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identify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Anmyeon Isl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rom June, 2015 to August, 2016. Based on the collected specimens, the vascular plants of the Anmyeon Island were summarized as 717 taxa: 119 families, 400 genera, 632 species, 5 subspecies, 73 varieties and 7 formas. Among the 717 identified taxa, 17 r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n Forest Service according to the IUCN valuation species were described: 3 taxa of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CR), 1 taxa of endangered species (EN), 6 taxa of least concerned species (LC), 7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99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specially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also were identified. In addition, 6 Korean endemic species such as Forsythia koreana Nakai and Hemerocallis taeanensis S.S.Kang & M.G.Chung, and 91 naturalized plants such as Rumex acetocella L., Amaranthus lividus L. and Diodia teres Walter etc. were described.
조영제의 혈관외유출을 한번이라도 경험한 방사선사들은 혈관외유출의 발생에 대한 두려움으로 검사하 는 동안 정신적 고통을 수반하게 된다. 환자의 경우 심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과 의료진 및 의료에 대한 불 신을 갖게 되므로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영제 주입 시 압력인 PSI를 낮추어 혈관외유출을 예방하고자 하며 그 방안으로 자동주입기와 환자의 정맥주사 바늘에 연결되는 Y자 형태의 연결관(connecting tube)의 직경에 따른 조영제 주입 시 PSI의 변화를 비교 분 석하고자 하였다. Y형태의 연결관 직경이 약 2 mm 정도인 A제품의 경우 전체 평균 연령의 PSI는 98.5, 표 준편차 9.72로 나타났다. 연결관 직경 약 3 mm 정도인 B제품의 경우 전체 연령의 평균 PSI는 62.0, 표준편 차 8.59로 나타났다. 이것은 직경이 더 넓은 B제품의 경우 A제품과 비교했을 때 평균압력이 37.05% 감소한 결과이다.
목적: 본 연구는 유소년 축구선수의 역경 극복 경험을 기반으로 한 축구 긍정심리자본 개념을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하여 개방형 설문지를 제작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소년 축구클럽 소속의 초ㆍ중등학교 축구선수 7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검사지 개발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262명의 유소년 축구선수가 참여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273명의 유소년 축구선수가 자료를 제공하였다. 수집된 개방형 설문지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범주화 하였으며, 범주화를 토대로 도출 된 결과는 SPSS 19.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유소년 축구선수의 긍정심리자본은 총 114개의 원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자기 신념, 한계 극복, 인내, 성장 발판 등 9개 하위 범주로 분류되었고, 이는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낙관성, 희망 등 4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도출한 유소년 축구선수의 긍정심리자본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등 비교적 타당한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소년 축구선수의 긍정심리자본은 14문항이 적합도 수준에 있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소년 축구선수는 주관적 경험과 해석에 따른 역경을 경험하지만 자신의 심리자원을 토대로 극복하여 긍정심리자본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가 유소년 축구선수의 긍정심리자본개념을 이해함과 동시에 유소년 선수의 축구 긍정심리자본 구축에 관심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추 출하고, 이 요인들 사이의 연관성 정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에서 수집된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수학교과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내재적 동기, 통제 기대, 초인지이고, 내재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자기효능감, 노력과 끈기, 숙달 접근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 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는 수학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evalu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of P. lobata root depending on roasting conditions. P. lobata roots were roasted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 at 150℃, 200℃, and 250℃ and three different time at 10 min, 20 min, and 30 min respectively. Roasted P. lobata root was extracted using water at 85℃ for 6 h and filtered using filter paper, followed by then evaporated (12±0.3 °Brix) and freeze-dried. The concentration of maker compound puerarin was determined using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ystem. 2 phenolic compounds,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powder were evaluated. Puerarin contents,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 contents of roasted P. lobata root were higher than those of unroasted P. lobata root. The results of DPPH and ABTS showed that roasted P. lobata root possess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unroasted P. lobata root. This study suggested that roasting process could be applied to P. lobata root in order to achieve its high quality and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