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suggests a procedure to define business process improvement (BPI) projects with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cause-and-effect chain. The procedure developed in this paper focuses on eliminating root causes of business problems resulted from abnormal events occurred in business process executions. First, we develop three criteria used to make clusters of the root causes where a cluster of root causes will be eliminated together by a BPI project defined based on the cluster. Second, we develop a method to formulate desired expectations from the BPI project. Also, we suggest a method to calcul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BPI projects that help a BPI organization determine priorities of them. We illustrate the procedure and the methods with some examples for the domestic mail delivery process in the postal service industry.
본 시험은 버섯 병재배용 배지 살균시 배지의 수분이 감소하는 정도를 조사하여 재배현장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버섯 종류별로 알맞은 수분함량은 배지의 입병량(가비중)에 따라서 다르다. 즉 느타리 병재배에서 배지의 건조중량(g)을 병의 부피(ml)로 나눈 값이 0.18일 때 배지의 수분함량은 68~70%, 큰느타리용 입병 배지의 가비중이 0.21일 때 배지 수분함량은 65~68%, 팽이버섯용 입병 배지의 가비중이 0.23일 때 배지 수분함량은 62~63% 정도라고 하였다(정 등, 2004). 이것은 살균후 배지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각 재배 농장에서 살균 전 수분조절 직후의 배지를 시료로 수집하여 운반하는 경우 변질되기 때문에 살균이 끝난 병을 가져와서 배지의 특성 조사를 해왔다. 따라서 살균 과정에서 배지의 수분은 얼마나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알아야 살균전에 배지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때 적용할 수 있다. 버섯 병재배에서 느타리, 큰느타리, 팽이버섯 등 버섯의 종류에 따라 배지재료의 종류 및 조성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알맞은 병내 배지의 3상(고상, 액상, 기상) 조건은 버섯종류 및 배지조성에 따라 다르다. 고상은 배지의 건조중량(g)을 병의 부피(ml)로 나눈 값에 대한 백분율(%)이며, 액상은 입병한 배지무게에서 건조중량을 뺀 값을 병의 부피로 나눈 값의 백분율(%)이고, 기상은 [100-고상-입상]의 계산 값이다. 따라서 병내에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배지재료의 종류 및 조성비율에 따라 다르게 입병되는, 배지의 건조무게와 수분함량은 부(-)의 상관을 갖게 된다. 배지의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배지 시료 일정량을 취하여 무게를 달고 80°C에서 24~48시간(시료 양에 따라 차이) 건조한 후 무게를 달아서 [(건조전무게-건조후무게)÷건조전무게×100]으로 계산한다. 그리고 입병된 배지의 건조중량은 [(입병 배지무게-빈병무게)×(100-배지수분함량)÷100]로 계산한다. 본 시험에서 버섯 병재배용 배지 살균시 병당 배지의 수분 감소량은 평균 17.4±4.9 ml로 10~22 ml의 범위이었으며, 감소율로 계산하면 평균 2.1±0.6%로 1.3~2.9%의 범위이었다. 살균후 배지의 수분함량 변화는 배지의 고상, 액상, 공극(기상), 살균기의 용량, 살균온도, 살균시간, 배기의 정도, 계절 등 많은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각 농장별로 배지조성이나 계절 및 살균방법, 살균기의 크기 등에 따라서 각각 배지의 수분감소량을 조사하여 배지제조시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해충의 개체군 모형은 방제대상 해충의 발생시기, 발생량 추정뿐만 아니라 새로 운 방제법 도입에 따른 영향을 미리 평가하거나,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발생양상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형의 작성은 모형의 범위와 구 조 결정(흐름도 작성, flow chart design), 기능적 단위모형 구성(모듈화, modulation), 수식화(매개변수화, parameterization), 단위모형의 종합 (종합화, integration) 등 의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진다. 모형이 완성되면 세 단계의 검정과정 즉 오류검증 (verification), 포장적합(validation),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 등을 거치게 되는데 다양한 기법들이 제시되었다. 수식의 선택 기준으로 결정계수, 잔차자승합 (residual sum of square) 등과 더불어 매개변수의 신뢰한계와 분산분석 통계량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매개변수의 숫자에 따른 수식의 적합도를 달리 평 가할 수 있는 AIC와 BIC(Akaike’s and Bayes–Schwartz information criteria) 통계 량도 유용하게 이용된다. 포장적합단계에서는 관측치와 예측치 간 추세선의 단순 비교를 비롯하여 정량적 통계량 비교로 발전하고 있다. 비모수적 카이스퀘어 검정 이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4분위값을 기반으로 한 t-검정 및 관측치와 예측치 간 상관계수 등이 활용되고 있다. 기타 민감도 분석 사례, 발육영점온도 추 정 온도범위 선택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discuss the obtained findings gathered from ultrasound screenings of the liver. After running diagnostic tests health, screens were then conduct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gained results. This data was then charted and used to strengthen our theorized hypothesis. From January 2013 to June 2013 a recorded 2906 people over the age of 20 visited Health Promotion Centers in various areas throughout Daejeon. Of those 2906 participants 1789 underwent screenings for abdominal ultrasonography; these participants as well as their ultrasound results were used as the bases of our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our baseline and the comparison of our results, we gathered case-controlled studies from various reputable sources. Both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tested to measure the following liver enzymes (AST, ALT, r-GTP, ALP, and etc.). Kidney functions were measured as well enzymes such as BUN, Creatinine, and Uric Acids levels were analyzed and recorded to see if any relationships existed between the levels documented in the liver and those in the kidneys. It was shown that the two primary causes of fat build up within the liver were significantly connected to obesity BMI(OR=4.14) and waist circumference(OR=3.88).
포장하부는 공용기간이 경과하면서 다양한 이유로 인해 지지력저하, 부등침하, 단차 등이 발생하고 이 는 포장의 파손으로 이어져 운전자들의 주행성과 안전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포장하부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시기에 유지보수를 실시하여 공용성을 유지시켜야 하는데 포장하 부를 평가하는 기법으로는 국·내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파괴 기법인 FWD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FWD는 포장구조진단기로 포장체에 하중을 가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수직처짐량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 치된 계측기에서 측정하여 하중과 처짐량의 관계를 분석하여 포장하부 상태를 평가한다. 하지만 FWD의 방향에 따라 동일지점이라 하더라도 포장하부 상태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명확한 규정 및 지침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ASHTO 98년도 설계지침에서 제시한 AREA방법을 이용하여 FWD 방향에 따른 포장하부 상태평가를 실시하였다. FWD의 방향에 따른 포장하 부 상태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 및 현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은 상용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였고, 유한요소모형은 토공부, 공동이 존재 하는 구간. 암거가 존재하는 구간을 모사한 뒤, 공동의 크기와 암거의 토피고, 노상의 탄성계수를 변화시켜가며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유한요 소해석 결과 토공부에서는 FWD의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유한요소의 경우 물 질을 균질한 상태로 가정하고 해석을 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공동이 있는 구간의 해석결과는 계측 기가 공동이 있는 곳으로 향하면 포장하부 상태가 불량하게 도출되었으며, 공동의 크기가 커질수록 FWD 의 방향에 따른 포장하부 지지력 계수의 차이는 커졌다. 이어 암거가 존재하는 구간에서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한 결과 암거가 존재하는 방향으로 계측기가 존재 할 경우 포장하부 상태평가가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강성인 암거의 영향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또한 암거의 토피고가 증가함에 따라, 노상의 탄성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FWD의 방향에 따른 포장하부 의 지지력 계수의 차이는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어 유한요소해석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국 내 상용중인 고속도로의 토공부와 암거부에서 FWD의 방향에 따른 포장하부 상태평가를 실시하였다. 토공 부와 암거부 현장은 각각 2곳씩 총 4군데이며 먼저 토공부의 경우 유한요소해석의 결과와 달리 FWD의 방 향에 따라 포장하부 상태의 결과가 서로 상이하게 도출되었으나 뚜렷한 경향은 찾을 수 없었다. 이는 시공 당시에는 엄격한 관리에 의해 시공이 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양한 이유로 인해 하부지반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암거가 존재하는 구간에서 FWD의 방향에 따른 포장하부 상태평가를 실시한 결과 FWD의 방향에 따라 포장하부 상태의 결과가 상이하게 도출되었으며 앞서 실시한 유한요소해석결과와 동일하게 계측기의 방향이 암거방향으로 향할 경우 포장하부 상태평가가 양호하게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FWD의 방향에 따라 동일지점이라 하더라도 포장하부의 상태가 상이하게 도출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추후 다양한 현장에서 추가적인 현장실험을 통해 데이터를 축적 할 예정이다.
The tap water plays a critical role in our daily life by providing clean water for drinking as well as for residential use. Its importance, however, is often hidden and criticized in mass media because drinking the unprocessed tap water as a primary source of drinking water is very low comparing to other countries. This is because survey tool in Korea is often different from those in other countries so their results on the tap water cannot be directly compared without analysis on survey questionnaire. Therefore, we examplified cases showing the difference of questions of each country and discussed the reason why results of tap water intake should not be compared without analysis on the questions. Also, distrust on Arisu without rational reason is known as the first reason of distrust on the tap water. However, it was not the ultimate reason of distrust on the tap water. To verify, we designed survey questions in a tricky way that the same question was asked twice with different choices in the survey questionnaire. Most of the people who distrust Arisu without rational reason at the first question were selected different choices and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econd question. This proved that the ratio of distrust on the tap water is not actually the right reason and that by providing more choices, people’s distrust on the tap water without rational reason can turn into more specific reasons.
본 연구는 격자수, 첫 번째 격자까지의 거리(YP+), 난류모델 그리고 이산화 방법에 따른 해의 변화량을 조사하였다. 대상선박은 KVLCC이며, 격자구성과 유동해석은 상용코드인 Gridgen V15와 FLUENT를 사용하였다. 검토는 2가지 파트로 나누어서 수행하였다. 첫 번째 파트는 격자수, 난류모델 그리고 이산화 방법의 조합에 따른 해의 영향성을 평가하였다. 두 번째 파트는 적합한 YP+ 선정에 초점을 두었다. 격자수와 이산화 방법이 동일한 경우 마찰저항은 난류모델에 따라 약 1 % 내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압력저항은 약 9 %의 큰 차이를 보였다. YP+와 이산화 방법이 동일한 경우 YP+를 30과 50으로 설정하였을 때 마찰저항은 난류모델에 따라 약 1 % 내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100에서는 약 3 % 차이를 보였다. 반면, 압력저항은 YP+값에 무관하게 난류모델에 따라 약 10 % 차이를 보였다. 난류모델과 이산화 방법이 동일한 경우 격자 수 변화 따라 마찰저항, 압력저항 그리고 전 저항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난류모델과 이산화 방법이 동일한 경우 YP+의 변화에 따라 마찰저항은 5~8 %의 큰 차이를 보였고, 압력저항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S: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different types of Hot Mix Asphalt (HMA) pavement cells prepared for MN/Road field testing section through an extensive experimental analysis of air voids and simple statistical evaluation tools (i.e. hypothesis test). METHODS: An extensive experimental work was performed to measure air voids in 82 asphalt mixture cores (238 samples in total) obtained from nine different types of road cell located in MN/Road testing field. In order to numerically and quantitatively address the differences in air voids among the different test Cells built in MN/Road, a simple statistical test method (i.e. t-test) with 5% significance was used. RESULTS: Similar trends in air voids content were found among the mixtures including conventional HMA, Reclaimed Asphalt Pavement (RAP) and Warm Mix Asphalt (WMA) combined with taconite aggregate this provides support to the use of RAP and WMA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s of asphalt pavement. However, in case of acid modified HMA mixtur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ir void content were observed between on the wheel path and between wheel path location, which implies negative performances in rutting and thermal cracking resistances. Conclusions : It can be concluded that use of RAP and WMA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of conventional asphalt pavement and the use of PPA (Poly Phosphoric Acid) in combinations with SBS (Styrene Butadiene Styrene) in asphalt binder production provide satisfactory performance and, therefore, are highly recommended
This study is done as a comparison analysis on existing studies 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of solenoids. When there is no power in a solenoid valve, a flow passage is formed from a pressurized ports, Pc, to Ps, which are connected to a crankcase of a pressurizer. An inlet to Pc port is varied in three different sizes: 3.8 ㎜(Type-1), 4.0 ㎜(Type-2) and 4.2 ㎜(Type-3). It is determined that there will be changes in coolant flow into the solenoid valve and the flow properties from Pc port to Ps port are compared and analyzed. As the results, the flow demonstrates the maximum speed of 500 ㎧, 46 ㎧ and 433 ㎧ with 0.2 ㎫ for the inflow pressure and the maximum speed of 1400 ㎧, 129 ㎧ and 1200 ㎧ with 1.5 ㎫ for the inflow press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role-relaxed consumption. Consumption-related variables were considered as antecedents, and fashion-related variable was considered as a consequence. Hedonic consumption, impulse buying, value consciousness, and brand sensitivity were included as consumption-related variables and fashion consciousness was included as a fashion-related variable. It was hypothesized that hedonic consumption, impulse buying, value consciousness, and brand sensitivity influence rolerelaxed consumption and then influence fashion consciousness.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using convenience sampling. Two hundred twenty seven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AMOS. While hedonic consumption, impulse buying, value consciousness, and brand sensitivity were uni-dimensions, role-relaxed consumption and fashion consciousness were multi-dimensions. Factor analysis of role-relaxed consumption revealed two dimensions, 'self-centered decision making' factor and 'importance of intrinsic value' factor. In addition, factor analysis of fashion conscious revealed three dimensions, 'individualism' factor, 'dressing style' factor, and 'appearance' factor. Tests of the hypothesized path show that impulse buying and brand sensitivity negatively influence 'self-centered decision making' and that hedonic consumption and value consciousness negatively influence 'importance of intrinsic value'. While 'self-centered decision making'negatively influence 'dressing style' and 'appearance, 'importance of intrinsic value' negatively influences all factors of fashion consciousne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also discussed.
This article dealt with some legal issues mainly related to a Real Money Trading (RMT) in web-board games in Korea. For clarifying in detail, this paper showed lots of real case found in U.S. and China. These case studies was to reach a common principle, that is, “RMT is everywhere in the real world.” And then, this article tried to examine and evaluate whether a RMT in web-board games has an intrinsic characteristic of gambling in terms of the legal questions. In this part, this study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a RMT in web-board games does not meet the legal concept of “Chance” and “Prize.” Furthermore, it is not reasonable that providers of web-board games take legal responsibility for not only a RMT that is not controlled and caused by them but also quasi-gambling experience by the RMT. This analysis is supported by some cases ruled by Supreme Court in Korea. Nevertheless, a RMT in real world is still considered as illegality of providers of web-board games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more, in recent, the government gets to apply more strict regulation to most kinds of game. This is not common and proper regulatory system in national service areas as well as the WTO and/or FTA systems.
본 연구에서는 요즘 사회적인 이슈로 많이 대두되고 있는 서비스 종업원들의 감정 노동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먼저 감정노동의 하부차원인 표면행위(surfaceacting)와 내면행위(deepacting)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직무과부하(workoverload)를 제시하여 이들간의 유의적 관계가 있는가에 대해 파악하였다.또 서비스 종업원이 경험한 감정노동이 종업원의 감정적,인지적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 감정적 고갈(emotionalexhaustion)을 매개변수로 제시해,종업원들의 직무만족(jobsatisfaction)이나 조직몰입(organizationalcommitment)에 결과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가설을 제시하여 검증하였다.특히 종업원의 감정노동(emotionallabor)과 감정적 고갈(emotionalexhaustion)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변수로 서비스 종업원들이 인식하는 직무 불안정성(jobinsecurity)을 제시하여,이 변수의 변화에 따라 감정노동과 감정적 고갈간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해 검증하였다.본 연구를 위해 국내에 소재한 은행에 종사하는 서비스 종업원들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분석결과 직무 과부하는 서비스 종업원의 표면행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내면행위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음으로 감정노동과 서비스 종업원의 감정적 고갈간의 관계를 보면,표면행위는 감정노동을 증가시키지만,내면행위는 감정노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서비스 종업원이 지각하는 직무 불안정성은 종업원이 표면행위가 감정적 고갈에 미치는 효과를 더욱 강화시키며,내면행위가 감정적 고갈에 미치는 효과는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서비스 종업원의 감정적 고갈은 직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종업원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영향요인과 결과 변수들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감정노동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과주의 평가보상제도인 목표관리제와 연봉제의 도입 및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디커플링 현상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그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대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디커플링 현상이란 도입취지와 실행 간에 나타나는 분리(decoupling)현상으로 보고 성과주의 평가보상제도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의 디커플링 현상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첫째,목표관리제의 도입취지 및 정책과 실행의 디커플링,연봉제의 도입취지 및 정책과 실행의 디커플링,셋째,목표관리제와 연봉제 사이의 연계의 디커플링이다.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디커플링 현상의 선행변수로,최고경영자의 지원,조직의 구조적 관성,제도적 동형화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결과변수는 재무적,비재무적 성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실증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최고경영자의 인식과 구조적 관성 변수는 목표관리제의 디커플링,목표관리제와 연봉제 간의 디커플링 정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제도적 동형화 요인은 목표관리제의 디커플링 정도,연봉제의 디커플링 정도,목표관리제와 연봉제 간의 디커플링 정도를 모두 낮추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또한 목표관리제의 디커플링 정도가 낮을수록 재무적,비재무적 성과가 높아지고,연봉제의 디커플링 정도와 목표관리제-연봉제 간의 디커플링 정도는 비재무적 성과와 정(+)의 유의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influence people's perceptions of the consequences of fast fash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to females in their 20s to 40s, and a total of 430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consciousness-which was conceptualized as interest in consumer effectiveness and the environment-had a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i.e., clothing recycling and resource conservation. As the perception of consumer effectiveness was high, respondents had a tendency not to follow trends. Second, consumers with a high level of interest in the environment perceived the effect of fast fashion on the environment as serious, and they felt negatively toward personal use of fast fashion. Third, consumers with strong resource conservation behavior perceived the effect of fast fashion on the environment as serious, but those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secondhand clothing did not appear to have that perception. Finally, consumers who followed trends and those with weakly held attitudes about resource conservation felt positively toward personal use of fast fash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s an important factor for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In addition, consumers with strong attitudes regarding resource conservation were more perceptive of the negative effect of fast fashion on th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