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된 인삼분말로부터 1 종의 세균을 순수분리하여 API kit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은 직경 0.6-1.0㎛, 길이는 1.2-3.0㎛ 이었고 세포표면에 편모를 가진 간균이었다. 분리균은 β-galactosdase, arginine dihydrolase, ornithin decarboxylase를 가지고 있으며 탄소원으로 citrate를 이용할 수 있지만 H_2S는 생성하지 못하였다. 또한 glucose, manitol, sorbitol, rhamnose, sucrose, melibiose, arabinose 등의 당 및 amygdalin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이상의 API kit를 이용한 생리적 특성분석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형태적 특성 관찰결과에 의해 본 균주는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에 속하는 Enterobacter sp로 동정되었다. 한편 분리균주 Enterobacter sp.의 생육에 미치는 인삼사포닌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사포닌은 농도의존적으로 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사포닌을 0.05, 0.5, 2.0, 4.0% 첨가하고 38℃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사포닌 비첨가군과 비교한 결과 균의 상대적 성장률은 각각 75.0, 37.5, 7.5, 0.5%로 나타났다. 사포닌의 미생물 생육 억제작용은 비교적 고농도인 4.0% 사포닌 첨가시에도 초기의 6.0×10^6에서 2.0×10^7 CFU/g으로 완만한 증가경향을 나타내어 사멸작용보다는 정균작용일 것으로 추측된다.
Human factor를 고려한 콘택트 렌즈에서 UV-A, UV-B 선 차 l잔 효융을 평가하기 위해 투과율에 의한 가시광 영역 Iuminance와 luminance에 의한 동공크기를 분석하였 다. Lur띠nance(L)에 따른 동공크기 (φ) 는 φ=d-e . tanh(f . IogL)로 주어지고, 동공 크 기 (r) 에 따른 투과효용은 Tr(r)=1-gr2 +hr4으로 human factor가 주어진다. 320-4oonm 파장 영역인 UV-A에 대한 절대 차단 효율 a와 제거 지수 b=(l-a) x 100%를 유도하 였다. RGP, CL(A), CL(m 둥의 sample에서 UV-A 에 대한 a 값은 0.91, 0.93, 0.90이며 b 값은 9, 7, 10 이었으며, UV-B 에 대한 a 값은 0.84, 0.95, 0.97 이며 b 값은 16, 5, 3 이었고, UV-C 에 대한 a 값은 0.17, 0.35, 0.42 이며 b 값은 &'3, 65, 58을 각각 얻었다.
고도로 산업화된 오늘날의 시장경제 체제에 있어서 경제비용의 절감은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차원의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물류부문의 개선을 통한 물류비용의 절감과 물류서비스개선 및 이윤창출은 국가경쟁력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하겠다. 특히, 물류처리면에서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항만물류의 경우 그 어느 때보다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이 우리 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권내의 국가들은 수출입화물의 원활한 처리 및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발생시키는 항만물류에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이며 투자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경쟁국간의 항만물류 현황을 조사하고, 실제 경쟁을 주도하는 구성요소를 파악하며, 파악된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경쟁력을 평가해 봄으로써, 다양한 개선방안을 강구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크게 항만물류능력의 평가구조를 획득과정과 획득된 평가구조에 알고리즘을 적용시켜 해를 구하는 과정으로 나뉘어져 있다. 평가구조 획득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평가세부속성에 KJ법을 적용시키는 절차를 따랐으며, 적용결과 평가의 구조는 대표속성을 중심으로한 다속성·다계층구조(Multiple Attributes·Multiple Hierarchy Evaluation Structure : MAMHES)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알고리즘적용 부문에서는 다속성·다계층구조를 평가할 수 있는 계층퍼지분석법(Hierarchical Fuzzy Process)을 도입하여 평가알고리즘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평가알고리즘을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한 실제 경쟁국에 적용한 결과 국가별·항만별 경쟁력 및 순위를 획득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size discrete optimum design algorithm which is based on the GAs(genetic algorithms). The algorithm can perform size discrete optimum designs of space trusses. The developed algorithm was implemented in a computer program. For the optimum design, the objective function is the weight of space trusses and the constraints are limite state design codes(1998) and displacements. The basic search method for the optimum design is the GAs. The algorithm is known to be very efficient for the discrete optimization. This study solves the problem by introducing the GAs. The GAs consists of genetic process and evolutionary process. The genetic process selects the next design points based on the survivability of the current design points. The evolutionary process evaluates the survivability of the design points selected from the genetic process. In the genetic process of the simple GAs, there are three basic operators: reproduction, cross-over, and mutation operators. The efficienc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discrete optimum design algorithm was verified by applying GAs to optimum design examples.
개의 인공수정에 사용할 정자의 보존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동결속도와 응해 온도를 설정하여 적절한 동결방법을 정립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동결의 방법에 있어서는 액체질소의 표면으로부터 17 cm 높이에서 동결하는 -3/min의 동결속도로 실시하여 37에서 2분간 응해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생존성과 운동성에 있어서의 차이는 없지만 첨체의 intact한 비율은 약간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의 보완을 위해, 액
본 연구는 최근 형질전환동물의 생산 및 복제동물 생산에 이용되고 있는 핵이식 기법을 시행할 때 재조합된 핵이식란의 활성화를 위해 널리 적용되고 있는 6-dimethylaminopurine (DMAP)의 활성화 효율과 근래에 제기되고 있는 단위발생란의 비정상적인 염색체 및 핵형에 대해 알아보고 적합한 활성화 유도물질을 찾고자 시행되어졌다. 도축장 유래의 난소에서 채란한 난자를 10% 거세한 수소혈청이 포함된 TCM-199배양에서 22시간동안 체외 성숙을
2000년 춘계에 한국 농촌지역인 충남 서산에서 대기부유분진(SPM)과 곰팡이포자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부유분진의 농도는 1차 황사기간(3월 23-24일)에 199.8μg m-3, 2차 황사기간(4월 7-9일)에 249.4μg m-3, 비황사기간(5월 12-6일)에 98.9μg m-3으로 각각 나타났다. 2회의 황사기간들간에 부유분진 농도는 차이를 보였지만 5μm 정도의 입경 크기를
We tes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AO Medium Dispersion Spectrograph (MDS) such as the CCD capabilities, wavelength shift by gravity direction variation, slit illumination function and efficiency. Then we calculated the appropriate exposure time to obtain the given S/N ratio for several given magnitudes. Also the remaining problems to be improved were discussed.
Artificial insemination (AI) with frozen or cooled semen is widely used in commercial fields of cattle and pig. Little is known about characteristics of canine sperm after freezing or cooling. For both practical and commercial goal, the canine semen treated with cooling and freezing should be carried out to exam the fundamentals, including sperm motility, survivability and fertilizing capacity. The aim of this study, thus,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xtended exposure to 4 on canine semen by motility, survivability, acrosomal changes following different duration. Fifteen ejaculates collected by digital manipulation twice per week from 3 dogs (Shih-Tzu) were divided to 16 aliquots after adding Tris-egg yolk (TE) buffer formulated by our laboratory, and cooled from 37 to 4, by ramp rate of 0.6/min. Each sample was evaluated by their motility, survivability and the acrosomal status at 0h (control), 2h, 12h and 1 d~10 d, respectively. The motility of spermatozoa was graded to 6 levels using the modified method of Seager. The survivability of sperm was assessed using an epifluorescence microscope after Fert/Light (Mole-cular Probes Inc.) staining. To estimate the proportion of the spermatozoa of intact acrosome, 200 spermatozoa were assessed in randomly selected fields, using epifluorescence microscope after FITC/PSA (Sigma) staining. At 2 h after cooling, the motility of most spermatozoa were assessed to be grade 0 and 1. At 12 h, high number of sperm were in grade 0 to 1,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at of 2 h. From 1 d to 4 d, ~50% of sperm was assessed to grade 0 to 1. On day 7, a little sperm were in grade 0 to 1. No sperm showed motility on day 10. Sperm motility was rapidly reduced by the percent of 10% of grade 0 to 1. From 2 h to 6 h, the number of live sperm was 90% and the sperm chilled for 10 days lived>50%. Acrosomal intact of spermatozoa exposed to 4 for 2 h was 51%, supposed the sperm of control was 100%. Our results suggest that 1) this is easy to transfer and preservation for short periods 2) AI can be used by semen chilled for 6-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GTC)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GTC showed the high SOD activity, whil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eroxide value of linoleic acid (93%) and lipid petoacidation (84%) from rat liver microsomal fraction induced by Fe^(2+)/ascorbate system. The effects of GTC on the SOD and catalase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after oral administration were investigated. GTC (50 mg/kg) significantly increased SOD (62%) and catalase activities (75%), whil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ipid peroxidation (52%) of rat liver microsom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GTC has the antioxidative effect which i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aging and canc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whether sperm contain a factor inducing second polar body extrusion and to search for an effective collection method of the sperm factor Thus, sperm extract, dialyzed sperm-extract or liquid chromatographic fractions of sperm extract was microinjected into ovulated oocytes. And the microinjected oocytes were incubated for 24 hours to investigate about the extrusion of second polar bod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Sperm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cond polar body extrusion. 2. Sperm extract showed five major fractions at retention volumes (RVs) 1.25, 1.37, 1.84, 2.10 and 2.67ml after separation with Superose 12 column. These sperm extract fractions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second polar body extrusion. 3. Dialyzed sperm-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cond polar body extrusion 4. Dialyzed sperm-extract showed three maior fractions at RVs 1.88, 2.14 and 2.77ml after separation with Superose 12 column. Of these fractions, the fraction RV2.14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cond polar body extrusion. In conclusion, sperm extract contained a factor inducing the second polar body extrusion and the factor was contained largely in fraction RV2.14 after dialysis and liquid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of sperm ex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