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adays meteorological information is systemized as a useful knowledge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industrial domains over the simple data. The distribution industry, which has the short life cycle, depends on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at the strategic level.
Howeve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ontinuous investment in meteorological information because there is a hostility to paying for a service, particularly it does not provide accurate and reliable inform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meteorological information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for its economic effectiveness from the core meteorological factors.
We found significant meteorological factors (temperature, precipitation, disaster) that have a critical influence on the distribution industry through the hierarchical analysis process, and their import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tribution channels, such as department store, large-scale discount store, convenience store, and home shopping.
We performed the AHP analysis with 103 survey samples by middle managers from the various distribution channels. We found that precipitation is the critical meteorological factor across the distribution industry. Based on this result, we stress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in order for the effectiveness of each type of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case of T. S. Eliot, the difference between the use value of literature and its exchange value stems from the philosophical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value of literature and its outer value. In the view of literature from an economic value, its exchange for money means the exchange of cultural and literary capital. Yet, it is not easy to ignore Marx’s concern the about the disturbing author’s consciousness of social criticism and his/her communication with reader’s when a literary work exceeds its worth by a critic in terms of commodity fetishism. But, if insight about human beings and society turns out to be a property of capital as a productive added-value, its literary worth is so satisfying that the fetishism of the reader as a consumer for the book cannot be an irrational action towards the market. From such a view, the study of economics of literature in the case of Eliot, gives us an instance in which we can find the use value of humanities in literature and its exchange value in terms of economics. As a poet, critic, and publisher, Eliot can be a most valuable person in literary history necessary for the study of literature in the light of economics. This paper examines Eliot through the effect of unity between literature and economics on the study of economics of literature and its positive elements in market, such as literary production, publica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녹두는 여러 차례 개화와 성숙을 하기 때문에 100% 손 수확하고 저가의 수입산 및 소 면적 재배 등으로 인해 경쟁력이 매우 낮은 작물이다. 국내산 녹두의 경쟁력 확보 선결과제는 대 면적 생력재배로 판단되어 생력재배기술을 개발하였다. 남부지역에서 기계(범용콤바인) 일시수확을 위한 최적 파종기는 7월 20일로 수 량이 많고 기계수확이 가능하였다. 7월 15일 파종은 2회 수확해야 하므로 기계수확이 불가능하였고, 7월 25일 이후 파종은 수량이 급격이 떨어졌다. 생력재배(범용콤바인 수확)에 적합한 품종은 다현으로 수량(1.66톤/ha) 이 가장 많고 도복 및 병해에 강했다. 개발한 생력재배기술을 2007년과 2008년에 자체 실증한 결과, ha당 수량은 1.5톤 있었다. 2009년에 친환경(무농약 인증)재배기술과 패키지화하여 영농현장에 실증한 결과, 노동 력 74%와 생산비 47%가 절감되었고 ha 당 수확 및 탈곡시간은 2.5시간으로 관행(640시간)에 비해 99% 생력화 가 가능하였다.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17,893원으로 3.3배 높았고, 순수익은 10배 많았다. 생력재배한 9품종의 종실성분은 관행재배에 비해 전분과 조지방 함량이 많고, 조단백과 vitexin 및 isovitexin 함량은 비슷하였으며, 지방산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의 조성비는 높았고 linolenic acid와 stearic acid의 조성비는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여름 밭작물 중 가장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는 녹두가 생력재배에 가장 적합한 작물로 전환이 가능하고 호당 5ha 이상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보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대직경 고장력볼트 이음부의 안전성 및 경제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F10T-M30 대직경 고장력볼트를 사용한 시험편을 대상으로 정적 인장시험을 실시하여 미끄러짐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고 볼트의 강도등급 및 직경에 따른 소요볼트 개수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M30 고장력볼트의 평균 미끄러짐 계수는 도로교설계기준의 기준인 0.4를 초과하며, M22 고장력볼트와 동등한 미끄러짐 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장력볼트의 강도등급 및 직경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F10T-M22 고장력볼트를 기준으로 하여 F13T-M22 고장력볼트를 적용하면 소요볼트 개수가 21% 감소하며, F10T-M30 고장력볼트를 적용하면 4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장력볼트의 대직경화에 따른 경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강산업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국가 전략산업으로 정부의 적극적 정책지원과 민간의 경영노력이 조화를 이루어 1970년대 이후 한 국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철강산업 원자재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때 수입되는 원자재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철강산업은 수송업이라 할 만큼 수송비 부담이 큰 산업이다. 수송의 합리화는 철강산업의 주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스크랩의 안정적인 공급확보 차원에서 철스크랩 수출입 관련 해상운송의 운송경로별(컨테이너선 vs 벌크선)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내외 철강산업의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연간 세계 조강생산규모와 철스크랩 소비규모, 세계 철스크랩 교역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철스크랩 수출입 관련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두 운송수단 간의 수송물류비를 비교하기 위해서 "D 사(社)"의 철스크랩 수출입 운송시간과 운송비용 항목을 이용하여 톤당 물리비용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