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여 간이식 구조에서 활용되는 시저스 전개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입면상의 곡률변화 방법을 고찰하고 그에 따른 구조특성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시저스 구조의 입면상 곡률과 시저스부재의 내부절점 편심거리와의 관계를 식과 그래프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시저스부재에서 내부절점 편심거리를 조절하여 곡률을 변화시킬 수 있는 해석모델을 고찰함으로써, 곡률변화에 따른 시저스 구조부재들의 구조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고찰된 구성방식에 근거하여 실 모델을 제작하고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실제 전개가능성을 검토하였다.
The unpleasant air quality surrounding Incheon airport highways which is called gateways of Korea is caused by various odor emission sources such as Sudokwon landfill and Seobu industrial complex. In this study, the air quality near Incheon airport highways was investigated. Odors could be confirmed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Sudokwon landfill and Jumul industrial complex, and hydrogen sulfide and acetaldehydes was detected regionally. Based o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manage odor controlled regions and to provide the more information to make more pleasant air quality in the studied area.
나노입자란 직경 100nm 이하의 크기를 가진 입자로 가전, 기능성 화장품, 반도체, 항균제 및 광촉매제 등에 널리 사용되어 있어 본 연구는 9종류의 나노입자가 참굴 수정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나인입자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인공 수정한 참굴 수정란의 78%가 D형 유생으로 발생하였다. 은(Ag)이 2% 함유된 AGZ020, Nano silver 및 P-25의 나노입자와 주석산화물인 SnO의 나노입자는 24시간 경과 후 0.05ppm 농도에서 각 각 22%, 52%, 58% 및 76%가 D형 유생으로 발생하였으나, 20ppm 농도에서 8시간 이내 참굴 수정란을 모두 파괴하였다. In, Sb, Sn, Zn 및 Ag-TiO2의 나노입자는 24시간 경과 후 0.05ppm 농도에서 모두 70%이상의 D형 유생으로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에서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ppm 농도에서 대조에 비해 D형 유생 발생율이 각 각 57%, 60%, 50%, 65% 및 64%로 저해되었다.
곰피추출물의 CCD-986sk cell line monolayer (human fibroblast, KCBL-21947)에 대한 피부세포 생리활성효과를 측정하고, 또한 곰피추출물의 Clone M-3 mouse melano-cyte cell line에 대한 melanin formation 저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in vitro레벨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곰피는 다년생 갈조류의 일종으로 이 종은 한국 연안해역에서 중요한 1차생산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Korean fire-bellied toad)는 양서강 개구리목 무당개구리과 무당개구리속(Class Amphinia, Order Anura, Family Bombinatoridae Genus Bombina)의 무미양서류이다. 소형으로 행동이 느리고 온순하여 취급이 용이하며 실험모델로써 많은 장점이 있으나 번식기를 제외한 개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시료확보의 난점으로 무당개구리의 계절번식 특성에 대한 연구는
Survey on the food intake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the elerly over 65 years old living in Damyang Jeonnam was performed and meal menus for the pavillion were developed using local products. Allowance of the elderly less than 100,000 won was 45%. The local products of the area recognized by the elderly were bamboo shoot (30%) > bamboo (22.5%) > bamboo basket (12.5%) > do not know (15%) > green tea (10%) > rice(7.5%) > vegetable. In dental health, 52.5% of them had bad condition but 62.5% did not use denture at all. The most favorate foods were Korean (92.5%) and Chinese and Japanese were favored by 5%, and 2.5%, respectively. In percentage of eat-out and use of instant foods, 42.5% of them answered that eating-out chances were very rare and 62.5% answered that they do not use instant foods at all. Potassium intakes for the male and female elderly were significantly very low with values of 2579.2 mg and 2601 mg, respectively (p < 0.05). Calorie intakes for men were 1678.5 kcal, which was only 84% of RI and 1470.8 kcal for women (92%). Shortages of nutrition including calcium intake and others were very serious and the meal was not nutritionally balanced based upon the study of GMDFO. The menu for the elderly in busy farming season of the area were developed with the use of local products and the information from the study.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동부의 의성분지 내에 위치하는 화산칼데라 지역을 대상으로 지구물리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원격탐사를 통한 전체적인 구조 특성을 분석한 후에 정밀한 3차원 포텐셜 해석을 수행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수치지질도 및 DEM 자료와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 지역의 선구조를 분석하였다. 선구조 분석 결과는 선행 연구결과와 상당히 잘 부합되었고, 남-북 방향과 남동-북서방향이 가장 우세함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단계로, 선구조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의성분지 전체 지역에서 조밀한 중력탐사 자료를 획득하였고 항공자력탐사 자료와의 복합 해석을 통해 광역적인 칼데라의 구조를 조사하였다. 파워 스펙트럼 기법을 이용한 분석 결과, 의성 분지 하부는 개략적으로 2개의 밀도 불연속면 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첫 번째 불연속면의 심도는 약 1 km로 칼데라 지역 내에 존재하는 화산쇄설성 퇴적암의 심도나 화산칼데라의 ring vent 위치에서 관입하고 있는 관입암의 심도로 판단되며, 두 번째 심도는 약 3-5 km로 분지기반암의 심도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3차원 중력역산을 실시한 결과 남서쪽의 백악기 팔공산 화강암과 북동쪽의 불국사 관입암류에 의한 저밀도체가 나타나고, 화산칼데라 중앙부 부근에는 화산쇄설성 퇴적암류 또는 칼데라 형성 과정에서 침강된 상부의 퇴적층으로 해석된 퇴적층이 주변보다 낮은 밀도를 가지며 하부로 약 1.5 km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포텐셜 자료는 그 특성상 수직 분해능이 양호하지 못하므로, 수직적인 발달 특성을 갖는 칼데라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동일 지역에서 이루어졌던 자기지전류 탐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해석을 수행하였다.
Dietary behavior of the elerly over 65 and local products in Yeongi Chungnam were studied during busy farming season and meal menu was developed based upon the information surveyed. In allowance, 45% of them lived with less then one hundred thousand won but 95% had their own residence(P<0.001). The dental health conditions of the male and female elderl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had tendencies of bad conditions with 68% and 80%, respectively. Percentage of using denture at least one side was only 48%(P<0.05). Meal preparation was mostly done by 75% of the female elderly and only 64% of the elderly in the area took meals regularly. Recommended intakes(RIs) of calorie, protein, dietary fiber, calcium for the elderly were significantly very low(P<0.001), but those of sodium were high(P<0.05). Meal menu was developed for the meal service introduction in the pavilion of the elderly with considerations of the food habits, nutritional status, and local products studied.
태풍의 바람장 모사를 위해서는 최대풍속반경 자료가 필수적으로서 태풍의 바람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의 압력 형상 분석을 통하여 최대풍속반경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최대풍속반경을 검토하기 위해서 Batts 바람장 모형에 적용하여 도출된 모의 풍속과 관측 풍속을 비교하였고, 태풍 시기에 관측된 76개소 관측 풍속의 거리 분포에 따른 풍속 분포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압력 형상 분석 을 통한 최대풍속반경이 JTWC 태풍 기록에 제시된 최대풍속반경보다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공간그리드의 조형요소로서 3차원 유닛의 역할과 구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간그리드와 3차원 유닛의 상호관계와 역할, 유닛의 유형 및 구성방식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파악된다. 또한 각각의 형태적 특성 및 조합이 공간그리드 전체의 형상에서 드러내는 효과를 확인하여 전반적인 형태구성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general, reliability of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depends on pairwise comparison of evaluators. In addition, human judgment on the importance of alternatives or criteria is always imprecise and vague. To cope with these shortcomings, Fuzzy AHP
As a pa rt 0 1' the effort to develop a suitable scaffold for tissue-engineered bone regene ration, we modified calcium metaphosphate(CMP) ce ramic with 5 mol% Na20 or K20 to improve t he biodegradability and evaluated their effi ciency as a biodegr adable scaffold for ti ssue-engineered bone regeneration. The macroporous αiIP ceramic blocks incor porated with 5 mol% Na20 or K20 were prepa recl to have average pore size of 250 um in an inte rconnectecl framework structure The influ e nce of inco r pora tecl 5 mol% Na20 or K20 on cytotoxicity‘ cellular attachmont and t heir clifferentiation was evaluated by in vit ro analyzing sys tern. res pectively. The bioclegradability, histocompatibility, and osteogenic effect by cell-scaffolcl co nstruc ts were evalua ted by im plantation of them into subcutaneous pouches of SD-rats 0 1' SCID ITllce The incorporation of 5 mol% Na20 or K20 causecl clecrease of compressive strength without improving of biodegr adabili ty . The moclifi ed scaffolcls revea led no cy totoxic and excell ent biocompatability but osteogneic effect was recluced compa red to pure CMP ce ramic porous blocks . These res ul Ls s ugge::;t tha t the incorporation of 5 mol% Na20 0 1' K20 into pure CMP is not effective for improv ing effï ciency 0 1' scaffolcls fo1' tissue-engineered bone regeneration in terms of bioclegradabi li ty‘ physical s trength . a ncl osteogenic rege ne ra tive effect
본 논문에서는 구조건전성모니터링(SHM)시스템이 설치된 케이블교량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동적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사용한 모드해석을 통해 모드변수를 추출하였다. 이를 교량에서 측정된 상시진동신호에 대해 주파수영역에서 분석한 고유진동수와 비교하여 정확한 기저모델이 구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난 5년간의 고유진동수와 온도를 통계분석하여 고유진동수가 온도에 선형 반비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온도효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상시진동신호를 시간영역에서 TDD기법을 적용하여 모드형상을 추출하였으며, 모드해석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케이블교량에 적용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design and reflect to the future naturalization of the urban rivers by using the literatures, field survey results and aerial photography of Milyang River as the case regarding the effect of physical factors of urban rivers on landscape, defining those factors as Sammon fine forest, outdoor stage, Youngnamlu, RC stadium, stroll roads and bicycle roads, artificial island, outdoor swimming pool and sculpture park, and by suggest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ccording to those factor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to understand the users' satisfaction and attribute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appli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 calculation were used to find out the citizenship and perception toward the physical factors, and paired-sample T test to compare the average.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물의 구조와 형상에 대한 접근방식을 다변화하는 매개로서 다면체를 탐구하고, 건축구조 디자인 요소로서 그 형태구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계와 건축물에서 드러나는 다면체 형태를 살펴보고, 순수 래티스 다면체로 고찰 대상을 한정하여 그 형태학적 특성을 파악한다. 이를 토대로 건축구조 디자인 요소로서 다면체를 공간적 형태구성에 활용하는 방식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