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류의 검역해충에 사용되는 methyl bromide(MB)를 대체할 수 있는 후보 물질이다. 우리나라의 수출용 단감 수확과에 잔존하는 해충을 박멸하기 위한 MB 대체용 훈증 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단감 잔존 해충에 대한 EF의 훈증효과를 검토하였다. 25±1℃ 에서 훈증용 desiccator에 여름형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를 넣고 EF 18.7, 24.7 mg/L(vapormate 112, 148 mg/L)의 농도로 6시간 처리하였다. 처리 후 한 시간 동안 환기시킨 다음 25±1℃ 16L:8D의 조건에서 보관하며 24, 48시간 후 살비율을 조사하 였는데 24시간 후 두 처리에서 모두 100%의 살비율을 기록하였다. 또한 15±1℃에서 desiccator에 단감을 0, 30% 채우고, 점박이응애의 알과 월동형 성충에 대하여 EF 16.9, 23.3, 35.3 mg/L(vapormate 101, 140, 212 mg/L)의 농도로 6시간 처리하였다. 처 리 후 한 시간 동안 환기시킨 다음 점박이응애의 알은 25±1℃ 16L:8D의 조건에서 보 관하며 5일 후 부화율을 조사하였고, 월동형 성충은 동일 조건에 보관하면서 24, 48 시간 후에 살비율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단감은 1±1℃에 보관하며 7, 14일 후 에 약해를 조사하였고, 처리 15일 후 단감 꼭지 속에 있는 잔존해충들의 살충율을 조사하였다. 점박이응애의 알은 모든 처리에서 100% 살란되었다. 월동형 점박이응애 성충에 대한 살비율은 30%의 용적율, EF 16.9, 23.3, 35.3 mg/L(vapormate 101, 140, 212 mg/L)처리에서 각 12.2, 26.7 46.7%이었다. EF를 처리한 단감에서 약해는 발생하 지 않았다. 처리된 단감 꼭지에서는 감나무주머니깍지벌레, 점박이응애, 톡토기 등이 발 견되었으며 EF 16.9 mg/L(vapormate 101 mg/L)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100%의 살 충율을 나타내었다. 색도, 반점, 무름 등의 약해를 처리 후 5주 동안 일주일 간격으 로 조사하였고, 처리 5주 후에는 경도를 조사하였다. 모든 약해조사에서 약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EF는 월동형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방제효 과가 떨어지지만 점박이응애 알과 여름형 성충 및 기타 단감 잔존 해충에 대해서는 살비 및 살충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EF를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명 존중, 인도주의, 박애 정신 등의 용어들은 우리가 너무나 흔하게 듣는 단어들이다. 풍자개의 그림이 놀라운 것은 이런 주제를 그림에 나타냈다는 사실 때문이 아니라, 평범한 일상사나 흔히 보이는 주위의 사물을 통하여 보통사람은 생각지도 못하는 놀랍고 새로운 점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자신들이 무심코하는 일상 행동에 살생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인간들은 잘 모른다. 무생물들의 표정, 나비 무덤이나 기러기 무덤을 만드는 행위, 벌레 한 마리가 구두 밑에서 생사의 기로에 놓여있는 순간, 사람이 따려는 순간 눈물을 흘리는 과일, 똑같은 높이로 나뭇가지를 치는 행위 등등... 풍자개의 그림을 보면 동물은 물론 식물의 생명도 존중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살생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스님들처럼 채식을 한다하더라도 식물도 생명체다. 그렇다면 풍자개의 주장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할 것인가? 그가 주장하는 것은 다른 생물의 희생을 최소화시키고, 쓸데없는 과잉 살생은 막자는 것이다. 인간의 유희를 위해, 미식을 위해, 탐욕을 위한 살생이 잘못됐다는 것이다. 인간중심의 세계관 속에서 다른 생물에 대한 배려가 거의 전무하다면 이 지구의 생태계자체도 파괴될 수밖에 없다. 그것은 인간 자신에게 거대한 재앙으로 돌아올 것이다. 풍자개의 그림은 불살생의 메시지뿐만 아니라 현재 심각하게 거론되고 있는 환경파괴, 생태계의 위기와도 관련이 있는 것이다. 풍자개는 이러한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서 언어의 교묘한 사용, 그림의 다양한 내용과 다중적인 기법, 단순하고 신선한 충격, 글과 그림의 절묘한 조합 등을 사용한다. 풍자개는 언어를 구사하는 시인과 색채를 사용하는 화가의 재능과 자질로 시대를 뛰어넘는 작품들을 남겼다.
본 연구는 화양계곡의 훼손된 문화경관 및 자연경관 개선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속리산국립공원 화양계곡을 대상으로 화양구곡의 주요 경관특성 및 화양계곡 전체의 식생경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문헌 분석을 통해 화양계곡과 계곡 내 구곡의 경관원형을 분석하였다. 화양계곡의 경관원형은 여울이 있는 높은 산과 암반, 천연의 소나무군락 경관이었으며 구곡의 경관은 암반, 맑은 소, 소나무군락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대부분 식생발달에 의한 암반경관 차폐, 모래퇴적에 의한 소멸, 인공림에 의한 자연경관 훼손 등의 문제점이 분석되었다. 식생경관에서는 계곡 주변으로 은사시나무, 아까시나무, 잣나무 등 인공식생이 분포하여 자연경관 및 원래 화양계곡 경관과 이질적인 경관을 형성하였다. 화양계곡 및 구곡의 경관 관리는 조선시대 은일적 문화경관과 뛰어난 계곡 자연식생경관 보전을 목표로 하였다. 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구곡경관 관리방안으로 식생 및 이용자 관리를 통한 구곡 경관대상 부각 및 조망점 관리를 제안하였고 구곡의 배경이 되는 화양계곡 전체의 식생경관관리는 소나무군락 유지, 천이유도를 위한 인공림의 인공수종 제거 및 밀도관리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