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17

        152.
        2021.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iomyosarcoma is malignant mesenchymal tumor of smooth muscle and commonly encounter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dogs. However, primary canine leiomyosarcoma in oral cavity is rare due to lack of smooth muscle in the oral tissue. A 13-year-old, neutered male Poodle presented a hard and immobile mass on the left maxilla. Imprinting cytology from the mass as well as fine-needle aspirated cytology from the left scapular lymph node revealed predominant spindle cells met malignancy criteria of the tumors, including coarse chromatin, high N/C ratio, nuclear molding, macro/multi-nucleoli with cigar-shaped nucleus. Radiography of the skull showed lysis of the nasopalatine bone, and mineral radiopacity in the mass. Computed tomography showed soft tissue attenuating mass from the left incisor teeth to the left retrobulbar space with loss of nasopalatine bone and medial wall of orbit. Th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irregularly arranged malignant spindle-shaped cells with oval or elongated nuclei. The nucleolus is distinct and moderate cellular polymorphism is observed. Mitotic figures are occasionally observed. The tumor cells are positive to vimentin, desmin, α-smooth muscle actin when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and in Masson’s trichrome stain, tumor cells are stained as red. Overall, histopathologic exam and immunohistochemistry confirmed canine oral leiomyosarcoma. Because of the poor prognosis, the owner did not consent further treatment.
        4,000원
        15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tract mixture of C. wilfordii and P. umbrosa (IPLUS-CWPU) on bone growth in 4-week old young male SD rats. To confirm the effect of IPLUS-CWPU, we measured the length of bone growth plate, the ratio of proliferative zone to the length of growth plate and the expression level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1. The IPLUS-CWPU treatment shows a significant increase of tibial and femoral growth plate and the ratio of proliferative zone in growth plate. Especially, the length increased by 13.9% and 25.3% in the tibia and femur, respectively, in the high-dose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Moreover, the expression of IGF-1 gene in liver was upregulated in IPLUS-CWPU treated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PLUS-CWPU administration could increase the proliferative zone of bone growth plate in early developmental stage by upregulation of IGF-1 gene.
        4,000원
        15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 연구는 한국-미얀마 농업분야 개발협력(ODA)의 지속 가능성 강화 방안을 분석하기 위해 2001~2017년 시계열(time series)자료를 토대로 자기회귀분포시차 모델(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방법과 최소자승법(Ordinary Least Square, OLS)을 사용하였다. 2. 분석결과 1) 미얀마 농업 개발에 지원된 국제사회의 ODA, 한국이 지원한 농업 분야 ODA, 농촌 개발에 대한 한국 ODA 등의 변수가 미얀마의 농업 GDP에 긍정적으로 기여한 반면, 2) 한국 ODA는 가치사슬 분야 및 기술전수 분야에 미친 영향이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 분야의 지원 규모가 매우 작아 미얀마 농업발전에 미친 영향을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이 미얀마에 제공한 농업 ODA 중 농산물 생산 및 유통 분야에 대한 지 원은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의 영향을 나타 내었다. 3. 분석 결과 한국의 미얀마 대상 농업 분야 ODA는 선택과 집중을 토대로 미얀마 농업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농촌개발 분야에 장기적으로 지원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160.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밀폐형 토마토 재배 온실에서 광합성율 극대화를 위한 적정 탄산가스 시비 농도를 구명하고자 광합성 모델을 이용하여 잎의 최대 카복실화율(Vcmax), 최대 전자전달속도(Jmax), 열파괴, 잎 호흡 등을 계산하고 실제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다양한 광도(PAR 200μmol·m -2 ·s -1 to 1500μmol·m -2 ·s -1 )와 온도(20°C to 35°C) 조건에서 CO2 농도에 대한 A-Ci curve는 광합성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모델링 방정식으로 아레니우스 함수값 (Arrhenius function), 순광합성율(net CO2 assimilation, An), 열파괴(thermal breakdown), Rd(주간의 잎호흡)를 계산 하였다. 엽온이 30°C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Jmax, An 및 thermal breakdown 예측치가 모두 감소하였고, 예측 Jmax의 가장 최고점은 엽온 30°C였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다. 생장점 아래 5번째 잎의 광합성율은 PAR 200- 400μmol·m -2 ·s -1 수준에서는 CO2 600ppm, PAR 600-800μmol·m -2 ·s -1 수준에서는 CO2 800ppm, PAR 1000μmol·m -2 ·s -1 수 준에서는 CO2 1000ppm, PAR 1200-1500μmol·m -2 ·s -1 수준에서는 CO2 1500ppm을 공급했을 때 포화점에 도달하였다. 앞으로 광합성 모델식을 활용하여 과채류 온실 재배 시 광합성을 높일 수 있는 탄산시비 농도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