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야드 장비의 자동화 및 환적화물의 증가로 인하여 터미널내의 이적작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 운영자들은 효율적인 이적작업 계획을 수립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보통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장치장에 다수의 자동화된 야드 크레인을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취급하고 있으며 선적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여유시간대를 이용하여 이적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 는 블록 내에서 다수의 자동화 야드 크레인이 운영되고 있는 경우의 이적작업 계획을 다루고 있으며 혼합정수계획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여유 시간을 고려하여 작업효율을 최대화하는 각 크레인 별 최적 이적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수리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컨테이너 터미널 현장에 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빠른 시간 안에 이적작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작업 할당규칙을 찾기 위하여 다섯 가지 대표적인 할당규칙에 대하 여 수치 실험을 통하여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수치 실험 결과 작업할당 규칙 중에서 MR규칙과 MW규칙이 다수 자동화 야드 크레인의 이적작 업 할당규칙으로 좋은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ustainable development is no longer an option, but a requirement. Under this awareness, UN adopted 17 goals for a new sustainable development agenda on September 2015, nam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KSRP) is established on July 1994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rural areas. On the purpose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KSRP’s publications with the viewpoint of SDGs, the qualitative documents of 17 SDGs and 771 publications were mathematically transformed into vectors and the similarity was numerically measured with the ‘Vector Space Model(VSM)’. The results show that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SDG 11)’, ‘Zero hunger(SDG 2)’, ‘Life on land(SDG 15)’ and ‘R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SDG 12)’ have strong relationships with KSRP, while those of ‘Affordable and clean energy(SDG 7)’, ‘Peace, justice and strong institution(SDG 16)’ and ‘Gender equality(SDG 5)’ are weak. It is also found that the relationships of KSRP publications with ‘energy’ and ‘climate change’ issues(SDG 7, 13) were greatl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1995-2016, in spite of their weak relationships.
산림휴양과 숲체험을 위하여 진주시 근교에 위치한 월아산에 도시숲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지의 현황 및 역사 등 을 분석하였고,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인식과 선호도에 관하여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황분석에서 대상지는 관리부실로 낙 후된 숲 시설, 프로그램 등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인접한 진주 혁신도시 인구증가로 인하여 휴게시설 증설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 었다. 설문분석에서 최근까지 월아산 이용목적은 운동 및 산책이며, 주로 가족단위로 자가용을 이용해 찾아오지만 이용빈도는 연중 1~2회 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현황 및 설문 분석을 종합하여 도시숲 프로그램 계획에서 3E라는 개념을 설정하였다. 3E는 Experimental(체험할 수 있는 공간), Everlasting(역사를 지닌 공간), Emblematic(상징적인 공간)로 구분하여 정의될 수 있다. 그 개념을 대상지에서 구현하기 위 해서 먼저 낙후된 산림욕장, 청곡사 주변부지, 장군대봉 등을 연결하는 통로를 정비하고 휴게시설을 조성하여 통행 및 휴식의 매력과 이용 편리를 개선하고, 그와 같은 조건에서 방문객을 유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계획하였다. 프로그램 계획의 주요한 특징은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삼림욕장에 학습장을 조성하고 숲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산책로를 건강 및 휴식을 위한 힐링 숲길로 조성하고 산책, 휴식, 자연학습 등의 숲 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둘째, 역사 및 문화자원인 청곡사 및 그 주변을 그 맥락에 부합하도록 정비하고 청곡사와 학영 지를 연결하는 학영지의 이름을 딴 학영로라는 역사 및 문화 산책로를 조성하여 역사 및 문화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부가적으 로 청곡사와 휴게공간 사이의 연결성을 확보하여 기존의 산책 및 운동을 위한 통로에 역사, 휴식 등의 기능을 부여하여 잠재적으로 다양하 고 풍부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징적인 공간인 장군대봉 주변 부지에서 월아산 정상부로 월아산 이름의 유래 에서 모티브를 얻은 달을 형상화한 조형물을 랜드마크(landmark)로서 설치한다. 이를 통해 등산을 위해 산을 오를 뿐만 아니라 색다른 볼 거리를 즐기기 위해 산을 오르게 함으로써 더 많은 방문객을 유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경남 진주시 선학산 도시숲의 운영을 시민참여형으로 개선하도록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황조사로서 지역에서 가지는 대상지의 이용가치를 파악하였으며, 지리정보시스템(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사, 향, 토지피복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도시숲 운영계획에서 지역주민의 인식과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서 관심, 요구, 참여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이용객들의 의견을 주기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등산로 표지판에 부착시킨 QR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2004년과 2017년에 실시한 현장 설문조사를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를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시행된 진주시 선학산 정비사업과 관련하여 해석하기 위해서 사업 시행 전인 2004년과 시행 후인 2017년의 이용자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고, 그 변화를 사업내용과 관련하여 해석하였다. 최종으로 그 결과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하여 선학 산의 운영관리 문제점 및 개선점을 파악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의 목적인 선학산 시민참여형 도시숲 운영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또한 운영의 성과 및 개선을 위한 평가 및 환류를 위해서 QR코드를 사용한 방문자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시민참여 형 운영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지속적 운영의 질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선학산 도시숲 시민참여형 운영 계획 은 지속적으로 문제점 및 보완점을 파악 및 제한하고, 기존 이용객과 관광객의 증가를 파악하며, 숲가꾸기를 통한 참여형 도시숲 조성을 기 대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도시 개발사업을 위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 개발 전․중․ 후의 강우유출량을 분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도시개발에 따른 수문학적 변화를 분석하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수문모델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현장의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관계로 그 산정결 과의 신뢰도가 문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의 관평천 일부유역에서 2015년 7월 부터 2016년 7월 까지 자동 모니터링 장치을 이용하고 또 한 및 현장 측정을 통해 확보된 강우량 및 유출유량의 연속자료를 활용하여 SWMM을 이용하는 경우 강우 유출량 예측의 정확도를 제고하고자 하 였다. 토양침투량 산정을 위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Curve Number 방법, Horton 방법 및 Green-Ampt 방법들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투수지 역과 불투수 지역에 대해 각각 최적의 Manning 조도계수와 지표면 저류깊이를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도시 유역에 서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강우 유출 모델을 보정하였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며 추후 유역의 개발등의 상황에 대해는 강우 시 유출량 및 수질현상을 더욱 정확하게 예측하고 나아가서 향후의 유역 내 수문조건 변화 요인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는 데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 studies on automatic parking have actively adopted the technology developed for mobile robots. Among them, the path planning scheme plans a route for a vehicle to reach a target parking position while satisfying the kinematic constraints of the vehicle. However, previous methods require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and/or cannot be easily applied to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ath planning scheme that is fast, efficient, and versatile. In this study, we use a multi-dimensional path grid map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is multi-dimensional path grid map contains a route which has taken a vehicle's kinematic constraints into account; it can be used with the A* algorithm to plan an efficient path.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using Prescan which is a simulation program based on MATLAB.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successfully be applied to both parallel and vertical parking in an efficient manner.
본 연구는 사전 준비활동이 EFL 학습자의 교실 공개 구두 발표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 였다. 이는 언어적 지식 (language knowledge)의 준비는 제 2 언어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여 정서 적 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에 근거한다. 연구를 위해 학습자들은 4 주 간 (1) 스피치 모델 읽기 (reading a model text), (2) 스피치 초안 쓰기 (writing a draft), 그리 고 (3) 구두 연습 리허설하기 (rehearsing for oral practice) 등 세 가지 사전 준비활동을 수행하였 다. 사전 준비활동 전 후의 교실 공개 발표 불안 정도의 차이는 PSCAS (Public Speaking Class Anxiety Scale)를 사용하여 네 가지의 불안 구성요소에 대해 비교하였다: ‘test anxiety’(TA: 시험 불안), ‘communicative apprehension’(CA: 전달 불안), ‘fear of negative evaluation’(FNE: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comfort of using English’(CUE: 영어 사용에 대한 편안함). 결과 분 석에 의하면 사전 준비활동은 네 가지 구성요소의 구두 불안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영어 사용에 대한 편안함’에 있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결 과를 가져왔다. 이는 ‘reading a model text’ 및 ‘writing a draft’ 등의 사전 준비활동 중에 이루 어지는 교사 및 동료와의 상호 피드백을 통한 언어적 지식 스캐폴딩으로 인한 학습자의 자신감 이 상승하고, ‘rehearsing for oral practice’활동으로 인한 발표연습 기회,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서 이루어지는 친밀함의 관계형성이 동료 및 교사에 의한 평가 불안을 완화하고 이전 보다 편안 하게 영어를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Due to limited human resources, budget and difficulties in accessibility, inspections are not available at proper time. Advanced Technology such as ICT, Sensing, and AI can innovate the management of structure. So, we introduce our developed equipment and future management plan.
Although some indicators for evaluating rural settlement conditions have been offered, these indicators could not reflect unique characteristics that rural has its own peculiarities. The rural area is identified with central districts functioned as service provision and hinterlands used its servi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 central district of rural villages and define range of its hinterlands using variou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Targeting areas are Yongsan and Hwanggan in Yeongdong-gun .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by building density, number of shops among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official land price, and density of bus line. The rural central district is estimated by linear programming using defin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lso its hinterlands used Huff model and social access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in Hwanggan myeon is higher than Yongsan myeon because Hwanggan area ha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for using Hwanggan station and ticket office; (2) The central district in Hwanggan has wider regional range than Yongsan. When central district estimate in rural areas, we suggest a grid diameter of Hexagon for controlling errors; (3) Considering accessibility, the life zone of 4 districts defined legally in Hwanggan use Yongsan and 2 legal districts in Hwanggan are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Yongsan’s life zone; (4) The results of survey targeting boundary villages between Yongsan and Hwanggan, individual drivers use central districts both Yongsan and Hwanggan, however users by public transportation (especially bus) go more to Hwanggan because bus lines to Hwanggan have many routes than to Yongsan. Evaluating the rural settlement conditions by national unit through grasping central districts and its hinterlands, these results can use as base line data and the evidence for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People are making efforts multilaterally to create agricultural landscape beautifully. Still in farming villages, however, large-scale facilities or houses are disharmonized with natural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outer colors, mostly primary colors, not considering natural environment. The main study is done on experts’ color perception. Investigation about perception of color experts ' view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energy business based on the color to set the direction of the rural landscape in the futur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image of the rural area is not reflected well, and the symbolic color of the rural landscape is the reverse image according to the energy business. The rural village’s image in the future, “Harmonious”, “Natural”, “Rural” were higher Figure. There were the most important and harmony with nature. Based on such future harmony with nature in the color planning The colors match and is expected to be the color within the scope. Lack of awareness in the current farming town scenery is unsatisfactory. Awareness about the need for further improvement was higher. Therefore, color according to a harmony with nature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farming model should be planned.
Due to limited human resources, budget and difficulties in accessibility, inspections are not available at proper time. Advanced Technology such as ICT, Sensing, and AI can innovate the management of structure. So, we introduce our developed equipment and future management plan.
기존 바다낚시공원이나 바다낚시시설은 기타 레저시설 미비, 체험프로그램 및 시설 부족, 편의시설이나 숙박시설 등 부대시설 부족 등으로 인해 증가하는 가족낚시인의 바다낚시 및 해양레저의 복합적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바다낚시 및 해양레저의 복합적 수 요에 대응하여 가족이 즐기고 휴식할 수 있는 바다낚시복합타운의 조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다낚시복합타운의 개념을 정립하고 시설유형을 분류한 다음 각 유형별 시설구성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어촌복합생활공간, 해양레저생활공간, 낚시공 원사업 등 유사 사례, 관련사업 및 법률을 바탕으로 바다낚시복합타운의 개념을 정립한다. 또한 바다낚시복합타운의 유형을 입지조건 및 활동 형태에 따라 도시근교 레저·스포츠형(Ⅰ형), 도시근교 힐링·휴식형(Ⅱ형), 도시외곽 체험·활동형(Ⅲ형) 그리고 도시외곽 문화·휴양형(Ⅳ형)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유형별 특성에 따른 시설구성안을 제시하며 바다낚시복합타운의 구성시설을 기반시설과 레저시설(기본시설, 특화시설)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시설계획안을 제시한다.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은 향후 80만 포장물을 처분할 계획이며 다양한 처분방식 및 관리형태를 가진 복합계가 될 것 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부지 처분용량(80만 포장물) 처분시설의 단계별 개발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처분시설 종 합개발계획(안)에 따른 예비안전성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시나리오에 대한 안전성평가결과 처분시설의 성능목표치를 만족 하였다. 다만, 전체처분시설의 안전성 평가결과에 중준위 방사성폐기물로 인하여 1단계 동굴 처분시설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처분시설의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처분방사능량제한 설정 등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Safety Case 단계별 구축을 통 하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종합개발 과정에서 인지된 불확실성을 저감하여 안전성을 증진 시킬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a water circulation green area plan on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Gimhae South Korea. A quantitative analysis of Arc-GIS data was conducted by applying a watershed model based on Fortran to investigate the changes to direct runoff and pollution load. Results showed that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water circulation green area plan in Gimhae, direct runoff was 444.05 m3/year, total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pollution load was 21,696 kg/year, and total phosphorus (TP) pollution load was 1,743 kg/year.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ment plan was found to reduce direct runoff by 2.27%, BOD pollution load by 1.16% and TP pollution load by 0.19% annually. The reduction in direct runoff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were attributed to improvements in the design of impermeable layers within the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village project for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of rural tourism village. So, in this study, the current rural tourism village and storytelling planning are examined and the village project presented in village planning is also examined. And this study propose the storytelling implementation of the village project through the case study related with the Susanri in Jeju.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important that each village projects are storytelling for tourism resource and improve rural tourism villag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fine story range, action planning, and management agency of village projects. Thirdly, it is desirable that the village projects should be carried out as reviving the local community. Comparing to the storytelling tourism plan, there are few rural tourism plans so far, so, it is difficult to applicate the system of the village project, but, continuous studies in this line can help the rural tourism plan to ensure practicality.
선박에 싣기 위하여 컨테이너 장치장에서 반출하는 컨테이너 상단에 다른 컨테이너들이 장치되어 있다면 위의 컨테이너들을 임시 로 옮기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런 작업을 재취급이라 하며, 이로 인하여 장치장의 생산성은 떨어지게 된다. 장치장에서 반출 작업을 수행할 때 재취급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적하 계획이 수립된 후 선박이 도착하기 전까지의 유휴 시간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들을 미리 정리하는 작업을 재정돈 작업이라고 한다. 보통의 경우 베이내의 이동만으로 재정돈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데, 컨테이너가 장치된 상태에 따라 너무 많은 시간을 사용한 후 결국 해를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웃한 베이의 상단을 임시 저장 공간으로 활용하여 재정돈 작업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 방안이 복잡한 장치상태에서도 허용된 시간 내에 작업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하 여, 수치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안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베이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복잡한 베이에 대하여 허용된 시간 내에 유효하 고 효율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