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3

        221.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주홍날개꽃매미 또는 중국매미로 불리는 꽃매미는 2006년 한국응용곤충학회에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국내에 정착한 중국지역에서 비래한 외래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꽃매미는 포도나무가지에서 나무즙을 흡즙하고, 배설물로 인한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포도재배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으며, 주택가로 날아들어 혐오감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꽃매미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중부지역 12개 시・군, 56개 읍・면, 236개 지점을 선정 꽃매미의 발생 분포를 조사하였고, 4령 약충과 성충에 대한 친환경 농자재 그린스타 등 20종과 화학 살충제 람다사이할로트린 수화제 등 11종을 공시하여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꽃매미의 발생 분포를 조사한 결과 청주시 24개 지점과 청원군 14개 지점 및 천안시 입장면 1개 지점에서 발생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타 조사지역에서는 2008년 9월 초순까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꽃매미 4령 약충과 성충에 대한 살충효과 검정 결과는 친환경 농자재 중 그린센스 등 8종에서 2시간 내 100%의 치사율을 보였으며, 화학살충제 중에서는 람다사이할로트린 수화제 등 8종이 24시간 내 100% 치사율을 보였다.
        222.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에 국내에서 콩의 수량감소를 유발하는 신 문제 해충으로 콩꼬투리혹파리를 들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콩꼬투리혹파리가 콩의 주요 해충으로 크게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03년 일본에서 DNA분석을 통해 기주교대 한다는 사실이 재발견되면서 비롯되었다. 콩꼬투리혹파리는 봄과 겨울에 각각 여름기주와 겨울기주를 교대하면서 연중 생활사를 완료하는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콩꼬투리혹파리의 기주교대에 관한 최초의 발견은 1975년 지중해 동부의 키프로스공화국의 쥐엄나무에서 월동한다는 사실이 보고되면서였다. 그 후 일본에서 상록수인 쥐엄나무(2003년)와 구골나무(2005년) 열매의 충령에서 콩꼬투리혹파리가 1령으로 월동한다는 사실이 보고되면서 본 충의 연구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콩꼬투리혹파리는 파리목 혹파리과에 속하며, 성충의 크기가 3~4㎜로 작고 그 형태가 모기처럼 생겨 조사가 쉽지 않다. 콩꼬투리혹파리는 콩의 어린 꼬투리 안에 산란하고 부화된 약충이 꼬투리 안에서 자실체를 먹고 발육하여 번데기가 되고 우화하면서 탈피각을 꼬투리 표면에 부착함으로 그 발생여부를 쉽게 관찰 할 수 있다. 또한 콩꼬투리혹파리에 의해 피해 받은 콩 꼬투리는 기형화 되므로 정상적인 발육이 불가하여 큰 수량감소를 유발하게 된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생태계의 변화는 농업생태계에 있어 해충의 발생양상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금후 콩의 신 문제 해충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은 콩꼬투리혹파리의 발생에 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 본 충에 관한 관심을 기대하는 바이다.
        223.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의 주요 노린재류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가로줄노린재의 유인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인물(집합페로몬과 콩 조합)과 4종류의 유인트랩을 조합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은 3성분(EZ:EE:MI)과 4성분(EZ:EE:MI:OI)의 2종류로 이들 집합페로몬의 조성성분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효과는 3성분보다 4성분에서 약 35% 증진되었다. 집합페로몬을 청자콩, 검정콩 및 태광콩의 종실과 각각 조합하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효과는 4성분+청자콩>4성분>검정콩>4성분+태광콩>3성분+청자콩>3성분+검정콩>4성분>3성분+태광콩>3성분의 순으로 높았다. 유인트랩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효과는 통발트랩>펀넬통기트랩>펀넬트랩>풍뎅이트랩 순으로 높았다. 가로줄노린재의 집합페로몬(EE) 함량에 따른 유인효과는 105㎎>80㎎>50㎎ 순으로 높았다. 집합페로몬과 콩 종실을 조합한 가로줄노린재의 유인효과는 집합페로몬 105㎎+청자콩>105㎎+검정콩>105㎎+태광콩>80㎎+청자콩>80㎎+검정콩>50㎎+청자콩>80㎎+태광콩>50㎎+검정콩>50㎎+태광콩의 순으로 높았다. 유인트랩에 따른 가로줄노린재의 유인효과는 통발트랩>펀넬통기트랩>펀넬트랩>풍뎅이트랩 순으로 높았다. 따라서 콩 포장에서 유인물을 이용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가로줄노린재의 유인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 4성분과 가로줄노린재의 집합페로몬 105㎎을 청자콩 종실과 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이었다.
        224.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에 농업환경을 살리고, 건강한 먹거리를 생산하는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 고조와 겨울철 푸른들 가꾸기 사업 등으로 자운영 등 녹비작물 재배면적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녹비작물 재배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알팔파바구미등 새로운 해충이 매년 다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따라서 외래해충인 알팔파바구미의 가해 작물 및 작물별 피해를 조사하여 방제법 확립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조사하였다. 알팔파바구미는 자운영을 포함한 헤어리베치, 크림슨클로버 및 콩 등 두과 작물뿐만 아니라 감자, 취나물 등 10여종의 작물을 가해하고 있었으며, 그 중 피해가 가장 많은 작물은 자운영(피해엽률 80%), 콩(피해주율 75%) 및 감자(피해주율 52%)순이었다. 특히, 알팔파바구미는 자운영 재배지에서는 자운영 생육초기부터 발생하여 결실기까지 피해를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발생량이 많을 때는 건전한 자운영에 비하여 최대 78%까지 생초량을 감소시키므로 자운영을 녹비작물로 이용하려고 할 때 생초량 확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25.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꼬투리혹파리 성충의 체장은 3~4㎜ 이며, 몸체는 회갈색을 띠고 있으며, 형태는 모기와 유사하나 다리와 안테나가 길고, 유충은 콩 꼬투리내에서 발육하고 번데기가 되어 탈출하고 콩 꼬투리의 표면에 번데기가 부착된다. 피해받은 꼬투리 부위는 잘록하게 기형으로 변하며, 심하게 진전되면 꼬투리가 뒤틀리게 되고 피해받은 종실은 기형화 되거나 퇴화된다. 콩꼬투리혹파리에 의한 콩의 피해증상은 착협기에 콩 꼬투리에서 확연히 나타나서 구별되지만 현재까지 콩꼬투리혹파리의 발생을 조사하는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몇 가지 조사방법을 적용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본 충의 밀도를 조사하는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포충망을 콩 포장의 이랑 사이에 놓고 양손으로 콩 식물체를 타락하여 조사하는 방법이 대상해충의 발생량을 가장 많이 조사할 수 있었으며, 다음은 사각트랩타락법 및 끈끈이트랩의 순서 이었다. 콩 포장에서 콩꼬투리혹파리는 7월 상순부터 발생되었으며, 발생량은 9월 상순경까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26.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두과작물은 대부분의 노린재류가 선호하는 작물이지만, 그 선호성은 두과작물의 종류 및 품종에 따라 차이가 현저하다.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선호성은 VTS(Video tracking system)를 이용하여 두류종실별 방문횟수와 체류시간을 조사하였으며, 콩 포장에서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유인력은 통발트랩에 두류종실을 넣어 노린재류의 유인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통발트랩을 이용하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과 두류 종실 조합에 의한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를 검토하였다.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방문횟수는 청자콩>일품검정콩>진품콩>선녹콩의 순서로 많았으며, 체류시간(초)은 청자콩>일품검정콩>선녹콩>진품콩의 순서로 길었다. 콩 포장에서 두류종실에 의한 노린재의 유인수는 청자콩>일품검정콩>태광콩>땅콩>강낭콩>팥의 순서로 많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EZ:EE:MI = 1:5:1, 75㎎/PE형 방출기)과 콩 종실 조합에 따른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는 집합페로몬+청자콩 조합에서 약 86%, 집합페로몬+일품검정콩 조합에서 약 59%, 집합페로몬+태광콩 조합에서 약 31% 증가하였다. 따라서 두류종실의 종류에 따른 노린재의 선호성과 유인효과가 인정되었으며, 농작물 재배포장에서 노린재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하려면 페로몬과 청자콩 종실을 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227.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락수염노린재의 주요 페로몬 성분을 찾기 위하여 알락수염노린재 헥산추출물에 대하여 GC-MS 및 GC-EAD 반응을 분석하였고, GC-EAD에 반응한 물질에 대하여 Y-tube Olfactometer로 알락수염노린재의 유인반응을 조사하였다. 알락수염노린재의 주요 헥산추출물은 (E)-2-hexenal, 4-Oxo-(E)-2-hexenal, (E)-2-hexenyl acetate, (E)-2-octenal, n-undecane, n-dodecane, (E)-2- decenal, n-tridecane, (E) and (Z)-2-decenyl acetate, pentadecane, tetradecyl isobutanoate, (Z)-9-octadecenoic acid methyl ester 및 기타 미동정 물질 등이 다수 존재하였다. 특히 암컷 알락수염노린재에는 수컷 노린재에는 없는 E-5-decenyl acetate의 함량이 매우 많았다. 알락수염노린재 헥산추출물에 대한 알락수염노린재 암․수의 안테나 반응은 retention times 4.1~ 4.2(retention index 850~860 : E-2-hexenal), 4.7 부근(retention index 960 : 4-oxo-E-2-hexenal)과 6.8 부근(retention index 1290~1305 : Tridecane)의 화합물에 대해 암․수 모두 동일한 안테나 반응을 보였다. 알락수염노린재에 대한 Y-tube Ocfactometer 시험에서 알락수염노린재의 최초 이동방향이 수컷은 E-2-decenal(100%), E,E,Z-2,4,6-decatrienoate(80%), n-tridecane (70%) 및 E-2-hexenal(60%) 순이었고, 암컷은 n-tridecane(80%), 4-oxo-E-2-hexenal (60%), E-2-decenyl acetate(60%), Z-2-decenyl acetate(60%), E,E,Z-2,4,6-decatrienoate (60%) 등의 순이었다. 특히 Tridecane과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몬인 E,E,Z-2,4,6-decatrienoate는 알락수염노린재 암․수 모두에서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내었다.
        229.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ryonic and postembryonic developments of Nezara antennata Scott were observed in 5 different rearing cages such as A (Cylindrical, ø 10 ㎝ × 4 ㎝), B (Cylindrical, ø 14.5 ㎝ × 2.8 ㎝), C (Rectangle, 6.5 L × 6.5 ㎝W × 10 ㎝H), D (Cylindrical, ø 9 ㎝ in bottom & ø 11.5 ㎝ in upper × 10.8 ㎝) and E (Cylindrical, ø 15 ㎝ × 7.5 ㎝) containing soybean and peanut seeds as food, and sponge soaked with water under laboratory condition of 24℃ and 15L : 9D. Hatchability ranged from 93 to 97%. Nymphal duration was shortest of 6 days in the 1st instar and longest of 10 days in the 5th instar. The nymphal duration was 38 to 39 days observed in the rearing cages. Emergence rate was in the range from 53 to 62% with highest in A and B cages. Adult longevity was 65 to 75 days for male, and 67 to 74 days for female, and was longest in the B cage. Total number of eggs laid by female adult was in the range from 51 to 56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ring cages, and was the most in the B cage. Accordingly, the reproductive rate of N. antennata for 1 generation was within 25 to 33 times, and was highest in the B rearing cage.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B cage is most suitable for stable rearing of N. antennata under laboratory condition.
        4,000원
        23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of teachers" attitudes toward World Englishes (WE) for language teaching and language testing, and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of various rating criteria for the L2 oral proficiency tes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72 English teachers in the UK, Malaysia, and Japan.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ttitudes toward WE among the groups of English teachers depending on their teaching contexts.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s on rating criteria, it was found that different groups of English teachers considered various rating criteria for the L2 oral proficiency test differently. The English teachers showing negative attitudes toward WE perceive grammar, pronunciation, native-likeness as more important rating criteria than the others such as vocabulary, organization, task fulfillment, and appropriateness for the assessment of non-native speakers" English language oral proficiency compared to the other group of English teachers show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WE.
        5,800원
        232.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over-wintering success of the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which is considered as unable to hibernate during winter climate in Korea. This study was examin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over-wintering habitats in the agricultural water system related with weed control using the apple snail in rice paddy field in the Yeongnam district from 2003 to 2006. Over-wintering success of the apple snail was observed at Hadong, Hapchen, Sanchung, Kimhae, Milyang, Changwon, Ulsan, Busan, Gyengju, Pohang, Chilgok, Seongju, Gumi, Sangju and Youngju in Yeongnam area. And the over-wintering locations of apple snail going north year by year. Accordingly, the successful over-wintering sites observed were deep wells, water running canals and brooks not dried conditions. A special feature of this sites was that the water of this sites was not frozen during winter season.
        4,000원
        234.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훼장식에서 프레임 디자인 작품의 교육과 적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체계 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 부 산, 대구, 경기, 광주에 장식된 프레임 디자인 작품 120개를 대상으로 동사적 표현기법의 적용실태와 기법 간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25개 이상의 작품(20.8%)에 사용된 기법에는 세우기(44.2%), 연결하기(42.5%), 둘 러싸기(28.3%), 묶기(27.5%), 덧씌우기(20.8%), 엮기 (20.8%), 교차시키기(20.8%), 조립하기(20.8%)가 있었 다. 작품 당 사용된 동사적 표현기법의 수는 42.5%의 작품에서는 5-7개가, 31.7%의 작품에서는 2-4개가, 23.3% 작품에서는 8-10개가, 2.5% 작품에서는 11-13 개가 사용되었다. 작품에 적용된 기법 중 빈도수가 높 은 세우기, 연결하기, 교차시키기, 묶기, 덧씌우기, 감 싸기는 서로 간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프레 임 디자인을 이용한 작품 제작이나 교육 등을 위해서 는 이들 기법들을 우선적으로 익혀야 될 것으로 생각 된다.
        4,000원
        235.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의 해양 심층수 자원 기반 환경 연구의 일부로 청결기술을 적용하여 해수 중의 용존 미량금속(Cd, Co, Cu, Ni, Pb, Zn) 농도 분포와 변화를 조사하였다. 강원과 경북 지역에 총 6개 정점을 선정하고, 각 지역마다 최대 채수 수심 각각 200-300m와 500m까지 시료를 채취하였다. 본 연구의 미량금속을 위한 연안해수 표준물질(CASS-4)의 분석 결과 각 원소 평균 회수율은 Co의 89.4%에서 Cd의 99.8%의 범위였다. 용존 미량원소의 분포는 해역 및 시기적인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Cd, Ni, Zn의 경우는 영양염 의존형으로 표층에서 낮고 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Co, Cu, Pb은 수직적으로 불규칙적인 분포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동해 심층수 원수의 중금속 농도는 해역별 수질 기준과 먹는 물 기준을 만족하였다.
        4,000원
        236.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a weevil was easily observed in the flower and pod of garden pea, but not observed in soybean at various locations in Yeongnam district through 2001 to 2003. Number of pea weevil observed in pea flower was the highest at Milyang (20), followed by Yangsan (15), Sacheon (14) and Changnyong (13), and was the lowest at Pohang (3). On the other hand, number of pea weevil observed in pea pod was the highest at Tongyeong (192), followed by Changnyong (171), Sacheon (157) and Changwon (138), and was the lowest at Pohang (12) which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the result of pea flower. Number of pea weevil occurrence observed in pea pod after one and two times applications of insecticides in pea field were different at harvest day of 30th May whil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harvest day of 5th June. Likewise, number of pea pod damage after one and two times applications of insecticides were different at harvest day of 30th May while was not different at harvest day of 5th June. Thus, control efficacies of insecticides according to application times against pea weevil showed very high with above 95% at harvest day of 6th June while showed variable control efficacies at harvest of 30th May.
        4,000원
        237.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e the observing methods for density of stink bugs in soybean reproductive stage. The adults and nymphs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red-banded shield bug, Piezodorus hybneri, green stink bug, Nezara antennata, Sole bug, Dolycoris baccarum, and brown marmorated stink bug, Halyomorpha halys were observed by three observing methods such as beating, sweeping net, and visual counting methods in the full bloom (R2), full pod (R4) and beginning maturity (R7) of soybean. As a result, total number of stink bugs observed was the highest with 5,214.2 by beating method, and then was 2,581.8 by visual counting method, and was the lowest with 103.1 by sweeping net method. Total number of stink bugs observed by the beating and visual counting methods was P. hybneri, followed by N. antennata, H. halys, R. clavatus and D. baccarum with clear difference in observed number of each stink bugs while total number of stink bugs observed by sweeping net method was very low in the range of 18 to 23. Accordingly, the observed density of stink bugs exception of R. clavatus adult by beating method was generally high. However, the number of R. clavatus adult was more observed by flushing method than that by beating method from the beginning bloom (R1) to full maturity (R8), and was more observed at morning time than that at afternoon time. Therefore, two observation methods that flushing method for R. clavatus and beating method for the other stink bugs were recommended for the occurring density of stink bugs in soybean because both bean bug and pentatomidae stink bugs have distinct behavior characteristics such as flying and dropping.
        4,000원
        238.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용꽃인 꽃베고니아(Begonia semperflorens ‘Superolympia White’), 토레니아(Torenia fournieri ‘Crown Pink’), 팬지(Viola tricolor ‘Solvetsunny Royal’) 및 펠라고니움(Pelargonium grandiflorum ‘Jessie Jarrett’)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및 세포독성에 미치 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펠라고니움의 경우 531.57mg/100g으로 높게 나타났으 나 토레니아는 30.98mg/100g, 팬지는 14.62mg/100g, 꽃베고니아는 5.77mg/100g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자공 여능은 꽃베고니아, 토레니아, 팬지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500g·mL-1에서는 모두 69.4% 이하를 나타 냈으나 펠라고니움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125g·mL-1에서도 각각 94% 내외를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은 토레니아와 팬지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구에서는 95% 이하를 나타내어 세포사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히스타민 억제효과는 펠라고니움 추출물의 경우 91% 이상을 나타냈으나 토레니아 추출 물은 51-66%, 팬지 추출물은 14-24%, 꽃베고니아 추 출물은 1~2%의 억제 효과만 나타났다.
        4,000원
        239.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물자원의 수경재배시 양액농도가 생장 및 무기물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벌개미취, 원추리 및 질경이를 펄라이트 배지에 추식하여 70일간 재배 한 후 생장정도와 무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벌개미취와 원추리의 초장, 줄기직경, 잎의 수, 신선중 및 건물중은 1.5배액 처리구에서 확연하게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질경이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은 양액의 농도가 0.2재액에서 1.5배액으로 증가할수록 증가한 반면, 엽수와 근장은 0.5배액과 표준농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a Mg 및 Na 함유량은 벌개미취의 경우 1.5배액에서, 원추리와 질경이는 0.25배액에서 가장 많았다. K 함량은 벌개미취와 원추리는 0.5배액에서, 질경이는 1.5배액에서 가장 많았다. P2O5는 나물종류 및 양액의 농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