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1

        41.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smolarity of thawing diluents, seminal plasma added in thawing diluents on the sperm viability and the effects of thawing temperature, the temparature of the thawing diluents on the sperm viability and acrosomal morphology of boar spermatozoa by the straw method. The result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perm viablilty after thawing of the frozen semen was shown greater in the high osmolarity(392~492mOsm) than low osmolarity(300mOsm) in thawing diluent. The added levels of seminal plasma in thawing diluent did not affect the viability of frozen-thawed boar semen. 2. In terms of thawing temperature, the sperm viability was shown higher in the frozen semen thawed at 5 for one min. (p<0.01) than those thawed at 2 or 37 for one min. The sperm viability was not significant at the diluent temparature of 2or 37 after thawing: but the sperm viability was higher in thawing diluent at 2 than in that at 37. However, the effects of thawing temperature and diluent solution on normal acrosomal rate were not significant. 3. Cleavage rates of oocytes fertilized with frozen semen were 46.4% and 43.3%, respectively, which were thawed at 5 for one min. and then diluted in mBTS medium at 2or 37. To sum up, the sperm viability was shown greater at the high of thawing diluents of frozen boar semen. In terms of thawing conditions, the sperm viability was shown greater, when semen was thaw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short time and then diluted at the same temperature as that in the straw.
        4,000원
        43.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mbryonic development ability and the appearance of blastocysts of bovine in vitro fertilized oocytes cultured in different culture media, and also to evaluate survival rate after thawing of frozen embryos by using 1.5 or 1.8M ethylene glycol(EG) with sucrose or trehalose. Fertilized oocyt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 ) monolayer of cumulus /granulosa cell prepared by TGM 199+5% calf serum(TGM199), ii)GRlaa+5% CS, iii)SOF+5% CS, and they were cultured after insemination for 9 days, at 39˚C, under 5% in air, but SOF+5% CS was cultured at 39˚C, under 5% 02, 5% GO2, 99% N2. Blastocysts derived from GRlaa + 5% CS on day 7~8 after insemination were frozen by using 1.5M EG or 1.8M EG with/without 0.2M sucrose or O.1M trehalose. The development rate of blastocysts on day 7 after insemination in SOF+5% CS was significant higher than in TCM199 or CR1aa(P<0.05). The appearance rate of blastocysts on day 7-8 after insemination was higher than in TCM199, when fertilized oocytes were cultured in GRlas or SOF. The survival rate of frozen blastocysts after thawing tended to increase, when blastocysts were frozen by using 1.8M EG with 0.2M sucrose or O.1M trehalos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OF or CRlaa media with amino acids was superior to TCM199 with monolayer in terms of blastocyst development in culturing of in vitro fertilized bovine nocytes, and sucrose or trehalose was supposed to prevent embryos from the freezing shock.
        4,000원
        44.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험1. 난구-난자 복합체(CIO)와 나화난자(DO)의 성숙배양 개시후 3~24시간 동안 각각의 난자에 행성숙 진행상태를 Hㅐㄷ촌ㅅ 33342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GV기는 성북배양 개시후 3시간에 GVBD기는 6시간에, MI기는 13시간에, AnaI-Tel I 기는 16시간만에, M II기는 24시간에 각각 관찰되었으며, CIO와 DO에 있어 각각의 핵성숙 진행 비율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실험2. 실험 1에서 결정된 각각의 핵성숙 시간에 CIO
        4,000원
        46.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observe developmental capacity of the early embryos aggrigated to phytohemagglutinin-M(PHA-M) in the culture of mouse embryos in vitr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blastocyst increased to 2-celT >< 2-cell : 68. 9%, 4-cell 4-cell : 92.5% and 8-cell 8-cell : 97.3% in the aggrigated embryos of ICR mouse, and 2-cell 2-cell : 90.0%, 4-cell 4-cell : 93.9% and 8-cell 8-cell : 100% in the aggrigated embryos of two different strains (ICR CBA/J mouse). (Key words : aggrigated embryos, in vitro 2-cell block, phytohemagglutinin-M, blastocyst)
        4,000원
        52.
        199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cell block phenomenon occuring during early development in vitro of mouse embryos. Early embryos were recovered at 3h post-hGG injection(hph). Various chemicals (EDTA, EGTA, DTPA, MA and PRA) were tes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m on the overcoming the 2-cell block phenomenon. One hundreds M of the chelating agents were added to the M16 medium containing embryos. The treated embryos were worked and transferd to fresh M16 medium after 1, 3, 6 and 12h of treatment. Development was examined at 58 and l2Oph injection, respectively. 44.7~68.9% of the treated embryos developed to 4-cell stages at 58hph. Only 17.6~60.3% of the embyos developed upto blastocyst at l20hph. Whereas control embryos showed slightly lower development in M16 medium alone (38.9~42.4%, 4-cell and 3.8~65.5%, blastocyst). Three mitogenic agents were tested. 51.6~63.8% and 43.4~48.1% of embryos developed up to 2-cell and blastocyst stage, respectively when treated in 5 g PHA-M Imi for 5 min, 1, 3 and 6h subsequently cultured in fresh M16 medium. Control embryos only showed 38.8% for 4cell and 5.9% fo blastocyst at 58 and l2Ohph, respectively. 100M PMA was also beneficial for the 2-cell block. Showing better development them that of control (42.4 vs 57.9~59.4% 4cell and 5.9 vs 25.0~55.6% blastocyst, respectively. However 1M butyric acid was toxic to early embryos, thus arresting further development. These result indicate that either chelating or mitogenic agents could be used to overcome the "in vitro 2-cell block" occuring during early development in vitro of ICR embryosCR embryos
        4,000원
        56.
        199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methods of injection of PMSG-hCG to the number of ovulated eggs, percentage of matured oocytes and in vitro fertilization using out-bred ICR mic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optimurn dose was 5 IU for both PMSG and hCG, while the number of ovulated eggs was 428, percentage of M II was 73%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 was 81 %. 2) The optimum injection interval of PMSG-hCG was 48 hours, while the number of ovulated eggs was 48 8, percentage of M II was 80%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 was 81%. 3) The optimum time for collecting eggs was between 16 and 18 hours after hCG injection, while the numbers of ovulated eggs were 448, 427 and 437 in 14,16 and 18 hours after hCG injection respectively, and percentages of M II were 79 and 81 %,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s were 81 and 80% in 16 and 18 hours after hCG injection, respectively. 4) The repeat of superovulation decreased with the number of ovulated eggs, percentage of M II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 than in control. But it was recovered by increasing the repeat interval.
        4,000원
        58.
        198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the quarternary ammonium salts as phase transfer catalyst, the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of 1-chlorooctane with sodium-cyanide was investigate kinetically with respect to the formation of octanenitrile. The product was analyzed with gas chromatograph, and quantity of octanenitrile was measured. The reaction condition was considered by the effect of the reaction temperature, of the species and the amount of catalyst, of the speed of strirring, and of the concentration of reactants.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in the first order on the concentration of 1-chlorooctane and sodium cyanide, respectively. The over-all order was 2nd. The activation energies for the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of 1-chlorooctane and 1-bromooctane under tetrabutylammonium hydrogen-sulfate were calculated as 2.05 and 10.08kcal/mol, respectively. The effect of various caltalysts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tetrabutylammonium bromide, terabutylammonium, tetrabutylammonium hydrogensulfate, and tetrabutylammonium iodide. The reaction rate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sodium-cyanide dissolved in the aqueous phase, and the good result was shown when the mol ratio between 1-chlorooctane and sodium cyanide was one per three.
        4,000원
        59.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의학의 발달과 사회경제적 수준의 향상으로 암 환자의 생존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암은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의 하나 로서 입원과 퇴원의 반복과 오랜 기간의 치료는 암 환자들은 심리적으로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신, 2014). 특히 암 환자들은 희망 보다는 죽게 될 것이라는 불안과 우울 등의 기분이 복잡한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노출되어 그들의 건강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 므로 심리적 안정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에서 디스트레스라는 말로 그들의 정신적 고통을 정의 한다. 한편 원예치료가 암 환자들의 우울과 불안들을 감소 시켰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김, 2008) 자연의 식물을 이용한 다양한 원예활동이 긍정적인 사고로 변화 시킨다고 한다. 따라서 원예치료가 요양원 암 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알아보고자 수행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K도 C군에 위치한 요양병원에 입원한 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 그램은 2016년 12월7일부터 2월 8일까지 매주 수요일 주1희 60분 동안 총 10회를 실시하였으며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프로 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심리적 디스트레스 척도로서 기분상태 측정은 McNair 등(2003)이 개발하여 Ueun 등이 한글 화한 K-POMS-B, 불안과 우울은 오세만 등(1999)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 하였으며 결과 분석 데이터는 SPSS PC program(ver. 18.0)으로 비모수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암 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서 기분상태점수는 총 점수가 원예치료 실 시 전 50.30에서 원예치료 실시 후25.15점으로 25.15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35) 이 점수는 점수가 낮 을수록 기분상태가 좋음을 의미한다. 하위영역으로 긴장(p=.005), 우울(p=.015), 분노(p=.026), 활기(p=.045), 피로(p=.003), 그리고 혼란 (p=.027)의 모든 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암 환자의 불안점수의 변화는 원예치료 실시 전 11.65점에서 원예치 료 실시 후 7.38점으로 4.27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38). 그리고 우울점수의 변화에서도 원예치료 실시 전 10.42점에서 원예치료 실시 후 6.35점으로 4.07점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21). 이러한 연구결과는 말기 암 환자를 위한 꽃 색 채조화를 적용하여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킨 결과(김, 2008)와 비슷한 맥락이며 요양병원에 입원한 암 환자에게 희망증진요법을 적용한 원 예치료의 효과(신, 2014)와 유사한 결과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원예치료는 신체적·심리적인 고통을 겪고 있는 요양병원의 암 환자들의 디 스트레스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하고 전문적인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장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요양병원 암 환자들에게 제공 한다면 긍정적인 사고로 전환되어 치료 기간이 단축 될 것으로 사료 된다.
        60.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art-up(1991)에 의하면 성인기 사회적응성의 가장 중요한 예언 요소는 다른 유아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유아들이 라고 한다. 즉 이 들의 타고난 지능이나 성격보다 공격적이고 혼란스럽게 보이거나 거부하는 행동을 하며 그들 스스로 또래 문화에서 자리를 찾지 못하는 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이 심각하게 성인기 부적응의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유아들이라고 한다(조 등, 2009; 재인용). 이처럼 유아기의 사회성 발달 은 유아가 성장하여 사회구성원으로써 역할을 함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비공격적인 방식으로 행동 함으로 또래에게 비교적 인기가 많다 (Goleman, 1995)하여 정서지능을 향상시켜 더불어 사회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 는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D시 A어린이집에 다니는 평균 45 개월의 유아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예활동은 2017년 1월 6일부터 2월 13일까지 매주 월요일과 금요일 주2희 60분 동안 총 10회를 실시하 였으며 유아의 사회성과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정서지능 총 점수가 원예활동 실시 전 161.11점에서 원예활동 실시 후 179. 11점으로 17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21). 하위영역으로 자기감정의 인식 및 표현(p=.008), 감정 조절 및 충동억제(p=.020), 자기정서이용(p=.021),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p=.025), 또래와의 관계(p=.020), 그리고 교사 와의 관계(p=.027)의 모든 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유아의 사회성 변화는 총 점수가 원예활동 실시 전 12.55점에서 원예활동 실시 후 18.11점으로 5.56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7). 하위영역으로 개인정서조절능력(p=.019), 대인 관계형성능력(p=.017), 그리고 유치원적응능력(p=.017)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권 등(2014)이 텃밭원예활 동을 통해 유아들의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어 풍부하고 안정된 정서지능과 사회성이 발달 하였다고 하는 것과 일치하며 유(2010) 의 연구에서 자기표현을 도입한 원예치료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을 향상시켰다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따라서 유아에게 다양하고 전문 적인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건강한 정신을 바탕으로 자라나서 향후 미래 주인공의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