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8

        481.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제적이면서 친환경적인 오염부지 정화 수단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식물정화공법(Phytoremediation)은 공법의 특성상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부산물의 발생이 필연적으로 수반되어 이에 대한 처리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현재는 발생되는 식물정화공법 부산물의 대부분을 압밀 및 열분해를 통한 중간처리와 연소, 직접처분 그리고 회화 등의 최종처분으로 구분하여 처리하고 있다. 이 때 연소와 회화는 낮은 열량으로 인해 폐열 회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열분해공정의 경우 식물체부산물의 높은 함수율로 인한 제한 및 외부에서 별도의 에너지원 투입에 따른 효용성 저하가 지적된다. 식물정화공법 부산물은 식물 종에 따라 구성이 다양하지만 헤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리그닌 등의 식물섬유소와 회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혐기성 조건에서 소화시킬 경우 가스화를 통해 에너지의 회수는 물론 처분을 필요로 하는 부산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오염부지에 식물정화공법을 적용하고 발생된 해바라기 부산물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혐기성 조건에서 잠재 메탄 발생량을 확인하였다. 잠재 메탄발생량의 확인은 회분식 실험인 BMP(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test를 수행하였으며, 실험은 식물정화공법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지상부 중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사용 가능한 씨앗을 제외하고 줄기, 잎 그리고 꽃 각각의 부위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50일간 진행되었으며 발생되는 가스의 부피와 조성은 각각 t-type valve system과 TCD(Thermal Conductivity Detector)가 장착된 GC(Gas Chromatography, Younglin ACME 6100, Kore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얻어진 시간에 따른 누적메탄발생량에 수정된 Gompertz 식을 적용하여 잠재메탄발생량을 구하였다.
        483.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regarding the property evaluation of mortar for ‘ONDOL’ floor (Korean floor heating system) finishing with reduced drying and shrinking properties to use it in the form of ready-mixed concrete mortar. The mortar utilized furnace slag based inorganic binding agent NSB,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CaO included in HCFA generated from the fluidized-bed-firing power plant. Based on the test results, it is judged that mortar for ‘ONDOL’ floor finishing based on NSB including HCFA can be used in the form of ready-mixed concrete. According to site test construction, the flow property was relatively poor because fine gravel at ready-mixed concrete factory was used. However, since finishing property, crack resistance and water content are good,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t construction site in the form of ready-mixed concrete mortar. More study on adhesion property with floor plate would be required in the future.
        484.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라남도 신안군 가거도(북위 34˚02'~34˚05', 동경 125˚05'~125˚08')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10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23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98과 258속 348종 3아종 31변종 4품종의 총 38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50분류군이었다. 가거도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7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8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30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2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485.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방과 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저소득 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울산광역시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교육투자 지역으로 선정된 B초등학교에서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교육복지 혜택을 받고 있는 저소득 가정의 3~6학년 아동이었다. 실험군 11명, 대조군 11명을 대상으로 매월 토요일, 2회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우울척도 결과 대조집단의 경우 실시 전과 후 14.83에서 14.16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집단의 경우 17.09에서 10.72로 유의하게 낮아졌다(P<0.01). 자아존중감 결과 실험집단은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 총체적 및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각각 18.54, 22.54에서 21.72, 31.09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학교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적 자아존중감 또한 22.09에서 26.09로, 30.54에서 34.09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대조군과 실험군 두 집단은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 점수 또한 유의차가 나타났다(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양한 식물 재료를 이용한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의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489.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 the role of contact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erception of local features dur- ing contour following in a virtual environment. An absolute identification experiment is conducted under force-alone and force-plus-contact-location condition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tact location in- form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s identify the local features significantly better in terms of higher information transfer for the force-plus-contact-location condition,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measures of the efficacy of contour following between the two conditions. Further data analyses indicate that the improved identification of local features with contact location information is due to the improved identification of small surface features.
        490.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래의 음악교과의 실기 평가는 평가에 대한 형평성과 공정성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냈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해서 평가 준거는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음악교과의 평가 목적과 장점을 발휘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타당한 음악과 평가을 위하여 음악 교과의 수행평가 준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음악 수행평가 준거는 Rief의 분류에 따라 내적 준거와 외적 준거로 나누었다(Rief L, 1990: 24). 내적 준거는 음악교과 내용의 요소와 특성, 외적준거는 음악 수행과제의 활용도 및 유용성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음악 수행평가 준거는 내적, 외적 준거의 특성에 따라 영역을 나누고 하위 요소로서 19개의 세부 영역을 개발하였다.
        499.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of flavone glycosides (luteolin 7-O-glucoside, luteolin 7-O-glucuronide, linarin) in addition to luteolin simultaneously in aerial part of Youngia japonica (Composita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MeOH extract was further fractionated into the three parts, CHCl3 fraction, EtOAc fraction and BuOH fraction,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the four flavones in the three fractions. The content of luteolin 7-O-glucuronide (10.07 mg/g) was highest in the MeOH extract among those of the flavones. These four compounds were observed to be less than 1.0 mg/g in CHCl3- and EtOAc fractions but relatively high in BuOH f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