되었다. '수안'의 기름함량은 44.3%이고, 지방산중 올레인
        20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망’은 조숙, 다수성이며 바이오디젤 생산 및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유채로 2006년에 웅성불임인 목포-CGMS와 임성회복환분친인 8634-B-1-3-1-8을 교배하여 생산력검정시험(2007, 2008)과, 지역적응시험(2008)을 거쳐, 2008년에 육성된 품종이다. ‘조망’의 엽형은 하부익상전렬, 엽색 및 줄기색은 녹색, 결각은 중간이며 꽃색은 황색, 종피색은 흑색이다. ‘조망’의 성숙일는 6월 3일로 ‘선망’보다 1일, ‘탐미유채’보다는 4일
        20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수집된 모시풀 유전자원은 도입육성품종 11계통, 전남재래종 18계통, 전북재래종 7계통, 충남재래 종 10계통, 경남재래종 2계통, 경북재래종 1계통 등 49계통으로 주요 특성은 경장 121±11.4cm, 경직경 9.1±0.97mm, 유효경비율 36±12.6%, 생경중 1,814±376.9kg, 건섬유수량 35±21.8kg, 섬유비율 1.9±0.99%를 나타 내었고, 대체적으로 재래종에 비해 도입육성품종들의 생육 및 건섬유수량이 우수하였다. 주요 형질 중 섬유비 율과 건섬유수량의 변이가 크게 나타났다. 각 형질간 상관분석 결과 건섬유 수량과 경장, 경직경, 유효경비율, 섬유비율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주성분 분석결과 2개의 주성분으로 49개 수집종에 대한 6개 형질을 설명할 수 있었는데 제1, 2주성분 값으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평균거리 0.8에서 4개 군으로 분류 되었다. 제 1군은 경장, 경직경, 섬유수량 등 생육이 우수한 수집종었고, 2군은 생육은 좋으나 섬유비율이 낮은 수집종이, 3군은 1군과 대조적으로 생육이 낮은 수집종이 분포하였으며, 나머지는 4군에 분포하였다. 12 URP primer를 이용하여 핵산지문분석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 결과 왜모시풀과 비교해서 유사도는 0.437~ 0.928로 나타났으며, 유사도 0.57에서 6개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1~4그룹은 다른 수집종과 독립성을 보였으 며, 5그룹은 대부분 전남지역에서 수집되었고 2개의 소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5-1은 해안지대로 2군의 생육이 낮은 수집종이 주로 분포하였고 5-2는 내륙지역으로 1군의 생육이 우수한 수집종이 분포하였다. 6그룹 은 3개의 소그룹으로 분류되었는데 전남, 전북, 충남, 경북의 다양한 지역이 혼재 되어있었다. 중국이나 일본 에서 도입된 육성품종은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하였으며 국내재래종과도 유연관계가 가까운 군에 속했다.
        20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겨울철에 유휴지 및 하천변 둔치 등을 활용한 경관용 및 바이오디젤 생산용 유채 재배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유채 생채 및 유챗대의 조사료 이용 가능성을 조사함으로써 겨울철 유휴농지의 활용 및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에서 육종한 고정종 유채 4품종(내한, 영산, 탐미, 탐라)과 1대잡종인 ‘선망’등 5개 품종을 대상으로 개화초기(4. 10.), 개화종기(4. 28.) 및 결실초기(5. 10.)의 품종별 생육특성, 생초수량성 및 성분을 조사하였으며, 종실 수확 후 남은 유챗대 및 곤포 작업 후 유챗대의 성분을 조사하였다. 파종 적기인 전년 10월 15일에 파종한 유채의 수확기별 생초 수량은 개화초기 2,280 ~ 3,400kg/10a, 개화종료 5,080 ~ 6,370kg/10a, 결실초기 4,930 ~ 6,300kg/10a로 나타났으며, T/N율은 개화초기 1.30 ~ 2.86%, 개화종기 1.22 ~ 2.24%, 결실초기 0.74 ~ 0.76%로 나타나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T/N율이 낮아짐 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사료의 가치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인 ADF(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소)와 NDF(중성 세제 불용성 섬유소)는 각각 총 건량의 16.7 ~ 35.9% 와 24.8 ~ 46.6%였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ADF와 NDF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CP(crude protein)는 총 건량의 12.1 ~ 19.4%로 나타났다. 한편 종실 수확 후 유챗대의 수량은 560kg/10a였으며, T/N율은 0.35%, ADF와 NDF는 각각 총 건량의 58.1% 와 70.9%였으며 CP는 2.64%였고, 유챗대를 원형곤포로 만들어 60일간 발효 후 조사한 ADF와 NDF는 각각 총 건량의 54.2% 와 65.5% 였으며 CP는 3.33%로 나타나 발효가 됨에 따라 ADF와 NDF는 감소하고 CP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지구온난화와 고유가에 대비하여 신간척지 및 동계 휴경 간척지에 맞는 바이오디젤용 유채품종 개발연 구가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온실 내에서 선망 등 유채 10품종에 대해 지하수(대조구) 및 해수 염 농도별 처리{0.25(해수 EC 4dS/m), 0.5(해수 EC 8dS/m), 1%(해수 EC 16dS/m)}를 통해 염에 대한 유채의 생리반응과 품종간 내염성 차이를 조사하고자 수행 되었다. 농도별 해수 처리에 따른 유채 수장과 근장은 염 농도 증가에 반비례하였고, 염 농도 0.5%이상 처리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종실수량도 염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염 농도 0.5%에서 종실수량이 비교적 높았던 품종은 ‘선망’, ‘탐미유채’ 및 ‘탐라유채’로 나타난 반면, ‘내한유채’, ‘영산유채’, ‘한라유채’, ‘목포59호’ 및 ‘목포64호’는 염농도 0.5%에서 종실 수량이 급속히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품종간 내염성 차이를 보였다. 해수 처리에 따른 유채의 생육억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해수와 해수 처리된 유채의 무기성분을 조사한 결과, 해수에는 Cl, Na, Mg, Ca 및 K가 지하수보다 더 많이 녹아있었고, 유채에서는 Na와 Cl이 급격한 증가를, K는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식물체 내에서 이러한 무기성분의 함량변화가 생육억제현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종자 내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선망’, ‘탐라유채’, 및 ‘내한유채’는 염 농도 0.25 와 0.5% 처리 시 대조구와 비교해 볼 때 올레인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1% 처리 시에는 감소하였다.
        20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람"은 조숙, 다수성이며 바이오디젤 생산 및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유채 로 2006년에 목포-CGMS(웅성불임)과 8634-B-1-3-1-8(임성회복화분친)을 교배하여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생산력 검정시험과, 2008년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육성된 품종이다. "보람"의 엽형은 하부익상전렬, 엽색 및 줄기색은 녹색, 결각은 중간이며 꽃색은 황색, 종피색은 흑색이다. 개화기(4월 9일)와 성숙기(6월 4일)는 "선망"과 비슷하나 "탐미유채"보다는
        215.
        200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겹살을 먹을 때,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조리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삼겹살을 삶기, 찌기, 굽기 및 튀기기의 방법으로 가열조리한 후,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열조리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수분 양은 감소하고 지질 양은 증가하였는데, 이에 따른 가열감량, 탈수량 및 탈유량은 튀기기와 삶기 처리구에서 높았다. 시료의 pH는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산가와 굴절율은 튀기기 처리
        217.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왕새우난초(C.×bicolor)의 기내 대량증식법을 확립하기 위해 새우난초(C. discolor)와 금새우난초(C. discolor for. sieboldii)를 4월 중순에 종간 인공 교배하여 같은 해 10월 중순에 F1 잡종 종자를 획득하여 종자의 전처리 및 여러 가지 배양환경에 따른 발아율 및 기타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파종 시 종자의 전처리에 따른 F1 종자의 기내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종자의 흡습처리와 초음파 처리가 종자의 발아율과 원괴체 형성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원괴체의 형성기간도 단축되었다. 또한 파종 후 암배양하는 것이 종자의 발아율 및 원괴체의 형성율이 높았다. 발아 배지에 NAA와 BA 등의 호르몬 첨가는 발아율과 원괴체의 형성율을 촉진하였지만 비정상적 인 유묘가 많이 발생하여 건강한 유묘의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유묘는 활성탄을 0.5g/L-1를 첨가한 H3P4배지에 계대배양하여 건강한 새우난초 유식물체를 생산하였으며, 화분에서 성공적으로 순화하여 새우난초와 금새우난초의 인공교배를 통하여 원예성이 높은 왕새우난초을 육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18.
        200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설 산업에서 CFRP는 재료적 장점들 때문에 구조물의 보강재로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CFRP Plate가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보강 효율과 설계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정적 실험은 실험체의 파괴양상, 보강성능을 평가하였으며, 피로 실험은 처짐, 철근 변형률, CFRP Plate의 변형률을 분석하고, 에너지 소산과 보강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한 결과, 보강량이 증가할수록 단부 박리 파괴를 일으켰다. 그리고, 단부를 보강한 경우는 휨균열로 인한 박리파괴를 나타내는 파괴양상을 보였다. 피로 실험을 통하여 일정한 반복하중 횟수가 되면 처짐, 철근 변형률, CFRP Plate의 변형률 값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였다. CFRP Plate가 보강된 보는 피로하중에 대해 사용성 확보가 가능했다.
        219.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성자와 감마선 조사한 추파형 유채 M2 세대의 화뢰의 소포자 배발생에 대해 조사하였다. 세 가지 유채품종 '한라', '내한'과 '탐미' 유채종자를 각각 400 Gy와 600 Gy의 양성자와 감마선으로 전처리 하였다. 일부 종의 양성자와 감마선 조사구에서 배발생이 증가되었고 대조구보다 높았다. 품종별로는 '내한'유채가 배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고 '탐미' 유채가 가장 낮았다. 드물게 배상체로부터 바로 소식물체가 형성되었고 대부분은 비정상적으로 multilobe가 형성되었다. 배상체로부터 식물체가 성공적으로 재분화 되었고 화분에 순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