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년 동안(2001~2015) 전 세계는 새천년개발목표 (MDGs; Millenium Development Goals, MDGs) 8개 목표 의 달성을 위해 노력해왔으며, 2014 MDGs 보고서(UN, 2014)에 따르면 이 중 몇 개의 목표는 중요한 진전이 있었으 나1), 환경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위협이 지속되고 있다는 인 식에 기초하여 제70차 UN 총회(2015.9)에서 지구와 인류 을 위한 향후 15년간의 전 지구적 의제를 담은 새로운 지속 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016~2030)를 채택하였다. 따라서, 새롭게 채택된 국제의 제인 SDGs의 생물다양성 및 자연 보전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고, 보호지역 분야의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SDGs는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와 169개의 세부목표로 구성되어있으며,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것으로 경 제성장, 건강한 삶, 기후변화 등 경제, 사회, 환경의 통합된 접근과 조화를 강조하고 있다. MDGs의 8개 목표 중 하나였 던 환경의 지속가능성 확보와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 계승되 고 확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SDGs의 17개 목표 중 goal 14와 goal 15에서는 해양 및 육상 생태계의 보전과 지속가 능 이용에 대해 직접적인 세부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육상 생태계의 경우(goal 15) 국제적 합의의 이행과 더불어 사막 화 방지, 생물다양성 손실 중지, 멸종위기종의 멸종방지, 밀 렵 및 불법거래 종식, 침입외래종 영향 저감 등의 세부목표 를 제시하고 있으며, 해양생태계 분야(goal 14)는 해양오염 방지와 해양산성화 최소화, 해양‧연안 생태계의 회복력 증 지‧복원, 위해보조금 방비 등의 내용을 세부목표로 담고 있 다. 또한 제6차 세계공원총회(WPC, 2014)에서 집중 논의 되었던, 지구가 직면한 다양한 위협(기후변화, 식량 및 물 안보, 자연재해, 건강/복지)의 가장 효과적인 자연적 해결책 으로서의 자연 및 보호지역의 역할의 경우, SDGs 개별목표 에서 보호지역의 역할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자연 보전과의 관련성을 언급2)하고 있다. 기후변화 와 관련해서는 선진국들에 재원 조성약속(2020년까지 연간 1천억불) 이행촉구와 더불어 기후변화 관련 위험과 자연재 해에 대한 회복 및 적응력 강화, 국가 정책/전략/계획에 기 후변화 수단을 통합 등을 제시하고 있다. 보호지역 확대 목 표에 있어서는 해양의 경우 생물다양성협약 아이치타켓 11 의 구체적 확대목표인 10%를 직접 언급하고 있으나(goal 14.5), 육상지역은 구체적인 확대목표에 대한 언급 없이 국 제적 합의에 대한 의무이행만(goal 15.1)을 언급하고 있다. 생물다양성 및 보호지역 관련 SDGs 목표에 대한 국가차원 의 효과적 이행 기반을 진단하기 위해, SDGs 채택 이후 정부에서 수립한 법정 중장기 국가계획(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2016-2035), 제4차 국가환경종합계획 2016-2035), 제3차 자연환경보전 기본계획 2016-2035))을 살펴보면, 관련 세부목표별로 일부 반영이 미흡한 분야(지속가능관광의 모 니터링 및 평가기제, 해양산성화 최소화 등)도 있었으나 상당 부분 우리나라의 국가적 맥락을 반영하여 각 종 계획에 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SDGs는 지속가능발전의 근간이 자연의 보전에 있음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SDGs가 향후 15년간 UN 등 국제사회의 주요 개발 협력을 위한 활동수칙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국제사 회의 공감대 속에서 향후 보호지역에 기반한 지속적인 환경 보전 활동과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SDGs 에 담긴 보호지역 관련 다양한 목표들과 연계하여 자연(보 호지역 등) 보전을 통한 지속가능발전모델 구현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English word display interfaces to improve short-term memory: a basic display, a rotation change display, a size change display, and a color change display. Using these display interfaces, we apply the word recall memory test to use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users recall more English words in the rotation change display and the color change display, as compared with the basic display and the size change display. Also, the users think that the rotation change display and the color change display are more helpful for short-term memory than the basic display and the size change display. It describes that the word display interface can have an influence on short term memory.
In this paper, we analyze user's manipulation and reaction in an accelerometer-based game interface, as compared with a touch joystick-based game interface. To roll the ball, the user carefully grabs and adjusts the smartphone with both hands in the accelerometer-based game interface; while the user very quickly clicks the up, down, left, right, buttons in the touch joystick-based game interface, because it is already familiar to the user. The accelerometer-based game interface is relatively more immersive and interesting than the touch joystick-based game interface; because the user gets more desired results by elaborately operating the game with both hands rather than by clicking the buttons with the thumb.
본 연구는 구강 호흡이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뇌전도(EEG : electroencephalogram)를 통해 관찰하고자 한다. 신체 가 건강한 12명의 피험자(남성: 6명, 여성: 6명, 나이: 21~27, 비흡연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두피에 전극을 부착한 상태로 휴지기 상태에서 비강(Rest_N) 및 구강 호흡(Rest_M)을 수행하였고, 영어 대본을 사용한 청각언어자극이 주어 지는 상황에서 비강(Eng_N) 및 구강 호흡(Eng_M)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뇌파는 뇌의 기능별로 크게 4 구역(R1~R4)으로 나뉘어 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각각의 채널별(e.g., Pf1 and Pf2) 및 주파수 대역별(α, β, γ, θ)로 절대 파워(Absolute Power) 비율을 살펴보았다. 도출된 결과에서는 Rest_N과 Rest_M 상태의 뇌파는 서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강 호흡 수행 중 청각언어자극이 주어졌을 때(Rest_N/Eng_N)의 뇌파를 비교했을 경우, 뇌파 의 활동이 휴지기 상태의 뇌파 활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같은 조건상에서 구강 호흡을 했을 때(Rest_M/Eng_M)는 비강 호흡을 실시했을 때와 달리 대부분의 뇌 구역과 주파수 대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일한 조건의 자극에도 불구하고 구강 호흡을 하는 경우는 뇌기능의 변화가 비강 호흡과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난 식재용토 대체용으로 경량기포 콘크리트 부산물(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ALC)을 여러 난과식물의 재배에 이용한 결과 동양란 심비디움 ‘Gengi’의 생육은 경량콘크리트 부산물인 ALC에서 가장 좋았으며 특히 화경 추대는 다른 기존의 식재용토에 비해 월등히 양호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하이드로볼 처리구에서 높았고, 엽록소형광(Fv/Fm)은 ALC에서 가장 낮았다. 서양란 심비디움 ‘Majolica’의 생육은 휴가토에서 가장 좋았으나 화경수는 휴가토와 ALC에서 많았다. 따라서 ALC는 심비디움의 화경 형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착생란인 호접란의 생육은 원예용 혼합 상토에서 가장 좋았다. 동양란과 서양란 심비디움에서 화경 형성에 ALC가 좋았던 것과 달리 호접란은 바크 식재구에서 화경이 가장 많이 형성되었다. 엽록소 함량 역시 바크 처리구에서 높았고, Fv/Fm은 ALC에서 자란 심비디움에서 높았고 착생란인 호접란은 보수력이 좋은 상토 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건축부산물인 ALC는 지생란인 동양란과 서양란 심비디움의 생육과 화경 발달에 효과적이었으며 휴가토, 녹소토, 혹은 하이드로볼 대체용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As the users continuously play the mobile game, the mobile game service requires a method to manage their information such as their game play score and their own game items. For the purpose of responding to the user requests in real time,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size of the database by separating the information of inactive users from the main database.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cost, the proposed method moves the information of the inactive users to the file instead of another secondary database system.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system environment such as CPU or memory, the proposed method depends on the response time to the user request rather than the last login time or the number of the user accounts. For the safety and consistency of the database, the proposed method utilizes a traditional RDBMS rather than NoSQL.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scape game Loony considering natural interaction. For user's immersion, the proposed game is designed similar to the real world such as a security card key, its card reader, coin, and a vending machine. In order for the user to easily understand the situation in the virtual environment, the proposed game provides enough information in game user interface. For easy operation, the proposed game reacts based on simple input method: mouse and just few keys on keyboar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oposed game and the user, we compare the proposed game with two previous escape games based on the observational evaluation and the questionnaire evaluation.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game is better than the previous games on the operation feeling and the situational awareness of the users.
향료 및 약용 수종으로 가치 있는 좀목형 (Vitex negundo var. insica)의 기내증식 기술을 개발하고자 3 년생 나무의 당년생 신초지로부터 채취한 신초의 기내 증식 및 발근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구명하 였다. 다경줄기 유도는 0.5-2.0 mg/L BA가 첨가된 WPM 배지에서 효과적이었고, 가장 많은 줄기 수 (7.9개/절편)는 1.0 mg/L BA 농도에서 얻었다. 줄기 생장은 WPM 기본배지에서 1-2개의 우세 줄기로 자 라는 특징이 있었고 길이는 3.4 cm 정도이었다. BA 2.0 + GA 0.5 mg/L 혼용처리는 증식과 더불어 생장 을 촉진하는 효과를 보였다. 줄기 증식 시 처리된 생장조절제는 차후의 발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전반적으로 BA 처리로 유도된 줄기는 차후 발근도 잘되었으나 고농도 BA 처리 (4.0 mg/L)는 발근 을 억제하였다. 저농도의 TDZ 처리도 BA 처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0.5 mg/L 농도로 유도된 줄기 는 발근이 현저히 억제되었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 유도된 줄기는 전혀 발근되지 못했다. 증식 시 BA에 IBA를 혼용처리하면 증식은 물론 차후의 발근에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약용가치가 뛰어난 좀목형의 기내배양을 통한 효율적인 증식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 of investigations pertaining to the development of links between unit modules of the floating type photovoltaic energy generation system made of Pultruded FRP. Since the FRP has an excellent corrosion-resistance and high specific strength and stiffness, the FRP material may be highly apprecia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floating type photovoltaic energy generation system. we discussed the development concepts of the link between unit module of floating type photovoltaic energy generation system made of PFRP, tire, and synthetic fiber, briefly. The floating type photovoltaic energy generation system linked between unit modules is installed successfully at sea site.
Korean sluicing requires the use of a copular ita ‘be’ unlike English. In explaining such a peculiarity, a (pseudo-)cleft analysis has strongly been proposed that Korean sluicing is derived from a cleft construction, rather than from TP-deletion. In order to examine the plausibility of the cleft analysis, this paper, based on the experimental syntactic method, explores acceptabilities of Korean sluicings, which were designed to vary depending on the three factors, such as the presence or the absence of a correlate in an antecedent clause, of the overt subject kukey ‘it’ in a following clause, and finally, of a case marker on a remnant. 110 participants were told to judge 64 sentences (including filler sentences) and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was performed using SPSS (ver, 25.0). The experiment result shows that the acceptability becomes significantly higher when a correlate and a case marker on a remnant occur enough to ameliorate island effects. Also, the presence of the subject kukey ‘it’was found to have an effect to facilitate parsing. These suggest that the uniform cleft analysis cannot account for the various types of Korean sluicing, rather necessitating non-uniform analyses for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예비학교의 운영 실제를 드러냄으로써 다문화예비학교 정책의 집행자와 수혜자가 인식하는 다문화예비학교의 성과와 과제를 밝히는 데 있다. 중도입국청 소년의 증가에 따라 다문화예비학교의 수는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현저히 적으며, 특히 중학교급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예비 학교를 직접 운영하는 서울의 공립중학교에서 1년 동안 교사와 학생을 참여관찰하고 심층 면담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예비학교 성과를 밝혔다. 연구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예비학교의 성과는 본 정책이 중도입국학생을 위해 효과적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는 것과 다문화 학생들에 대한 책임감이 증대되었다는 것 이다. 또한, 예산지원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이 증가하였다 는 점도 중요한 성과로 인식된다. 학생의 경우 학생 집단의 동질감에서 오는 안정감과 다양한 한국문화 체험 학습의 경험을 중요한 성과로 보았다. 또한 일반반 입급을 통한 다양한 교과학습과 새로운 교우관계로 인한 한국 학교에의 빠른 적응 또한 성과로 언급하였다. 반면, 교사들이 인식하는 과제는 자원의 부족, 과도한 업무량 등이 있으며, 학생들이 인식 하는 과제는 소규모 운영으로 인한 좁은 교우관계, 일반반 입급에 대한 불안감과 부적응 등이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예비학교에 .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다문화예비학교에 참여한 교사와 다문화 학생 중 일반반 입급에 성공한 학생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이후 연구에서는 일반학생의 인식과 다문화예비학교 초입에 있는 학생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기 를 바란다. 이 연구의 결과가 향후 다문화예비학교 정책 확대에서 실제 운영 자료로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otentilla kleiniana is a perennial herb beloning to Rosaceae family. Herei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ight intensity, light quality and chemical elicitor on plant growth and the accumulation of bioactive compounds in P. kleiniana. After 60 days of cultivation under different shading level [0% (200 μmol·m -2 ·s -1 ), 35% (95 μmol·m -2 ·s -1 ), 55% (65 μmol·m -2 ·s -1 ), 75% (40 μmol·m -2 ·s -1 )] in the greenhouse,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 were the highest under 35% treatment, however, plant height, leaf number and biomass were the highest under non-shading. As a result of cultivation among strong light condition as a control, florescence and three mixture light sources [red:white:blue (RWB) = 8:1:1, red:blue (RB) = 8:2, red:green:blue (RGB) = 8:1:1] as treatments in plant growth chamber (25 ± 2℃, 185 ± 3 μmol·m -2 ·s -1 ), growth, biomass, chlorophyll content low difference between total phenolic compouds and flavonoid content were higher under RWB treatment. DPPH radical elimination ability was the highest under all treatments especially florescence and RGB treatment except control. As a result of treating chemical elicitor [salicylic acid (SA), methyl jasmonate (MeJA)] concentration (0, 50, 100, 200 μM) respectively, plant height, petiole diameter and biomass were higher under non-treatment, MeJA 50 μM. It was investigated tha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under MeJA 50 μM treatment were especially a little high.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 content of SA 50 μM treatment was the highest but DPPH radical elimin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under MeJA 200 μM (88.65%) and MeJA 50 μM (87.84%) treatment.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determined optimal shading and light quality in the greenhouse and plant growth chamber also confirmed bioactive compound content, antioxidant ratio increase according to different chemical elicitation concentration.
지난해 세월호 침몰 등 대형안전사고 등을 계기로 혁신적인 안전대한민국 건설에 대한 국민적 이목이 집중되고 되고 있는 가운데 각종 재난의 예방을 위한 기존장비의 고도화와 함께 ICT 활용한 첨단장비와 각종 센서활용, 그리고 지능형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감시체제 구축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게다가 국민의 재산과 안전을 보호하는 공공재 성격의 재난안전정책에 있어서 개인·기업 등 수요자에 의한 융복합형 안전관련 기술과 서비스의 개발 및 보급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실례로 국가안전대진단(‘14.9~), 안전혁신마스터플랜(’14.12~), 재난대응 과학기술 역할 강화와 실천전략(‘14.12~) 등 정부가 발표한 국가 재난안전대책에서도 첨단기술을 활용한 재난대응의 선진화 내용이 대폭 강화되고 있다. 관련하여, 지능형 CCTV에 대한 이슈도 이와 연관되어 최근에는 미래부를 중심으로 그간의 미진했던 정책적 걸림돌을 해소하고 재원마련과 유관기관, 지자체 확산에 대한 정책적 대안마련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ICT 기반의 재난안전대책 가운데에 기능형CCTV를 중심으로 하는 재난대응 선진화방안과 시너지 창출방안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특히, 기존에 애매하게 규정되어있는 지능형 CCTV 개발, 적용, 활용에 대한 정의와 범위를 규정하고, 지능형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요소기술의 현황과 개선점, 영상 DB구축의 중요도, 기술 신뢰도 확보를 위한 시험인증절차 수립과 표준화 등 재난안전 관리에 있어서 지능형 CCTV의 효율적 접목방안에 대한 고찰을 소개한다. 또한,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재난안전 산업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국내외 산업계 요구사항을 조사·분석하고 국내 CCTV 산업의 도약과 실용성 있는 R&D 추진을 위한 영상DB 구축, 선진국형 인증·표준화 방안의 검토와 국내 적용방안에 대한 검토결과를 소개한다.
This paper identifies two types of 'uy', which has been called an adnominal particle in Korean, and presents a syntactic analysis of them. The particle 'uy'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genitive marker 'uy' and modificational marker 'uy'. The former, realized as structural Case, attaches to an argument noun phrase of referential semantic type. In contrast, the latter has a function of attributive modification, whereby combined with a non-argument noun phrase of property semantic type. Genitive marker 'uy' is licensed at the Spec of DP position, whereas modificational marker 'uy' occupies an NP-adjunction position. This paper also discusses so-called compound nouns, in which 'uy' is not allowed to intervene. Those constructions are shown to have properties as syntactic products and to have type interpretations of head nouns.
본 연구는 심비디움의 배수성 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서양란 심비디움 품종인 C. Mystery Island ‘Silk Road’를 자가수분하여 얻은 선발계통(Silk Road-4)의 생장점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PLBs(Plant like bodies)에 뾰족한 핀셋으로 10회 찔러 상처를 준 후 oryzalin을 3, 5, 10, 20mg L⁻¹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3, 6. 9일간 진탕처리하였다. 모든 처리농도에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수화의 정도 는 4배체 뿐 아니라 2배체와 4배체, 4배체와 8배체의 혼수체, 기타 염색체키메라도 처리에 따라 나타났다. 그중 10mg L⁻¹ 농도로 3주간 처리했을 때와 20mg L⁻¹ 농도로 1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12.5%로 가장 높았으 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0.27로 나타났고 3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현빈도가 4.5%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0.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콜히친의 경우 50, 100, 300, 500mg L⁻ ¹ 농도로 1, 2, 3주 처리하였다. 그중 300mg L⁻¹ 농도로 3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25%로 가장 높았으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0.13로 나타났고 50mg L⁻¹ 농도로 1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현빈도가 13.8% 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3.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수화가 된 식물은 2배체 식물보다 생육이 더뎠고 잎의 길이는 짧은데 비해 넓이가 넓고 두께가 두껍게 나타났으며 기공의 크기는 2배체 식물에 비해 커지고 면적당 기공의 수는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