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5

        1581.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tive activity of rice grain using 1, 1-Diphenyl-2-picrylhydrazyl(DPPH) and thiobarbituric acid (TBA) method and germination ability for screening rice varieties with high antioxidative activities on korean native and foreign rice varieties harvested in 1998 and 1999. The average antioxidative activity of foreign rice varieties (DPPH 63.5% and TBA 55.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ative rice varieties (DPPH 47.2% and TBA 45.6%) on varieties harvested in 1999. The promptness index (PI) of native rice varieties was higher in stored rices for three months (mean PI=160.7) than that of stored rices for a year (mean PI=141.6). On the other hand, the PI of foreign rice varieties was higher in stored rices stored for a year (mean PI=176.7) than that of stored rices for three months (mean PI=157.5). Varieties with high redness of hulled rice (a-value) showed significant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to DPPH in a stored rices for a year (r=0.5744** ) and stored rices for three months (r=0.5630** )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igments of hulled rice varieties may play important antioxidative roles and colored rice varieties with higher antioxidative potentials can be developed and also may provide information with rice breeder to breed rice variety with a high antioxidative activity for a rapid screening of a small amounts of a large number of samples using color value.
        1582.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CG는LH, FSH및 TSH와 같이 당단백질 호르몬에 속하고, 당쇄가 많이 첨가된 와 -subunits의 비공유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말에서 보다 다른 동물에서 FSH와 LH의 이중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아주 특이한 성선 자극 호르몬이다. eCG는 임신 40~130일 사이에 말의 자궁내막배의 영양막세포에서 합성ㆍ분비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CG, eLH 및 eFSH의 각각 subunits mRNA발현을 태반과 뇌하수체에서 분석하였다. mRNA의
        1585.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llelopathic potentiality of Korea traditional seventy-nine rice (Oryza sativa L.) cultivars on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P. Beauv. var. oryzicola Ohwi) and to identify possible allelopathic compounds from selected rice cultivars, such as Seogandodobyeo, Huadobyeo and Heugbalbyeo. In the straw mixture, Seogandodobyeo showed the greatest inhibition (67.07%) on total emergence percentage. The greatest inhibition on total seedling length and dry weight of barnyardgrass occurred in Huadobyeo (58.32 %) and Heugbalbyeo (81.20%), respectively. An HPLC analysis with nine standard compound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and compositions of allelopathic compound depend upon the cultivars. Four compounds including Ο-coumaric acid in Seogandodobyeo extracts, four compounds including p-coumaric acid in Huadobyeo extracts, and seven compounds including Ο-coumaric acid in Heugbalbyeo were detected, respectively. Ο-coumaric acid (0.97 mg/g) in Seogandodobyeo, p-coumaric acid (0.92mg/g) in Huadobyeo and Ο-coumaric acid (1.02 mg/g) in Heugbalbyeo was detected as the highest amounts, respectively. The preliminary identification by HPLC analysis resulted in peaks with retention times close to those of standards which were confirmed with EI/MS. The mass spectra of p-coumaric, and Ο-coumaric acids showed molecular ions (m/z) at 164 and 164, and their base peaks (m/z) at 164 and 118, respectively.
        1586.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ice-barley cropping systems, efficient utilization of barley straw is essential, both to improve the soil fertility and to conserve the environ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barley straw mulch rates in rice cultivation, a rice cultivar, 'Gancheogbyeo', was directly seeded on a no-tillage field synchronized with barley harvesting with five barley straw mulch rates, i.e., 0, 2.5, 5.0, 7.5 and 10.0 ton h a-1 and agronomic characters of rice and soil nitrogen were determined. The increasing of barley straw mulch rates. Dominant weed species, chestnut, occurred in large amounts in no mulching or lower mulch rates than in higher mulch rates. The content of N H4 + -N in soil applied with high barley straw mulch rates was lower during the month after seeding, and then it was higher at heading date, compared with lower mulch rates or no mulch plot. As the barley straw rate increased, maximum tillering stage was delayed, and plant height was reduced. Although the lodging of rice plants was seldom observed in all plots,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cul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ulch rate of 10.0 ton h a-1 . With an increase of barley straw mulch rate, the effective tillering rate and spikelet number m-2 decreased while ripened grain ratio increased. The rice grain yield was slightly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barley straw mulch rate,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all barley straw mulch r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yield loss although the total barley straw production, approximately 5.0 ton h a-l in the present study, apply in the paddy for the following rice cultivation by no-tillage direct seeding.ect seeding.
        1588.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알파파 꽃 추출물로부터 Allelopathy와 Autotoxicity에 관련되는 활성물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알팔파 꽃 200g을 80% MeOH로 추출하여 CHCl3 층을 silica gel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microcrystalline cellulose thin layer chromatography (MCTLC)와 droplet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DCCC)의 분획을 이용하여 생물검정을 행하고 DCCC의 생물검정에서 가장 억제력을 보였던 분획 5와 6은 HPLC로 활성물질을 동정하였다. HPLC분석 결과 분획 5에서는 ferul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rutin, narringin 이, 분획 6에서는 ferul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rutin, coumarin이 동정되었다. 이들 동정된 물질을 이용한 알팔파와 돌피에 대한 발아실험에서도 모두 알팔파와 돌피의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이중 coumarin의 처리가 가장 억제적이었다. 따라서 이들 물질이 알팔파와 돌피의 autotoxicity와 allelopathy에 관련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1590.
        199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온실과 포장에서 재배한 알팔파를 잎, 줄기, 뿌리, 꽃 부분으로 나누어 수확, 건조,하여 물 추출한 후 이 추출물들이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포장상태에서 자란 알팔파 지상부 전체를 수확,건조, 추출하여 이를 농도별로 처리 알팔파 발아율을 검정하였고, pot실험을 통하여 알팔파 품종간 biomass 분배율 검정과, 알팔파 autotoxicity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adsorbent로 처리하여 이들이 알팔파 독성성분을 변형시키는지를 검토하였다. 1. 온실과 포장에서 자란 알팔파의 추출물로 알팔파 발아 및 생육에 대한 영향을 비교한 결과 포장에서 자란 추출물질이 발아와 생육에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였고, 특히 포장에서 생육한 꽃 추출물 처리가 가장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2. 농도처리에 따르는 추출물 처리는 농도가 증가 할수록 발아율이 억제되었고, biomass분배율에 대한 pot실험에서는 LWR 과 SLA의 산물인 LAR은 품종간 유의성을 보였다. 3. 알팔파 추출물에 대한 absorbents처리는 추출물의 독성을 변형시키지 못하였다.
        1591.
        199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리한 보리호분층을 이용하여 (1-3)-β-glu-canase 와 (1-3,1-4)-β-glucanase 의GA3 에 대한 반응특성을 조사하였다 GA3 처리에 의해 호분충과 배양액 내의 단백질 함량, (1-3)-β-glucanase및(1-3,1-4)-β-glucanase 활성 등이 모두 증가하였다. 그러나 GA3 처리에 의한 효소활성 및 효소분비 증가 정도는 효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1-3,1-4)-β-glucanase 가(1-3)-β-glucanase 보다 효소활성 증가 정도와 분비증가 정도 모두 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아초기 (1-3,1-4)-β-glucanase 의 중요한 생리작용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1592.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alfalfa 와 vetch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실시 되었다.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영양생장기 때에 수확된 alfalfa 와 vetch를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고 또한 이들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하여 콩과 옥수수의 생육을 검토 하였고, 콩에 대해서는 근류균의 착생정도를 조사 하였다. 1. 발아시험에서는 롱과 옥수수의 발아율, 유근의 생장, 무게 등이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억제 되었으며, 최고 억제정도는 추출물 농도 20%에서 발생되었다. 추출물에 대하여 콩이 옥수수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alfalfa의 추출물이 vetch의 추출물보다 더 억제적이었다. 2. Alfalfa와 vetch를 silica sand에 혼합하여 콩과 옥수수의 간장, 엽면적, 지상부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콩의 간장, 업면적, 지상부 생육은 alfalfa처리에서 더 억제적 이었으며, 옥수수의 생육은 vetch 처리에서 촉진 되었다. 3. Alfalfa와 vetch처리가 모두 콩 뿌리혹의 형성을 억제시켰는데 alfalfa처리가 vetch의 처리보다 뿌리혹의 형성을 더 억제 시켰다. 4. Alfalfa와 vetch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옥수수보다는 콩의 발아와 생육에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므로 콩 재배의 경우에는 이들 잔기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1593.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포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velvetleaf등을 비롯하여 7종류의 잡초를 마른 상태와 생체상태로 각각 수확하여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물질을 추출 이들을 alfalfa 종자 발아와 생육정도 검정에 사용하여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억제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이 중 억제효과가 제일 큰 velvet-leaf의 추출물은 여러 농도로 silica sand와 혼합하여 alfalfa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토하였다. 1. 7종류 잡초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추출물 처리는 alfalfa의 발아율, 발아세,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을 억제시켰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억제효과를 비교하면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하부의 추출물 보다 더 큰 타감작용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velvetleaf 추출물이 가장 억제적이었고, crab-grass 추출물은 가장 낮은 억제 정도를 보였다. 또 alfalfa 발아와 유근의 생육에 대한 velvetleaf의 건조 추출물과 생체 추출물을 비교하면 건조 추출물이 더 억제적이었다. 2. 농도에 따르는 velvetleaf 추출물 처리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alfalfa 발아율,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억제되었다. 3. 건조된 velvetleaf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에서 잔기의 비율이 증가 될수록 alfalfa의 출현율과 생존율이 더 억제되었으며 그 정도는 잔기 비율 1%에서 가장 억제적이었다. 4. 잡초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alfalfa의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 하여 타감작용이 인정되었다.
        1595.
        197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전형적인 조숙성 재래종의 특성은 월동전에는 잎이 담녹색 광엽 직입이며 성숙시에는 화모이 짧고 직수이며 입중이 가볍다. 또한 내한성이 약한 재내종도 상기 조숙성 품종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한숙성과 약한 내한성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것으로 생각된다. 2. 강한 내한성과 관련된 특성은 않지 않으나 대체로 월동전에 포복형이거나 반포복형이며 엽색은 녹색 또는 암녹색을 띠며 협엽, 장간, 당숙인 경향이 있다. 2. 강한 내한성과 관련된 특성은 많지 않으나 대체로 월동전에 포복형이거나 반포복형이며 엽색은 녹색 또는 암록색을 띠며 협엽, 장간, 중숙인 경향이 있다. 3. 조숙성 집단에서 내한성이 강한 품종의 선발은 대단히 어렵고, 또한 매년 합리적인 내한성 검정을 실시하기란 극히 곤란하나, 본 내항성과 관련된 형질연구에서 중생인 재래종을 이용하므로서 내한성이 강한 품종이 선발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4. 중생이며 내한성이 강한 품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특성은 장망, 장수, 장립, 장간, 늘어진잎, 중간지엽폭 및 장, 중간화경장, 월동전의 반포복형 및 중간엽폭 등이며, 중생이며 내한성이 약한 지엽이 넓고, 월동전에 잎이 직입, 담록색, 광엽 등의 특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